총참모장

 


總參謀長.
1. 개요
2. 현재 용례
2.1. 중국 인민해방군
3. 창작물


1. 개요


독일에서 유래했던 참모본부의 총수라는 개념으로, 독일어로는 Generalstabschef이다. 독일어로 참모본부는 Generalstab이라고 하는데, 일본육군이 이를 한자어로 번역하면서 참모본부(参謀本部)라고 했고, 우두머리는 참모총장(参謀総長)이라고 번역했다. [1] 이것이 내려와 한국 [2] 과 중화민국에서는 처음부터 참모본부/참모총장이라는 말을 썼다. 또한 일본에선 자위대가 생기면서 군 용어를 탈피하면서 막료장이란 대체표현을 썼다. 물론 이말도 새로 만든 것이 아니라 옛날부터 있던 말이다.
인민해방군은 총참모부/총참모장이라는 명칭을 썼고[3], 북한에서도 이를 물려받았는지 총참모부/총참모장이라는 명칭을 썼다.
총참모장은 한국에서 의미하는 참모총장과는 개념이 다르며 일대일로 대응되는 말이 아니다. 소련식 체계에서 시작된 총참모부/총참모장이라는 의미는 참모본부의 수장 한 사람만을 의미하기 때문에 한국으로 따지면 합참의장과 같은 역할을 한다. 한국의 육,해,공 참모총장에 해당되는 각군의 최고 선임을 공산권에선 육,해,공군사령관이라는 칭호를 썼다.
공산권에서 주로 사용한 용어이기 때문에 결국 한국이나 대만 등에서 총참모장은 공산권 군대의 최선임을 가리키는 말로 제한되어 쓰이게 됐다.

2. 현재 용례


현재 공산권 국가 대부분이 무너진 관계로 이 표현을 쓰는 나라는 중국북한, 베트남 정도만 있다. 현대 러시아동유럽 국가의 군 선임을 표현할 때 한국 언론은 참모총장이란 표현을 사용한다. 중국은 한국의 합참과 유사한 합동사령부를 중국인민해방군총참모부(中国人民解放军总参谋部)라고 하며 해당 부의 장을 총참모장(总参谋长)이라고 한다. 북한군도 군사작전을 담당하는 조선인민군 총참모부가 있고 그 우두머리가 조선인민군 총참모장이다. 오극렬, 리영호 등이 이 직위를 역임했다. 베트남에서는 똥탐므우쯔엉(Tổng Tham mưu trưởng)이라고 표기한다.
공산권 외에는 이스라엘군의 최고위 선임장성도 총참모장으로 호칭하는데, 이는 이스라엘군이 통합군 체계이며 육군이 압도적인 전력편성으로 역대 총참모장이 공산권과 마찬가지로 대다수가 육군 출신인 점을 반영한 것으로 알려진다.[4] 정규군 병력 규모가 20만 미만인 관계로 계급은 중장. 최근엔 이스라엘군 최선임을 국방참모총장으로 번역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이는 국방군(Defense Force)의 최선임이란 의미.

2.1. 중국 인민해방군


중국어 위키백과총참모장 항목. 중화인민공화국을 대표하는 정치인으로 유명한 저우언라이,[5] 덩샤오핑[6]도 포함되어 있다.
2016년 군구조 개편에 따라 '연합참모부 참모장'으로 직책명이 변경되고 겸임하던 육군의 군정권을 신설된 육군사령원에게 이양하였다.
'''마지막 총참모장'''
[image]
이름
팡펑후이(房峰辉)
출신
인민해방군국방대학 68'[7]
생년월일
1951. 4월
임관일
1968년

2.2. 러시아군


  • 러시아어: Начальник Генерального штаба
영어로 번역하면 Chief of the General Staff이다. 편의상 합참의장(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이나 국방참모총장(Chief of the Defence Force)으로 번역할 수도 있겠지만 소련의 후신이기도 해서 한국에서는 총참모장이라고 표시한다. 모르는 사람들은 그냥 한국식으로 번역한다.
소련 시절에는 원수가 보임되었고 러시아연방 시절에는 대장이 보임되고 있다.
[image]
1991년부터 러시아연방군 총참모장이란 형태로 유지되어 7대인 발레리 게라시모프(Valery Gerasimov)까지 전원이 육군 출신이다. 다만 이 자리가 꼭 제복군인 최선임인 것은 아닌데 국방장관에게 대장 계급을 주는[8]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어쨌든 제복군인으로서는 사실상 지존의 자리.

2.3. 조선인민군


[image]
북한의 현직 총참모장인 박정천 인민군원수.
주로 차수가 보임하는 자리이나 김정은 집권 초기 5년간은 대장이 보임되었었다. 군원로나 정치장교들이 장악하고 있는 여러 정치적 직위를 제외한 순수군인의 최고봉으로, 2011년까지는 리영호 차수가 자리를 지켰으나, 이후 숙청되었고, 2012~3년에는 현영철, 김격식등이 짧게 재임한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서 추정이라는 표현을 쓴 이유는 북한은 군고위직의 인사변동을 제대로 발표하지 않고, 외부에서는 간간히 행사때 호명되는 관등성명으로 이들의 신병을 확인하기 때문이다. 김정은 체제 들어 총참모장이 3번이나 바뀌었다는 점에서, 김정은이 군장악을 위해 많은 공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6년 2월, 광명성 4호가 발사된 직후, 리영길이 처형되었다는 보도가 나왔으나, 자주 그렇듯이 이것은 설레발. 실제로는 상장으로 1계급 강등되어 야전직으로 좌천된 것으로, 조선로동당 제7차대회에서 리영길의 건재가 확인되었다.
리영길의 후임으로는 인민보안부장 출신 리명수 대장이 임명되었으며, 2016년 3월 현재 박영식 인민무력부장보다 서열이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리명수는 2016년 4월 14일에 대장에서 차수로 진급해 단순한 정치 서열 뿐 아니라 계급도 인민무력부장보다 높아졌고, 같은 계급의 총정치국장인 황병서와 동급이 되었다.
2018년 6월 3일, 다시 리영길로 교체했다고 SBS가 보도했다.
2019년 9월 11일부로 포병국장 출신 박정천(북한)이 북한의 총참모장이다. 이후 박정천이 2020년 10월 5일부 인민군원수로 진급했다고 한다.

3. 창작물



[1] 얘네 해군은 군령부, 군령부총장이라고 번역[2] 8대까지는 총참모장이라는 용어를 썼다. [3] 인민해방군 제1대 총참모장이 저우언라이다.[4] 다만 공군 출신의 총참모장도 2명 존재한다.[5] 제1차 국공합작 시절 장제스와 함께 한때 국민당이 설립한 황포 군관학교에서 교관으로 재직했고, 이후 대장정과 중일전쟁, 국공내전에서 종군했다.[6] 국공내전 후기 공산군의 승리를 결정지은 화북지방 전투를 지휘했고, 1970년대 중후반 복권되는 과정에서 총참모장을 겸임하게 되었다. 1979년 2~3월의 중월전쟁 당시에도 총참모장으로 전쟁 지휘를 책임졌다.[7] 뒤에 인민해방군 국방대학을 나온 것이지 처음엔 그냥 직업군인으로 바로 입대하였다. 팡펑후이가 입대한 1968년은 문화대혁명 시기로 중국군은 계급을 철폐하고 직책으로만 군대를 통솔했다. 1980년대에 가서야 계급이 부활하게 되고 팡펑후이는 주로 신장군구에 근무하면서 계급 없이 소대장으로 군생활을 시작했다.[8] 소련 시절에는 2차대전 이후에는 제복군인으로 복무하다 원수까지 진급한 만렙 군인이 국방장관을 맡았으나, 러시아연방 수립 후에 2014년 현재 국방장관인 세르게이 쇼이구처럼 원래 군인이 아니었음에도 이런저런 이유로 대장을 달기도 한다. 장관 이외에도 러시아 국방부의 고위 관료들 중에는 상장 대장 달고 다니는 민간 출신자들이 꽤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