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종(원)

 



'''원 제11대 황제'''
'''惠宗 | 혜종'''
'''몽골 제국 제15대 대칸'''
'''ᠤᠬᠠᠭᠠᠲᠤ ᠬᠠᠭᠠᠨ
우카가투 칸
'''
'''묘호'''
'''혜종(惠宗)'''[1]
'''시호'''
선인보효황제(宣仁普孝皇帝)[2]
순황제(順皇帝)[3]
'''칸호'''
우카가투 칸(ᠲᠣᠭᠠᠨᠲᠡᠮᠦᠷ ᠤᠬᠠᠭᠠᠲᠤ ᠬᠠᠭᠠᠨ)
(烏哈噶圖汗 / 오합갈도한)
''''''
보르지긴(ᠪᠣᠷᠵᠢᠭᠢᠨ)
(孛兒只斤 / 패아지근)
''''''
토곤테무르(ᠲᠣᠭᠠᠨᠲᠡᠮᠦᠷ)
(妥懽帖睦爾 / 타환첩목이)
'''연호'''
지순(至順, 1333년)
원통(元統, 1333년 ~ 1335년)
지원(至元, 1335년 ~ 1340년[4]
지정(至正, 1341년 ~ 1368년)[5]
지정(至正): 1368년 ~ 1370년(북원)
'''황후'''
다나시리 황후
바얀후투그 황후
보현숙성황후 기씨(기황후)
무나시리 황후
'''생몰 기간'''
1320년 5월 25일[6] ~ 1370년 5월 23일 (50세)
'''재위 기간'''
1333년 7월 19일 ~ 1370년 5월 23일 (36년 10개월)[7]
1. 개요
2. 생애
3. 묘호/시호에 대하여
4. 가족관계
5. 대중매체에서
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몽골 제국의 제15대 카간이자, 원나라의 제11대 황제#s-2. 묘호는 혜종(惠宗), 시호는 선인보효황제(宣仁普孝皇帝) 혹은 순황제(順皇帝). 휘는 토곤테무르(妥懽帖睦爾). 원나라의 마지막 황제이자, 명나라에 의해 몽골 고원으로 쫓겨가 새로 개창한 북원의 초대 황제.
다양한 기물을 만든 손재주 때문에 노반천자(魯班天子)라 불리기도 했다.[8] 국내에선 고려인이었던 기황후남편으로도 나름 인지도가 있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원 순제'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 드라마 기황후의 히트로 한자 발음인 '타환'으로도 알려졌다.

2. 생애


원 혜종 토곤테무르는 명종 쿠살라의 장남이었으며, 원래라면 동생 린칠반이 아니라 그가 숙부인 문종 투그테무르의 후계자가 되어야 했으나, 그의 어머니의 가문이 명문가가 아니라는 것과 당시 토곤테무르가 문종을 독살했을지도 모른다는 의혹이 있었기 때문에 엘테무르가 강하게 반대했다고 한다. 때문에 황제에 오르기 전에는 고려대청도와 중국 남쪽 광서성 지역 등을 오가며 사실상 추방당한 삶을 살았다. 이런 과거 때문인지 나라가 망할 경우에는 탐라로 튈 계획도 세웠었다고.
영종 린칠반의 사후 즉위는 했지만 엘 테무르가 죽을 때까지 정식 즉위는 하지 못했으며, 엘 테무르가 사망한 뒤로도 내부 정쟁 때문에 실제로 실권을 갖고 있던 기간은 길지 않은 편이었다고 한다. 이 영향인지 야사에선 토곤테무르의 어머니가 송공제이었다가 후에 명종 쿠살라의 후비가 된 정유휘성황후 카를룩씨(貞裕徽聖皇后 罕祿魯氏)이고[9] 친아버지는 명종이 아니라 송공제라고 적혀 있다고 한다. 1336년 6월, 원순제는 선대 황제들처럼 서방에 사절을 보냈다. 교황 베네딕토 12세는 그 답례로 32명의 사절단을 대도로 파견하였다.
고려 역사상 최악의 폭군 충혜왕을 귀양보낼 때, '''"그대의 죄는 너무 커 그대의 피를 천하의 개들에게 줘도 부족할 지경이나, 짐은 사람 죽이기를 즐기지 않으므로 귀양을 보낸다"'''라는 내용을 보냈다고 한다. 참고로 몽골 문화에서 피를 흘리게 하는 방법으로 죽이는 것은 철천지 원수 내지는 대역 죄인에게나 쓰는 방법으로, 특히 왕족이 땅에 피를 흘리게 하는 것은 엄청난 행위로 취급받았다.
1364년 베이르테무르는 다통에서 대도로 진군하여 칸 휘하의 중앙정부를 장악하였다. 기황후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황태자 아유르시리다라는 타이위안으로 달아나 코케테무르의 지지를 구하였다. 1365년 황태자는 코케테무르와 함께 베이르테무르를 공격했는데, 베이르테무르는 부하에게 배반을 당한 뒤, 코케테무르에게 사살되었다.
그러나 1368년 세력을 키워 명나라 건국을 선포한 주원장이 군대를 이끌고 화북으로 진격해온 끝에 수도 대도를 무너뜨리자 혜종을 비롯한 원 세력은 응창부[10]로 쫓겨나면서 북원으로 전락했고, 2년 후인 1370년에 사망했다. 그의 사후 아유시리다라가 황위를 물려받았다.

3. 묘호/시호에 대하여


토곤 테무르가 몽골 초원으로 물러나서 그곳에서 사망한 후, 북원에서는 그에게 혜종이라는 묘호와 선인보효황제라는 시호를 따로 추증했다. 그러나 원나라를 이어 중국을 통일한 명나라 홍무제 주원장은 하늘의 '''순리'''대로 몽골로 물러 가면서 자신에게 황위를 양위했다며 순이라는 시호 를 따로 올렸다.
즉, 유목세계를 계승한 북원에서 올린 묘호는 혜종이고, 중화세계를 계승한 명에서 올린 시호는 순이다.
원사》에 의하면 홍무제가 토곤테무르가 죽지 않고 북쪽으로 도망가서 묘가 없으므로, 묘호를 올리고 싶어도 올릴 수 없으니까 시호를 순황제로 올렸을 뿐이고, 홍무제 당대에 성급하게 만드느라 날림으로 악명 높았던 원사를 중화민국시기에 커샤오민이 다시 정리한 《신원사》는 원나라와 북원의 역사를 모두 담아 본기에서 묘호인 혜종으로 표기하였다. 신원사 – 상.
명나라가 이미 원나라를 몽골 고원으로 몰아내고 중원의 정통 왕조가 되었으니 이를 긍정하는 입장에서는 순황제라고 부를 수 있겠고, 원나라가 남송이나 남명처럼 비록 쫓겨갔지만 엄연히 국체를 유지하고 후손으로부터 묘호와 시호를 받은 건 인정해야 한다는 입장에서는 혜종이나 선인보효황제(보황제)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11] 따라서 표기가 어느 쪽이든 원칙에 어긋나는 건 아니다.

4. 가족관계


황후
  • 정궁황후(正宮皇后) → 폐위 : 바야우트 다나슈리(伯岳吾 答纳失里) - 태사(太師)를 지낸 태평왕(太平王) 엘테무르(燕鐵木兒)의 딸. 혜종의 1대 정궁황후로 입궁하였으나 오빠 텡기스의 반란에 연루되어 폐서인되었으며 승상 바얀에게 주살당했다.
  • 정궁황후(正宮皇后) : 옹기라트 바얀후투그(弘吉剌 伯顏忽都) - 원 무종의 황후 첸게의 질녀로 육덕왕(毓德王) 베이르테무르의 딸. 다나시리의 폐위 이후 새로운 2대 정궁황후에 책봉된다.
    • 7남 : 진금 황자(眞金 皇子)
    • 8남 : 설산 황자(雪山 皇子)
  • 제2황후 → 정궁황후(正宮皇后) : 보현숙성황후(普顯淑聖皇后) 기씨(奇氏) - 바얀후투그 황후 시기에 2황후에 책봉되어 있다가 바얀후투그 사후에 3대 정궁황후에 오른 인물. 흔히 기황후라 불린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고.
    • 장남 : 원 소종(昭宗) 보르지긴 아유르시리다라(孛兒只斤愛猷識理答臘)
  • 제3황후 : 옹기라트 무나시리(弘吉剌 木納失裏)
궁중 칠귀(七貴)
  • 숙비 용서교(淑妃 龍瑞嬌)
  • 숙비 정일녕(淑妃 程一寧)
  • 숙비 과소아(淑妃 戈小娥)
  • 여빈 장아원(麗嬪 張阿元)
  • 여빈 지기씨(麗嬪 支祁氏)
  • 재인 응향아(才人 凝香兒)
  • 재인 영영(才人 英英)
기타
  • 여빈 진씨(麗嬪 陳氏)
  • ?
    • 차남 : 오왕(吳王) 바얀테무르(伯顔帖木兒)
    • 3남 : 촉왕(蜀王) 도선첩목아(都先帖木兒)
    • 4남 : 익왕(益王) 테구스테무르 - 북원 제3대 황제 천원제(天元帝) 우스칼 칸
    • 5남 : 제왕(齊王) 연태(燕台)
    • 6남 : 초왕(楚王) 화태랄(和台剌)
    • 9남 : 실독아 태자(失禿兒 太子)
    • 10남 : 만만 태자(巒巒 太子)
    • 장녀 : 정국공주(鄭國公主) - 진동무성왕 박공목소특(鎭東武成王 博供穆素特)에게 하가(下嫁)
    • 차녀 : 초국공주(楚國公主) - 요왕 홍길랄 색평지만사특(遼王 弘吉剌 色坪持滿思特)에게 하가(下嫁)
    • 3녀 : 연국공주(燕國公主) - 정남충성왕 홍길랄 초삭극포태가파(征南忠成王 弘吉剌 礎朔克布台可巴)에게 하가(下嫁)
    • 4녀 : 완국공주(宛國公主) - 평북무헌왕 홍길랄 시금(平北武獻王 弘吉剌 時金)에게 하가(下嫁)
    • 5녀 : 촉국공주(蜀國公主) - 안평왕 파통격만(安平王 把通格滿)에게 하가(下嫁)

5. 대중매체에서


  • 징기스칸 4 파워업키트에서 시나리오 4에 등장하지만, 원혜종의 능력치와 시작시 북원의 세력이 암울하기 때문에 코케테무르가 있다는 것을 위안으로 삼자. 그리고 토곤테무르와 아들인 아유르시리다라는 수명이 그다지 길지 않으니 얼른 둘째 자식을 낳아야 한다.[12] 아니면 시작하자마자 나이가 젊어서 자식을 볼 확률이 더 큰 아유르시리다라에게 양위하는 것도 좋다.

다만 명의 주력군은 북원보다는 고려 원정 또는 바다 건너 일본 원정을 자주 하며, 북원의 카라코룸은 몽골기병과 화포병을 징병할 수 있고 개발할 수 있는 땅이 워낙 많기에 등용 특기가 있는 코케테무르로 초반에 5천 금을 들고 북경에 간첩 유닛으로 잠입해서 세이브 로드 신공으로 배반 커맨드를 계속 쓰다 보면 내정에 굴릴 수 있는 요광효와 시작 나이가 어리고 이 게임의 중국 문화권 장수들 중 최강인 주체를 빼낸 다음 남경으로 가서 주체 다음으로 강력한 무장인 서달을 영입할 수도 있고 클론 장수들을 고용하면서 건설 러시로 목축, 전술, 무기, 의술의 도시가 되고 나면 높은 무력을 가진 몽골 출신 아들들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사실 그렇게까지 고난이도는 아니다.[13] 아니면 고려의 개성까지도 가도가 이어져 있기 때문에 고려까지 쳐들어가거나 간첩질을 통해 이성계를 영입하는 것도 좋다. 원나라의 주력군인 몽골기병 운용에는 주체보다는 연사와 화공을 동시에 가진 이성계가 훨씬 적합하기 때문이며 또한 이성계가 고려를 무너뜨렸다는 걸 반영한 건지 초기에 설정된 충성도가 다소 낮은 편이라서 주체나 요광효보다는 손쉽게 빼 올 수 있으며 명이나 일본이 초반에 고려를 정복할 때도 있으니 이때 재야로 내려갔거나 명이나 일본에 항복한 이성계를 데려오는 것도 좋다. 참고로 여기서 토곤테무르의 아내로 기황후가 아니라 '미르자'라는 몽골 출신 여인이 나온다.
  • 크루세이더 킹즈 2에서도 등장하는데, 플레이 가능한 마지막 시나리오가 1337년이다. 몽골 제국의 대칸으로 등장하긴 하나, Jade Dragon DLC 이전엔 중국이 구현되어 있지 않은 게임의 특성상 세력이 매우 약했다. 덤으로 트레잇마저 욕정, 태만, 탐욕 같은 좋지 않은 특성들이 붙어 있다. Jade Dragon부터는 1337년 시나리오에서 오프맵 세력인 중국 황제로 등장한다.
  • 드라마 신돈에서는 이석구가 맡았는데, 기황후와 그녀가 부리는 라마승들의 방중술에 사로잡혀 국정은 완전히 뒷전인 암군으로 묘사된다.
  • 무협소설 의천도룡기에서는 이름만 나오다가 대도에서 행차하는 장면에서 잠깐 등장한다. 2019년에 제작된 드라마에서는 나라를 망치는 암군으로 자주 언급되는데, 오죽하면 원나라 황족인 조민마저 황제 암살을 추진하고, 그녀의 아버지 여양왕 역시 황제의 실정을 비난하는 장무기에게 '나라고 모를 것 같냐'며 옹호를 포기한다. 주원장은 '괜히 황제를 죽였다가 나라가 안정되면' 봉기가 수포로 돌아갈 수 있다며 교단 지도부의 황제 암살 주장을 억누른다.

6. 둘러보기





  • 문서 삭제식 이동(원 혜종 → 순제 → 원 순제(→ 원순제)→ 혜종(원))
  • 문서 삭제식 이동 복구(원 순제 → 원 혜종, 원 혜종 → 원 순제)

[1] 북원이 올린 묘호. 말 그대로 묘호이기 때문에 묘가 없는 명나라에서는 따로 묘호가 없다.[2] 북원 추증.[3] 명 추증.[4] 이미 세조 때에 썼던 연호를 다시 사용했다. 같은 국가에서 동일한 연호를 사용한 유일한 사례.[5] 본 연호에서 유래하여, 《원사 元史·명종본기 明宗本紀》에선 혜종을 지정제(至正帝) 또는 지정주(至正主)라 부르기도 한다.http://thesaurus.itkc.or.kr/search/view?dataId=3457&sType=_detail&q=&secType=uf&&fq=cateType2_fct%3A%EC%9D%B8%EB%AA%85%2F%EC%99%95%EC%8B%A4%2F%EA%B5%AD%EC%99%95&fq=catePeriod1_fct%3A%EC%A4%91%EA%B5%AD&fq=catePeriod2_fct%3A%EC%A4%91%EA%B5%AD%2F%EC%9B%90[6] 경신년에 태어났다하여 섭자기(叶子奇)의 저서《초목자 草木子》에선 경신제(庚申帝)라 불렀다. 《삼원필기 三垣筆記》에서는 경신군(庚申君)이라 불렀다. 혜종 재위기를 기술한 원말명초 문인인 권형(權衡)의 저작 《경신외사 庚申外史》 또한 이러한 혜종의 별칭에서 유래했다.https://news.joins.com/article/6127680 [7] 원나라 황제 중 가장 오랜기간 재위했으며, 쿠빌라이 칸을 제외한 모든 황제들의 재위기간을 합한 것보다 길다(...).[8] 노반(魯班)은 전국시대 초나라 사람으로 톱과 대패, 끌을 발명하였다는 얘기가 있으며 도교에서 목수(木手)의 신으로 신격화되었다. [9] 정유휘성황후의 이름은 매래적(邁來迪)이다. 정사에서는 토곤테무르의 어머니가 카를룩 부족 출신이었다고 적혀있는데 매래적이 카를룩족 출신이다.[10]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 츠펑 시 커스커텅 기[11] 중국 현지에서는 대체로 한족 민족주의자들이 전자에 해당하고 다른 이들, 특히 하나의 중국을 추구하는 한족들 및 비한족계(특히 몽골계) 중국인들이 후자에 해당한다.[12] 북원을 AI가 할 경우 명의 둔황까지는 점령 하는데 토번의 라싸는 점령 가능성이 반반이고 초기 인물들이 다 죽으면서 듣보잡 클론 장수들이 북원의 황제가 된다.[13] 문화 건물을 지을 공간이 부족하면 이주 유닛을 만들어 카라코룸의 지배 범위를 줄이고 지배 범위 밖의 건물들을 군대로 약탈 해서 빈 땅으로 만들고 증축으로 빈 땅을 다시 수복 하면 된다. 어차피 몽골 출신 장수들은 약탈을 해도 충성도가 떨어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