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메탈

 

'''Nu Metal'''
1. 용어의 정리
2. 장르적 특성
3. 장르의 역사와 흥행
4. 장르의 흥행과 쇠퇴
5. 장르의 흥망성쇠
6. 뉴메탈을 위한 변론
7. 뉴메탈의 부활?
8. 하드코어 논란
9. 나무위키에 항목이 등록되어 있는 뉴메탈 밴드 목록


1. 용어의 정리


음악 장르 중 하나. 명칭에서 볼 수 있듯이 메탈에서 파생되었으나, 보수적인 헤비메탈 팬들[1]은 뉴메탈을 헤비메탈로 인정하지 않는다. 요즘은 이런 경향이 매우 줄어들긴 했지만, 분명히 정통 헤비메탈이나 익스트림 계열 장르와는 확연히 성격이 다른 장르이긴 하다.
뉴메탈은, 주로 다운튜닝 되거나 스탠다트튠 전기 기타로 묵직한 락사운드를 내는 음악들이 많았다.
용어로는 New Metal이 아닌 Nu Metal. 이것 때문에 한국어로 표기할 때 뉴메틀/뉴메탈이 아니라 누메틀 혹은 누메탈이라고 표기해야 맞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발음기호를 보면 Nu도 New와 같이 '뉴'라고 발음하며, 실제적으로 누메탈이라고 쓰는 경우는 없다.[2] 비슷한 사례로 누 디스코같은게 있다.
가끔 한국에선 핌프록이라는 장르로도 알려져 있는데[3], 잘못 알려진 용어이다. 핌프록이라고 하면 정작 서양사람들은 못 알아듣는다. 사실 요즘까지 핌프록같은 말을 쓰는 사람은 없지만. 참고로 Pimp는 상당히 애먼 뜻이라서 뉴메탈 팬들에겐 욕을 바가지로 먹을 수도 있다.

2. 장르적 특성


뉴메탈은 다른 장르보다도 태생적으로 말이 많은 장르이다.얼터너티브 메탈을 기반으로 헤비메탈적인 요소를 얼터너티브 록, 힙합, 그런지 등과 섞은 장르이기 때문이다. (뉴메탈의 자세한 시초는 얼터너티브 메탈 문서 참조). 따라서 장르적 색깔로는 이보다 더 애매할 수 없다.[4] 즉, 용어가 다루는 음악들의 스펙트럼이 너무 넓다.
엄밀히 말하면 록의 범주에는 포함이 되지만, 얼터너티브 록의 하위장르가 아니며 그렇다고 순수 메탈 장르도 아닌 록과 메탈의 크로스오버 스타일이라고 보는 게 맞는다.
간단하게 역사적으로 말해보면 90년대부터 락 시장에서 메탈이 지고 얼터너티브 록이 엄청나게 뜨게 되는데 이러한 얼터너티브 밴드들 중에서 메탈의 과격한 느낌도 더해 메탈같은 음악도 보여주는 밴드들을 전부 다 얼터너티브메탈이나 뉴메탈이라고 했다. 결국 이러한 과정에서 이름이 붙여진 장르니 그 폭이 너무 넓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애매모호한 장르적 특성으로 일부에서는 믹스쳐 록/메탈같은 용어로 분류하기도 한다. 혹은 NWOAHM이라는(New wave of American heavy metal의 약자) 새로운 흐름의 음악중 한 형태로 뭉뚱그리기도 한다.

3. 장르의 역사와 흥행


1990년대 초반부터, 커다란 인기를 얻었던 얼터너티브 록. 그 얼터너티브 록의 모던한 사운드에 메틀의 강렬하고 무거운 사운드를 혼합하여 앨리스 인 체인스(Alice In Chains), 사운드가든(Soundgarden), 페이스 노 모어(Faith No More)와 같은 밴드들이 얼터너티브 메탈의 사운드를 열었다.
그 후로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Rage Against The Machine. 이하 RATM)[5], (Korn), 림프 비즈킷(Limp Bizkit), 데프톤즈(Deftones), 디스터브드(Disturbed)와 같은 밴드들이 선배들이 열어놓은 얼터너티브메틀 사운드에 랩과 힙합의 느낌을 강하게 풍기는 흑인의 그루브감과 리듬감을 주축으로 섞은 뒤 스래쉬 메탈, 파워 메탈, 펑크 록, 하드코어, 인더스트리얼 등 다양한 록/메틀 사운드를 결합한 새롭고 실험적인 음악 스타일을 탄생시킨다.
그렇게 하여 탄생한 장르가 바로 뉴메탈이다. 역대 록 음악 장르 중 가장 크로스오버적인 성향을 띠며 무궁무진한 발전을 이룩한다. 이러한 다양한 장르와 거부감 없이 섞일 수 있다는 특징 때문에 미국을 중심으로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퍼져나가며 각 음악평론가들에게 가장 각광받는 장르가 된다.
1세대가 터놓은 길을 통하여 시스템 오브 어 다운(System Of A Down.이하 SOAD)[6], 슬립낫(Slipknot) , 일 니뇨(Ill Nino) 머드베인(Mudvayne) 등의 2세대 밴드들이 그 바톤을 잡는다. 2세대는 더더욱 실험적인 발을 넓혀서 익스트림 장르를 비롯하여 소수의 밴드는 심지어 레게와 동남아의 음악 스타일까지 섞어넣는 기발함까지 발휘한다.
특히 1세대의 RATM, , 데프톤즈, 림프 비즈킷이나 2세대의 SOAD, 슬립낫과 같은 밴드들이 주로 내세웠던 음악 색깔인 뉴메탈을 기반으로 랩과 힙합이 섞인 랩메틀의 스타일을 대중화시키는 데 공헌하여, 메탈 팬뿐만 아니라 팝이나 힙합을 즐겨듣는 타 팬들까지도 넓게 포용하는 능력을 보여준다.
90년대 최고의 기타리스트라는 찬사를 받은 RATM의 톰 모렐로가 일구어낸 각종 이펙트를 활용한 기타 연주를 기초로 함은 물론, 일반적인 기타나 베이스나 드럼의 악기 이외에도 턴테이블, 클래식악기, 미디 프로그래밍 등 다양한 악기의 사용으로 사운드적으로도 풍부함을 선보였다.
은근히 스타리그 삽입곡하고 연관이 깊은 장르다. 이윤열과 최연성이 본좌취급 받을 때 시기 전후의 스타리그 삽입곡으로 뉴메틀/랩메틀 분야 아티스트들의 넘버가 심심찮게 삽입되었기 때문이다.

4. 장르의 흥행과 쇠퇴


이렇듯 뉴메탈은 가장 각광받는 장르였지만, 또한 그 역사가 역대 메탈 장르 중 가장 짧은 비운의 장르가 되기도 했다. 거기에는 다음과 같은 슬픈사연이 있다. 전세계적으로 각광받는 밴드이다보니, 당연히 기획사 측에 속하는 수많은 음반 제작 레이블과 배급레이블들이 뉴메탈 밴드를 많이 섭외하게 된다. 그리고 MTV와 같은 방송사들이 자신들의 시청률과 이익을 증가시키기 위해 각종 음악 프로그램에 뉴메탈 밴드들을 섭외하는 등 잠깐의 빛을 보게 된다.
그러나 대형 레이블이나 MTV와 같은 대형 음악전문채널에서는 당연히 사람들에게 많이 팔려야 그만한 이익을 뽑게 되므로 역시나 당시 가장 각광받고 인기를 쓸어가던 1세대 밴드와 2세대 밴드를 중심으로 섭외를 하였다. 심지어는 음반 레이블에서 돈이 될 거라 판단되는 1세대의 음악과 2세대의 음악을 신인 밴드들에게 강요하는 시스템으로 돌아가기 시작했다.
이렇게 되자 결국 미국의 음악계는 개나 소나 닭이나 말이나 죄다 뉴메탈을 연주하는 밴드로 넘쳐나고 말았으며[7], 1세대와 2세대의 음악적 틀에서 더 이상 벗어나지 못 한 음반 레이블과 MTV프로그램이 원하는 사운드만 밴드들이 만들게 되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선배들을 동경하며 수많은 음악적 시도와 도전을 꿈꿨던 인디즈 밴드들마저도 자신들의 마인드를 버리고 타협하게 된다.
물론, 모두 다 자작곡들을 하는 밴드들이다.
결과적으로는 2000년대에 린킨 파크(Linkin Park)[8]나 Trust Company, Quarashi, Dry Cell, 파파 로치(Papa Roach)[9]와 같은 3세대 밴드들이 인기들을 매우 끌기 시작했으며 그 기간은 10년 정도였다.
2011년도부터는 연주와 음악 스타일만 엇비슷한 메틀 음악이라고 퇴물이 되면서 장대한 막을 내린다.

5. 장르의 흥망성쇠


처음 시작했을 때의 뉴메탈은 굉장히 실험적 장르였으며, 그 어떤 장르보다도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밴드들이 내세웠던 가사의 메시지도 살펴보면 1세대의 경우는 썩어가는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과 정치와 차가워진 사회와 인간관계 등을 비판하였고, 2세대에 들어서는 청소년 문제와 범죄, 사회문제를 넘어 개인적의 인생 및 삶의 고뇌를 바라보는 메시지를 내세워 자본주의와는 등을 맞댄 장르이기도 했다. 3세대 역시 음악들과 가사에서 매우 호평들을 받는다.
시간이 흐를 수록 몇몇 밴드들은 사운드가 바뀌기도 했는데, 1세대의 밴드였던 림프 비즈킷마저도 고유의 사운드와 마인드를 버리고 단순한 파티 밴드로 전락하는 등 안구에 쓰나미 몰리는 상황이 계속된다. 다만, '림프 비즈킷' 같이 거물 밴드들은 스타일이 바뀌어도 좋은 음악들로 인해서 판매량이나 팬층은 두터웠다.
물론 어디까지나 신진 밴드가 등장하지 못해서 패러다임이 10년정도 유지된 채 종결됐다는 이야기지 기존 거물 밴드들이 전부 다 망했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앞서 언급된 1세대, 2세대, 3세대 뉴메탈 밴드들은 이전같지는 않지만 여전히 락페에서 헤드라이너를 하거나 큰 규모의 전 세계 투어를 도는 등 메이저급 락 뮤지션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린킨 파크의 경우 뉴메탈로 분류할지 말지를 떠나 여전히 상당한 관중 동원력을 가지고 있고 슬립낫도 자신들이 직접 주최하는 락 페스티벌로 투어를 도는 등 이들까지 망해버린 건 아니다. 다만, 음악적 패러다임이란 면에서 전성기가 10년 정도 였다는 것이 사실이다.
국내의 경우는 아직도 뉴메탈을 한다고 나오는 신예 밴드가 생각보다 많다. 메탈코어같은 쪽보다 많은 기분도 들 정도. 물론 공연 기회들 자체가 적어서 아쉽겠지만 아직도 학창 시절 때에 많이 듣고 자란 세대들 덕뿐인지 공급은 있다. 국내 수요가 적어서 그렇지...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이러한 국내 뉴메탈 밴드들이 만들어 놓은 뉴메탈 전문 레이블도 있다.

6. 뉴메탈을 위한 변론


(위에 서술만 보면) 마치 매니아들이 찬양해 마지 않는 정통 메탈은 흥하고 뉴메탈만 망한거 같지만 이미 메탈 자체가 상업성에 있어서 여타 록 음악보다도 한참 뒤쳐진지 오래다.
오히려 최근 밴드별 공연 수익을 보면 초 상위권에 위치한 메탈리카등을 제외하고 메탈밴드 공연수익 순위의 상위권 상당수를 왕년에 끗발날리던 '''뉴메탈 밴드들'''이 차지하고 있다. 슬립낫, 시스템 오브 어 다운, 린킨 파크, 파파 로치 등이다. 이들은 쥬다스 프리스트나 메가데스보다도 더 높은 관중 동원력을 가지며 아이언메이든, 키스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링크
이들보다 후에 등장한 메탈 밴드 중에 가장 잘 나간다는 어벤지드 세븐폴드조차도 위의 뉴메탈 그룹보다 공연수익이 뒤쳐지는 판국이고 램 오브 갓 등의 나름 잘 나간다는 밴드들은 그보다도 한참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다시 말해 그래도 광의적으로 메탈로 분류되는 장르 중, 2017년 현재까지 뉴메탈을 능가하는 대중성을 보여준 밴드는 없다. 뉴메탈이 특별히 더 망한게 아니라 메탈 자체가 상업성에 있어 망해버린지 오래고, 그 중 아직까지 상당한 관중 동원력을 자랑하는 밴드들 중 상당수가 '''뉴메탈 밴드들'''이라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이야기. 적어도 대중성에 있어 마지막으로 가능성을 보여준 메탈의 하위 장르임은 부정할 수 없다.

7. 뉴메탈의 부활?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메탈코어 밴드들 중 일부가 뉴메탈의 요소를 끌어오면서 '''Nu-Metalcore'''#라는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기도 했다.[10] 비록 이조차도 뉴메탈의 전성기 시절처럼 폭발적인 반응은 이끌고 있지 못하지만, 그럼에도 이러한 시도들이 현재에도 계속해서 메인스트림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그 흐름을 이어받아 언더그라운드에서도 이와 비슷한 후발주자들이 새롭게 생겨나고 있다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이다. 이러한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밴드들로 Of Mice & Men[11], Issues[12], My Ticket Home 등을 꼽을 수 있으며, 이들의 음악을 들어보면 최근의 음악 트렌드에 맞춰서 깔끔하고 멋드러지게 다듬어진 뉴메탈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심지어 이 중 몇몇 밴드들은 선대 뉴메탈 밴드들이 으레 그랬듯 팝적인 멜로디와 코드 전개를 적극 차용하여 일반 대중들을 상대로 매력들을 어필하려 나서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외에도 다양한 장르에서 뉴메탈의 영향력은 남아있다. 메탈코어 씬에서 꾸준한 인기를 유지하고 있는 밴드들인 Bring Me The HorizonBullet For My Valentine은 각각 ''That's the Spirit'', ''Gravity'' 앨범에서 뉴메탈로 분류될만한 곡들을 다수 내놓은 바 있고, 이 바닥과는 전혀 관련 없을것 같은 Djent 계통 프로그레시브 메탈 밴드가 뉴 메탈의 요소를 가져오는 경우도 있다. 슬립낫의 곡을 커버하기도 했던 Periphery가 대표적이다.
한 편, 위의 연장선상에 있는 이야기로서 드럼 앤 베이스인더스트리얼 락 계통의 밴드들이 뉴메탈의 요소를 차용하는 경우도 있다. 아예 데뷔 앨범부터가 뉴메탈로 분류됐었던 Celldweller가 그랬고, 그와 자주 작업했던 Blue Stahli 또한 뉴메탈의 영향을 받은듯한 기타 리프를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장르 특성 상, 타 장르들과의 크로스오버가 자유분방하게 이뤄지는 편이라 얼떨결에 평론가들에 의해 뉴메탈로 묶여버리는 느낌도 들긴 하지만 말이다.
그 외, 최근에 데뷔한 밴드 중에서 가장 유명하다고 할 수 있는 그룹을 꼽자면 HOLLYWOOD UNDEAD[13]와 그 그룹 내 멤버인 DEUCE가 있다. 앞서 설명한 Nu-Metalcore류 계통의 밴드들보다는 좀 더 소프트하고 팝적인 느낌이 강하다.
좀 더 전성기 음악을 보여주는 쪽은 2010년대 후반부터 인디씬에서 왕성히 활동 중인 Discrepancies가 있다. 역시 인디씬에서 왕성히 활동하고 있는 From Ashes To New도 평이 좋은 편.
원년 기타리스트의 사망으로 활동 중단이었던 크레이지 타운도 2020년도에 신곡을 냈다.
2010년대 이후, 뉴메탈은 전성기었던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에 비해 전반적으로는 인기가 식었다지만 이 ''The Path of Totality''로, 림프 비즈킷이 ''Gold Cobra'' 앨범으로 각각 중박은 쳤고, 린킨 파크도 ''The Hunting Party'' 에서 비록 잠깐이지만 뉴메탈로 회귀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줬고 슬립낫, 에반에센스, 파파 로치, 디스터브드 등의 밴드들이 아직까지도 무대에서 수 많은 관중들을 동원하는걸 보면 잘 나가는 밴드들은 여전히 잘 나간다고 봐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8. 하드코어 논란


뉴메탈이 처음 등장했을 때 여러 음악 언론들이 새롭다, 과격하다 라는 느낌에서 하드코어라는 표현을 썼다. 하지만 그랬던 시간은 잠깐 뿐이었고 용어 정리가 되면서, 70,80년대부터 오랫동안 발전해온 하드코어 펑크와의 혼란을 없애고자 '뉴 메탈'이라는 표현으로 자연스레 옮겨졌다.
하지만 록 시장이 무척이나 협소하고 해외의 판도에 어두운 한국에서는 그런 변화 상황을 읽지를 못했고, 그 탓에 초반의 오해가 RATM이나 , 림프 비즈킷 등의 밴드에게 하드코어라는 호칭을 쓰는 웃지못할 일로 굳어졌다.[14] 심지어는 슬립낫의 1집 Slipknot의 초기 국내 발매반인 지구레코드반의 부클릿에서도 하드코어라고 소개했다! 이는 대중음악 담론이 부족했던 현실과 그런 와중에 국내 음악 평론가들인 weiv 필진이나 임진모의 책에 있는 하드코어에 대한 완전히 잘못된 서술까지 합쳐져 오랫동안 용어적 구분을 못하게 만들었다. 비단 평론가들뿐만 아니라 서태지 컴백당시 서태지 안티하던 언더 밴드들도 하드코어나 핌프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요약하자면 메탈 씬 자체가 너무 협소했고 거기서 코어씬은 정말 듣는 사람만 들었던 매니악한 쟝르였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장르의 정리가 안 되있었다.
2천 년대 들어서면서 바세린, 13스텝스, 삼청 등의 국내의 하드코어 밴드들이[15]본격적으로 수면 위로 모습을 드러내면서 용어의 잘못된 사용에 대한 구축은 비교적 빠르게 정리됐다. 현재는 뉴메탈을 들었던 세대의 경우 하드코어라는 용어를 사용 하는 경우가 적고, 이는 이 장르의 유행이 지난 시기에도 마찬가지이다.
여담이자면 '우리는 뉴메탈 음악을 한다'라는 식의 표현을 하는 밴드는 거의 없다. 음악의 발생과 그 역사에 따라서 사람들에 의해 얻어진 이름이 아니라, 철저히 시대적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장르 명칭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뉴메탈이라는 이름 명칭 자체에 비하의 뜻이 새겨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뉴메탈의 성립에 큰 영향을 주었거나 뉴메탈과 음악적 관련이 있다고 평가받는 많은 뮤지션들이 '우리를 뉴메탈과 엮지 말아달라'는 식의 주문을 하기도 한다.
  • 마이크 패튼(페이스 노 모어) : (뉴메탈 밴드에 대해) 난 책임이 없다. 책임져야 되는 건 걔네들 엄마지 내가 아니다.
  • 페이지 해밀턴(헬멧) : 우리 밴드가 뉴메탈인지 랩메탈인지의 탄생에 관련이 있다거나 영향을 줬니 안줬니 하는 말을 들을 때마다 당황스럽다. 우린 그런 음악 아니다.
  • 메이너드 제임스 키넌() : (림프 비즈킷의 프레드 더스트가 툴의 열성 팬이라는 말을 듣고) 학교 급식 아줌마가 나보고 좋아한다고 그러면 고맙기야 하지만 그렇다고 아줌마하고 데이트하고 싶지는 않을 거 아냐?
  • 트렌트 레즈너(나인 인치 네일스) : 나한테 뉴메탈 밴드들을 어떻게 생각하냐고 묻는다면, 그것은 완전한 가짜(insincere)다. '내 어린시절은 좆같고 난 빡쳤고 난 진짜 못생겼고 난 화장 떡칠했고 난 더 하드하고 더 빠르고 내 목소리는 너보다 더쿠키 몬스터 같아' 내가 보기엔 다 개그고 셀프 패러디다.[16] 출처는 2002년 2월호
이 발언의 원출처가 되는 인터뷰만 하더라도, 앞뒤 문맥을 보면, 대형 레이블이 마케팅을 위해 뭔가 신박한 장르 명칭을 붙여대는 걸 싫어한다는 걸 알 수 있으며, 뉴메탈도 그런 맥락에서 깐 것이다. 여담으로 트렌트 레즈너는 음악산업계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인물로 유명한데, 린킨파크에 대해서는 음악은 너무 좋은데 너무 회사 입장을 대변해서 어쩐지 미심쩍게 들린다(Linkin Park trumpet the company line in a way that makes their good music somehow sound suspicious.)는 식으로 평가한 적이 있었다. 그런데 린킨파크훗날 밝힌 바에 따르면 대형 레이블에서 실제로 그들에게 당시 뜨는 스타일을 강요했다고 한다. 심지어는 마이크 시노다를 빼고 다른 래퍼를 그 자리에 넣으려 시도하기도 했고, 림프 비즈킷 스타일로 랩을 하라는 요구도 있었다고(...) 물론, 린킨파크 멤버들이 거부를 했고, 데뷔앨범때부터 다양한 음악적 행보를 보이며 장수 인기 밴드로 남았지만, 당시 시점에선 트렌트 레즈너의 우려가 마냥 근거없지만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 치노 모레노(데프톤즈) : (2003년 셀프 타이틀 앨범 발매 후) 앨범을 들어보면 안다. 우릴 뉴 메탈로 뭉뚱그리는 개놈들한테 그러지 말라는 얘기다. 걔들은 내려갈 일만 남았고 우린 다르다. (의 2002년 앨범 Untouchables에 대해) 콘은 맨날 똑같다. 불우한 소년 시절, 나쁜 엄마. 좀만 있으면 한물 갈 거다. 조나단 데이비스(콘 보컬)가 몇살이더라? 서른? 부모님하고 같이 산지 꽤 되지 않았나?(다만, '콘'과 '데프톤즈'는 동세대로써 서로 친한 밴드이다.)
물론 모두가 이렇게 반응하지는 않는다. 뉴메탈 선구자 중 하나로 꼽히는 크리스천 랩메탈 밴드 P.O.D.의 보컬리스트 소니 산도발은 "정말 포화상태였다. 솔직히 몇몇 밴드 정도만이 오리지널리티가 있었다"고 인정하면서도 "뉴메탈이 돌아오길 바란다. 뉴메탈은 너무 오래가지 못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뉴 메탈' 밴드들끼리는 서로 친한 경우가 매우 많으며, 한쪽에서 디스하지 않는 한 서로의 인기도 인정하는 편이 매우 많다.

9. 나무위키에 항목이 등록되어 있는 뉴메탈 밴드 목록


  • 머드베인
  • 닥터코어 911
  • 린킨 파크
  • 림프 비즈킷
  • 슬립낫
  • 시스템 오브 어 다운
  • 오텝
  • 에반에센스[17]
  • 파파 로치
  • 피어 팩토리
  • 디스터브드[18]
  • 데프톤즈
  • Trapt
  • 311
  • Payable on Death
  • Lostprophets[19]
  • 머쉬룸헤드
  • 할리우드 언데드
  • Of Mice & Men
  • Skillet[20]

[1] 특히 익스트림 메탈 팬덤.[2] 미국에서는 New를 '누'라고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영국발음과는 다르게 u, ew 발음이중모음으로 발음하지 않다보니...[3] 옛날 옛적 림프 비즈킷이 자신의 음악을 핌프록이라고 표현한 적이 있다. 사실 이건 후술할 뜻을 미루어볼 때 고의적으로 언론, 팬덤의 과도한 장르 놀음에 반감으로 일부러 비하적인 장르명을 붙여서 일종의 셀프디스한 것이다. 다만, 림프비즈킷이 전성기시절 매우 잘나갔던 록밴드임에는 부정할수 없다. 90년대 국내의 음악잡지들은 록 장르에 대한 무지로 이 장르를 '하드코어' 내지는 '핌프록'으로 소개했었다. 결정적으로 서태지가 울트라맨이야로 컴백했을 때 언론에서 하나같이 핌프록으로 소개하면서 퍼지게 되었다.[4] 애당초 장르명이 Name Unknown Metal에서 N과 U를 따서 NU Metal이 된 것이다.[5] 가끔 뉴메탈 밴드로 분류가 되는 경우도 있긴 하나 그렇게 부르는 사람은 적은 편이다. 보통은 얼터너티브 메탈이나 랩 메탈, 랩 코어로 분류된다. 다른 뉴메탈 밴드와는 달리 록 밴드의 기본 편성인 일렉트릭 기타(+수많은 이펙터), 베이스 기타, 드럼 외의 악기를 일절 쓰지 않고 훵크적인 요소도 매우 강하다.[6] 이쪽도 뉴메탈로 분류하기엔 조금 애매. 위키백과 상의 RATM이나 SOAD의 장르 분류엔 뉴메탈이 하나도 들어가 있진 않지만, 뉴메탈 밴드 목록엔 각주가 3개 이상씩 들어가면서까지 끼어있다.[7] 특히 크레이지타운(Crazytown)의 Butterfly는 가사가 국내 아이돌 그룹 저리가라 할 정도로 진부한 연애 타령일 정도니... 다만, 크레이지타운의 버터플라이도 인기가 높았다. [8] 정작 자신들은 뉴메탈 밴드라고 불리는 것을 매우 싫어하고, 또 뉴메탈을 벗어나 많은 장르를 시도하고 있다.[9] 이쪽은 아예 매 앨범마다 스타일을 바꾼다. 뉴 메탈은 2집까지만 그렇다.[10] Nu Metal Revival 이라고 불리기도 한다.[11] 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메탈코어: Of Mice And Men의 ''Restoring Force'' : ''Full Circle'' # '''by. 조원희''' [12] 진짜 팝 메탈이란 무엇일까: Issues의 ''Headspace'' # '''by. 성문영''' [13] 멤버전원이 가면/마스크와 반다나로 얼굴을 가리고 활동한다.[14] 심지어 판테라를 하드코어로 분류하는 평론가도 있었다.[15] 하드코어는 외국에서는 정확히 하드코어 펑크를 뜻하며, 블랙 플랙이나 서클 적스 같은 밴드들로 시작해서 마이너 쓰레트, 어그노스틱 프론트, 식 오브 잇 올 같은 밴드로 이어지는 일련의 골수적이고 매니악한 펑크록의 분파를 일컫는다. [16] 트렌트 레즈너는 자신의 음악조차도 어떤 특정 장르로 분류되는 걸 굉장히 싫어한다. 보통은 인더스트리얼 계열로 분류되긴 하지만...[17] 고딕 메탈의 영향을 받아 다른 뉴메탈 밴드들과 지향하는 사운드가 다르다.[18] 스타일 자체는 정통 메탈 및 스래시 메탈에 가까운 편이며 4집 이후로는 헤비 얼터너티브 메탈로 분류된다.[19] 초기 한정. 후에 이모로 전향.[20] 크리스천 락밴드로 얼터너티브 메탈포스트 그런지도 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