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방송
[clearfix]
1. 개요
1997년 개국. 울산·양산, 경주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지상파 민영방송사로, SBS와 네트워크 협정을 맺고 있기 때문에 상당수의 SBS 프로그램을 릴레이한다.[3]
지역민방 중 가청권역이 가장 협소한 방송국이며, 부산 경남일원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KNN과 달리 울산방송은 울산시 전역과 양산시를 주로 한다. '''하나의 경남에 두개의 광역권 민방이 존재'''한다. 특히 양산시는 KNN과 울산방송의 방송권역이 중첩된다. 단, 양산지역 케이블방송 회사인 CJ헬로는 양산지역에 KNN만 송출한다. 2005년 PSB(현재의 KNN)와 함께 경남 권역을 놓고 경쟁을 벌인 적이 있는데, 당시 ubc는 방송국 이름도 바꾸고, 사옥도 창원으로 옮기겠다고 했지만 승자는 이미 유선방송을 통해 적지않게 보급되었던 PSB쪽이었다.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옆 동네 방송사에서 임대받아 운영한 적이 있다. 주소가 바뀌었지만 페이지에서 흔적이 남아 있다.
SBS와 네트워크 협약을 맺은 지상파 민영방송사 중 영문 사명이 Corporation인 세 곳 중 하나이다. 나머지 두 곳은 TBC와 kbc이며, 세 곳 중 유일하게 뉴스 멘트가 "ubc 뉴스, ○○○입니다."로 끝난다.
2. 상징
2.1. 마스코트
방송 개시 후 약 10년 간은 빨간색 U, 파란색 B, 초록색 C가 각각 머리, 오른쪽 몸, 왼쪽 몸을 이룬 인간형 로고를 방송국 로고 겸 마스코트로 사용했지만 2007년쯤에 밑의 해울이로 바뀐 후에는 소리소문없이 사라졌다. 다만 홈페이지란에는 여전히 이놈이 차지중이다.[4]
현재 마스코트는 울산광역시 마스코트인 해울이의 디자인을 수정해서 쓰고 있으며 ID에서 화면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존재감을 나타낸다.
2.2. 로고송
어째 만드는 곡마다 여러가지 버전을 제작해서 같이 내보낸다...
첫번째 로고송은 사장조의 비교적 평범한 버전과 내림나장조의 느릿느릿하고 우울해지는 버전이 주로 쓰이고, 간혹 마음의 깨끗해지는 아스트랄한 로고송이 있었는데, 모두 같은 여성(남성 코러스 제외)의 목소리로 녹음했다.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두번째 로고송은 마장조의 CM송 분위기의 여성 목소리로 부른 노래, 통기타 반주가 어우러진 다장조의 남성 목소리로 부른 노래가 있다. 앞부분만 들으면 울산 홍보송인 줄 안다. 현재는 둘 다 사용.
세번째 로고송은 2020년에 새로나온 로고송이며 제로 웨이스트 애니메이션 로고송이다.
여담이지만 2010년 중반때에 새 로고송을 내보낸 적도 있었으나 얼마 못가서 폐기하고 기존 로고송만 나오고 있다. 행복을 드려요 사랑을 전해요로 추정.
3. 역사
주리원백화점을 운영하던 '주리원'이 1996년 방송 사업권을 획득, 1997년 10월에 개국했으나, 이로 인한 부채로 백화점과 민방을 모두 현대백화점(금강개발)에 매각하고 '현대DSF'로 사명을 변경하여 자회사 형태로 편입되었다. 이후 2002년 현대 측이 갖고있던 지분 전량(30%)을 KCC에 매각하였으나 기사, 이후 방송법의 대기업 소유제한을 규정하는 제8조제3항[8] 에 저촉되어 한국프랜지공업에 지분을 넘겼다.[9]
2013년 DART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한국프랜지공업이 지분율 30%로 대주주였으나, 2018년 11월, 최대주주인 한국프랜지공업이 울산방송을 SM그룹에 매각한다는 보도가 나가자 울산지역 시민사회와 시의회가 매각 과정을 공론화하자고 주장했다.#
이후 SM그룹 측과 언론노조는 지난 6일부터 4차례에 걸쳐 교섭을 실시, SM그룹이 최대주주가 되는 것을 전제로 합의를 이뤘다. SM그룹은 고용승계 보장, 지역성·공공성 강화 방안 공표, ubc 신임 사장 공모 진행 등을 약속했다.#
이 방송국의 지상파DMB 방송은 KNN DMB라는 이름으로 패키지로 묶여 있으며, 여기에 딸린 채널 ubc u라는 이름으로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방송구역도 KNN과 공유한다. ubc u는 일부 자체방송 시간을 제외하면 YTN의 프로그램을 재전송한다.
여담으로, 위의 이미지에서 보듯이 CI로는 소문자로 쓰지만, 어찌된 일인지 대문자로 적는 사람이 많다. 심지어는 소문자로 써놓은 것을 대문자로 바꿔놓기까지 한다. 경인방송과 OBS경인TV를 제외한 지역민방들이 뉴스를 공급하는 SBS 8 뉴스에서도 대문자로 표기된다.
2013년 11월 15일 방송통신위원회의 2012년도 방송평가 결과에서 81.58점을 받아 전국 10개 지역민방 중 4위를 차지했다. 기사
공업탑 인근에 이 울산방송의 로고와 이름을 도용한 ubc사우나가 있으나, 상표권 문제인지 로고를 완전히 다르게 바꿨다.
4. 사옥
개국 당시부터 2010년 12월 19일까지 현대백화점 울산점의 11~13층[10] 을 사옥으로 사용하였었다. 위 역사항목에 나오듯이 창립주주로 해당건물의 주인이었던 주리원/현대백화점이 참여했었던 영향이다. 2010년 12월 20일에 사옥을 학산동의 (구)삼성전자 울산사옥으로 이전하였다. 신사옥 이전과 동시에 자체방송을 HD방송으로 송출하기 시작하였다. 해당 건물은 지상 8층짜리 건물이지만, ubc는 5층부터 8층까지 사용하고, 나머지 4개 층은 국민연금공단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울산 지사가 임대 사용 중이기에 ubc의 사용 면적은 오히려 백화점 사옥때보다 규모가 줄어들었다.
5. 직원
5.1. 아나운서
5.1.1. 현직
- 장수정
- 편정택
- 이산하
- 이승재
5.2. 기자
5.2.1. 보도국 주요 구성원
- 김익현(보도국장)
- 이영남(취재팀장)
- 장진국(편집제작팀장)
5.2.2. 취재팀
- 윤주웅
- 조윤호
- 김규태
- 배윤주
- 배대원
- 신혜지
- 김진구
6. 제작 프로그램
6.1. 보도
뉴스멘트는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프로그램명)입니다."[11]
6.2. 시사 / 교양
- 좋은날 좋은시간[12]
- TV와 시청자
- 테마스페셜(KTV)
- 필 환경시대의 지구수다
- TV닥터 처방전
- 화첩기행(대전방송)
- 네모세모(대전방송)
- 최강1교시(KNN)
- 싱싱! 고향별곡(TBC)
- 톡톡 보험설계(KNN)
- 지금 무대에선
- 시사진단
6.3. 예능, 오락
6.4. 드라마
7. 라디오
ubc 그린FM 문서 참조.
8. 송출현황
[image]
- 무룡산 송신소를 주력 송신소로 운용하며, 울산과 양산 곳곳에 무인 중계소를 운용하고 있다.
- 본항에 기재하는 TV 채널은 디지털 TV이다. 아날로그 TV는 주가청권역인 울산광역시의 경우 2012년 8월 16일에 방송이 종료되었기 때문에 본항에서는 기재하지 않는다.
- 디지털 TV의 모든 물리채널에 부여된 가상채널은 6-1번이다.[14]
- 채널과 주파수 앞뒤에 붙는 ch.와 Mhz 등의 단위는 생략한다.
8.1. 방송지역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대부분 지역을 제외한 울산광역시 전역과 경남 양산시에서 방송된다.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부 및 경상북도 경주시, 청도군 일부에서도 나온다.
9. 관련 문서
[DMB] [1] 자체 방송시간 외에는 YTN 수중계.[2] KNN과 공용.[3] DMB는 KNN이 경상남도 전 지역에서 송출되고 울산방송은 경상남도에서 mYTN 역할을 한다.[4] [image][5] 총 2가지 버전이 있다.[6] 총 2가지 버전이 있다.[7] 12초부터[8] 과거 방송법 제8조제3항: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의한 기업집단 중 자산총액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기업집단에 속하는 회사(대기업)와 그 계열회사는 지상파방송사업을 겸영하거나 그 주식 또는 지분을 소유할 수 없다.[9] 여담으로 한국프랜지는 과거 울산민방 사업자 공모에서 주리원과 경합했으나, 범 현대가(창업주인 김영주 명예회장이 왕회장의 매부이다.)여서 방송법 제 8조 3항 위배 논란으로 인해 탈락한 흑역사가 있다. 한국프랜지 측에서는 사필귀정(...)이라 생각했을 듯.[10] 이전한 후에는 당연히 매장으로 리모델링되었다.[11] 단, 편정택 아나운서는 '시청자'를 빼고 말한다.[12] 2013년에 이수민이 출연하기도 했었고, 문지영이 현 MC 체제이다.[13] 2006년에 첫 방송을 해 2018년 1월 6일에 500회를 맞았다. 지역 음악 프로그램으로써 장수 프로그램 축에 속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재 진행은 2011년 부터 JK김동욱이 맡고있다.[14] 단, JCN 울산중앙방송에서는 8VSB 송출로 완전 전환하면서 13-1번으로 바꿨고, 6-1번과 6-2번에는 EBS 1TV와 2TV가 들어갔다. 셋탑박스와 아날로그 케이블방송에서는 처음부터 13번 (ubc) / 6번 (EBS1)에서 송출해왔다.[15] 상술했듯, 케이블 방송사는 KNN만 송출한다.[16] 외동읍, 양남면, 양북면, 내남면 등에서 수신 가능하나, 지역 케이블 방송사는 2010년대 후반 들어 TBC만 송출하도록 바뀌었다. 이는 MBC도 마찬가지로 울산문화방송에서 포항문화방송 및 대구문화방송으로 송출채널이 바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