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인민 공화국

 




'''몽골 인민 공화국'''
'''ᠪᠦᠭᠦᠳᠡ ᠨᠠᠢᠷᠠᠮᠳᠠᠬᠤ ᠮᠣᠩᠭᠤᠯ ᠠᠷᠠᠳ ᠤᠯᠤᠰ'''
'''Бүгд Найрамдах Монгол Ард Улс'''
[image]
[image]
국기
국장
'''Орон бүрийн пролетари нар нэгдэгтүн!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image]
1924~1992
위치
몽골 지역
수도
울란바토르
정치체제
공산주의, 민주집중제, 일당제, 공화제
국가원수
서기장주석
언어
몽골어, 러시아어
성립 이전
복드 칸국
개헌 이후
몽골국
1. 개요
2. 역사
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1924년부터 1992년까지 동아시아 지역에 존속했던 사회주의 공화국이었다. 국제적으로 승인을 받은 국가들로 치자면 '''세계에서 2번째로 성립된 공산주의 국가이다.'''[1]

2. 역사


1922년 러시아 지역에서 소련이 결성되고 1924년에 몽골의 마지막 군주인 복드 칸이 사망하고[2], 온건적인 사회주의자이자 민족주의자이며 그나마 몽골에서 점차 넓어지는 친소파와 달리 민족주의 성격을 뚜렷하게 지녔던 담딘 수흐바타르 또한 이미 작년, 1923년에 죽었다. 이러한 상황을 파악한 소련 정보당국의 첩보를 통해 그해, 이오시프 스탈린을 주축으로 한 소련 정부가 사회주의 국가는 군주제가 아니여야 한다고 주장하며 몽골이 완전한 사회주의 국가로 전환하도록 압박하자, 새로이 지도자가 된 허를러깅 처이발상을 중심으로 한 몽골 인민정부는 본격적으로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전환작업에 착수하여 1924년 11월 26일, 몽골 인민 공화국으로 국호를 변경하고 수도인 후레를 울란바토르(붉은 영웅)으로 바꾼다. 국부인 수흐바타르를 기리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몽골 인민 공화국은 소련식 사회주의헌법을 도입, 소련 이후 세계에서 두번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소련은 몽골 인민 공화국의 성립 때부터 후견국이 되어 중화민국(북양정부, 국민정부)의 위협으로부터 몽골 인민 공화국을 보호해주었다. 허나 그 대가로 몽골 인민 공화국은 모든 분야에 있어 소련에게 종속, 소련의 위성국이 되었다.
이후 몽골 인민 공화국은 일본 제국괴뢰국만주국과의 충돌로 일어난 할힌골 전투라는 소규모 전투를 벌였으며, 독소전쟁이 일어나자 (몽골이란 나라가 작아서 큰 도움이 되진 않았지만) 소련에게 전쟁물자를 거의 무상으로 퍼줘야 했다. 또한 1945년 8월에는 끝나가고 있던 제2차 세계 대전에 공식 참전하였다.몽골은 소련과 함께 만주 작전에 가담하였으며, 몽골 인민군은 소련군과 함께 만주내몽골 지역을 괴뢰 정권으로 하던 관동군과 전투를 벌여 승리하였다. 이미 1944년, 소련은 투바를 합병시켰으며 여기에 더해서 내몽골을 외몽골에 병합시키는 계획과 함께 다시 그 통합한 내외몽골을 '''몽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병합시킬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기도 했으나 미국, 중국의 반대로 철회하였다.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엔 일본의 항복이전 8월 14일에 맺어진 중소 우호 동맹조약에 따라 외몽골의 국제적인 독립국가 위치를 확립시키려는 소련의 요청으로 중국, 소련등 국제사회의 선거관리하에 1945년 9월 21일 몽골의 독립을 묻는 독립투표에서 만장일치 찬성득표로 공식적으로 외몽골의 독립이 확정되었다. 1945년 11월 10일 몽골 정부는 투표 결과를 중국과 소련에 공식 통보했다. 투표의 결과를 받은 중국 정부는 1946년 1월 5일 독립을 승인하고 2월 5일에는 중화민국과도 외교 관계를 정식으로 수립하였다. 그러나 1949년 중국 대륙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고 중화민국과의 외교 관계는 백지화되었다. 1949년 10월 16일 에는 국공내전에서 승기를 잡고 신중국의 건국을 선언한 마오쩌둥의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고 1961년에는 유엔에 가입하였다. 한편 국부천대를 실행한 장제스의 정권은 중공과 소련 사이에 맺어진 중소 상호 원조 조약을 이유로 예전에 국민당의 장제스 정권과 맺은 중소 우호 동맹조약이 무효화 되었음을 선언하면서 우호조약에 따라 맺어진 몽골 독립투표의 무효화를 선언하게 된다. 중화민국은 계속해서 몽골을 자신의 땅으로 주장하였지만 중화민국의 국제적 위상이 너무 줄어든 상태라 다들 별로 신경쓰지 않았고, 훗날 2012년 중화민국은 몽골의 독립을 다시 인정하게 된다.
1980년대 이후 미하일 고르바초프소련의 서기장으로 취임하여 소련을 개혁하고 서방에 대한 개방 정책을 추진하면서 소련의 위성국이었던 몽골도 영향을 받았다. 몽골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로 몽골의 일당독재당 몽골 인민혁명당1990년 5월 헌법을 개정하고 그해 7월 자유선거를 실시하였다. 민주화를 받아들인 영향으로 몽골 인민혁명당은 안정적인 기반을 구축하였고 그를 바탕으로 자유선거에서 압승하였다.[3] 정권을 잡은 몽골 인민혁명당은 국회 야당과 합의를 거쳐 1992년 2월 15일 새로운 헌법을 발표하고, 신헌법에 따라 국호를 '몽골 인민 공화국'에서 '몽골국'(몽골)으로 변경했다. 아시아의 구 공산권 국가 중에서는 키르기스스탄과 함께 민주주의로 성공적으로 이행한 드문 케이스가 되었다.

3. 관련 문서




[1] 투바 인민 공화국이 아니냐는 말이 나올 수 있지만 몽골 인민 공화국, 소련, 몽골을 제외한 국가들은 투바를 승인하지 않았다. 이는 몽골도 마찬가지였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승전국이 되어 1949년에는 대부분의 국가들에게 승인받았으며, 1961년 국제 연합에도 가입하는 등 국제사회에서 주권 국가로 활동하였다.[2] 복드 칸은 제8대 젭춘담바 후툭투인데 대대로 환생하는 라마승으로 여겨져서 독실한 티베트 불교도였던 몽골인들 사이에서 큰 종교적인 권위를 지녔던데다가 중국과 운게른에게 끼이다시피했지만 그럼에도 몽골의 독립에 앞장선 인물로써 민중의 지지가 강했고 그 때문에 혁명정부에서도 복드 칸은 차마 건드리지 못했고, 사회주의 입헌군주제라는 듣도보도 못한 형태로 유지되었다. 그 후 복드 칸이 사망하고 나서야 공산정권은 라마승의 환생은 더 이상 없다면서 군주제를 폐지하게 되었다. 제9대 젭춘담바 후툭투는 달라이 라마 13세에 의해 인증을 받았지만 공산정권을 피해 티베트, 그리고 티베트가 중국군에 점령된 이후에는 인도 다람살라 티베트 망명 정부에서 생활하다가 몽골이 민주화되고 나서 귀국해 한 세기만에 다시 인정받게 되었다.[3] 이후 몽골 인민혁명당은 6년 뒤인 1996년 야당 몽골민주연맹(Mongolian Democratic Alliance)에게 패배하여 75년 만에 정권교체가 이루어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