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답을 알고 있다

 

[image]
[image]
한국어판 표지
저자
1. 개요
2. 저자에 관하여
3. 논파
4. 유사 실험
5. 기타


1. 개요


선마크(サンマーク) 판사에서 2001년에 출판하고[1] 한국에선 나무심는사람 출판사가 2002년에 첫 번역출판한 서적. 원제는 ≪水は答えを知っている その結晶にこめられたメッセージ≫(물은 답을 알고 있다 그 결정에 담겨 있는 메시지)
저자는 2003년에 2권을 출판하는 등 보강활동(?)을 했다.
좋은 말을 하고, 나쁜 말을 줄이면서 물을 통해 우리의 몸을 건강하게 하자. 우리의 몸도 70%가 물이기에 물과 마찬가지로 좋은 말을 할수록 몸에 좋다.
'좋은 말만 하자'라는 주제만 놓고 보면 철학적 의도는 좋았다고 볼 수 있지만, 그 주제에 대한 '''근거'''로 제시한 것들이 '''말도 안되는 허무맹랑함의 결정체'''라 유명해진 책이다. 심지어 일본 신토의 황조신(皇祖神) 아마테라스의 이름을 발음하면 물의 결정이 예뻐진다는 허무맹랑한 주장도 있다.
국내에서 이 책이 더욱 유명해진 이유는, 이런 말도 안 되는 책이 한때 베스트셀러로 팔리고 중고등학생 권장서적에 올라갔던 역사가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각종 서점에서는 이 책을 과학 탭에 분류하는데, 이런 책이 과학 분류에서 팔린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황당하다고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이다.
내용이 워낙에 허무맹랑한지라 본토 일본에서도 사이비과학 취급받기는 매한가지다.
그리고 애초에 물이 자아가 있고 스스로 판단할 수 있다면 이 지구를 먼저 떠났을 것이다.

2. 저자에 관하여


저자 에모토 마사루(江本勝, 1943-2014)는 일본의 요코하마시립대학 문리학부 국제관계학을 전공한 사람으로, '''애초에 과학자도 아니다'''. 과학은커녕 '''문과 출신으로, 이공계 논문 한 편도 쓴 적 없다'''. 요미우리 신문사에 근무하다가 1986년에 인터내셔널 헬스 메디컬(후에 I.H.M.으로 개명)이라는 회사를 설립하여 사장이 되었다. 이후 (일본어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1992년부터 2012년까지 20년에 걸쳐 저서 33권을 집필했고, 공저자로서 다른 책 4권 출판에도 참여했다.
참고로 본인이 자신의 이름을 스스로 상표 등록하였다고 한다(...) 그것도 40개국 상표기관에 말이다. 그래서 RationalWiki에 있는 에모토 마사루의 문서는 제목이 Masaru Emoto™으로 돼 있다.
사실 에모토가 물을 주제로 쓴 불쏘시개는 이 책이 처음이 아니다. 1995년 《파동과 물과 생명(波動と水と生命)》[2]에서 이미 카더라를 선보였고, 1999년에 《물이 주는 메시지(水からの伝言)》를 내놓으며 본격적으로 물을 주제로 헛소리를 한 것이다.
에모토가 쓴 책들은 많지만 내용은 하나같이 '우주의식'이니 '일본의 종교'니 하는 주제로 이상하기 그지없다. 일본의 국가주의와 오컬트가 합쳐진 듯한 내용. 뭔가 요상한 책들을 많이 썼지만, 특히 2011년에 출판한 《지구에 숨은 궁(地球隠れ宮)》[3]이라는 책에서는 10세기 초에 창건된 헤이타테 신사를 뜬금없이 1만 5천 년 전부터 있었다고 역사를 끌어올리고, 일본이 5색 인종의 중심이라고 개념은 안드로메다로 보내는 주장을 하였다. 1945년 패전 이후로 헤이타테 신사가 이런 터무니없는 주장을 하는데, 에모토가 이 떡밥을 물은 것이다.[4]
에모토 마사루는 폐렴을 앓다가 2014년 10월 17일 향년 만 71세로 죽었다.

3. 논파


전체 내용을 굳이 다 열거할 필요 없이 책의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좋은 말을 써놓은 통과 나쁜 말을 써놓은 통에서 언 얼음을 현미경으로 관찰해보니 '''좋은 말을 써놓은 통은 얼음 결정이 예뻤고, 나쁜 말을 써놓은 통에서 언 얼음은 결정이 못 생겼다.'''
일단 주장의 근거로 쓰인 '물은 46억 년간 지구 상에 있었기에 뭐가 좋고 뭐가 나쁜지를 안다.'는 전제부터가 말이 안 된다. 물은 생물이 아니므로 무언가를 기억할 지능이나 기억할 기관이 없음은 둘째치고, 물 말고도 '''거의 모든[5] 원자가 똑같이 46억 년간 지구상에 있었기 때문이다.''' 단지 그 분자들의 구성이 바뀌었을 뿐이다. 예를 들어 탄소만 해도, 46억 년 전 흙 속에 있다가 흙이 점차 쌓이면서 퇴적되어 돌이 되고, 이 돌이 엄청난 압력과 열에 의해 마그마가 되고, 이 마그마가 화산폭발로 인해서 분출되다가 물과 만나 바로 식어 다시 돌이 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46억 년간 지구에 있었다. 따라서 저자의 논리대로라면, 물을 전기분해해서 수소와 산소로 만들면 기억하고 있는 것도 다 까먹고 다른 물질로 바뀐다는 흠좀무한 결과가 나온다. 새로 합성된 물은 46억년을 물로 지내지 않았더라도 그 능력을 터득하는 건 덤이다.
또한 이 주장은 언어의 자의성 및 사회성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당장 러시아어의 'Спасибо(스파시바).'는 한국어로 '감사합니다.'라는 뜻의 긍정적인 단어이지만, 한국어 욕 '씨발'과 발음이 비슷하다. 게다가 저자가 일본인이므로 일본어를 사용하여 실험했는데, 훌륭하다는 뜻인 일본어 표현 '素晴らしい' (스바라시이) 역시 발음이 '스바라시이'로, '씨발'의 변형으로 쓰이는 한국어 욕 '쓰발'과 비슷하다. 굳이 외국어를 들고 오지 않아도 반어법이나 돌려까기 등 욕설이 아니지만 상황에 따라 욕설보다 심한 말이 될 수 있는 말들도 있다. 당장 'X발 X같네'라는 발음의 어휘가 '정말 훌륭하다'라는 의미로 쓰이는 인공어가 만들어진다면 어떨까? 이뿐 아니라 '무지개같다'와 '무지 개 같다'처럼 띄어쓰기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말도 있다.
실험방법도 그야말로 엉터리다. 책 뒷부분에서는 파동에 의해 물의 결정 모양이 나온 것이라고 했지만, 실상은 그저 '''컴퓨터 워드로 좋은 문구, 나쁜 문구를 작성한 뒤 인쇄한 쪽지'''를 붙였을 뿐이다.[6] 그저 일반적인 종이가 움직이거나 무슨 소리가 나는 장치를 하지 않는 한 파동 같은 건 없다.[7] 거기다 실험을 하며 사진을 최소 10장 이상은 찍은 다음에 나쁜 말을 적은 얼음에서는 '어? 이거 좀 못생겼다.' 싶은 사진만 골라냈고, 반대로 좋은 말을 적은 얼음에서는 '어? 이거 좀 예쁘다.' 싶은 사진만 골라냈다. 거기다 책에는 뭐가 예쁘고 뭐가 못생긴 건지에 대한 기준조차 없다. 이러다보니 독자에 따라서 나쁜 말이 적힌 얼음 결정 쪽 사진이 더 예쁘다는 사람도 있다. 당장 고등학교 수준의 국어만 공부했어도 알 수 있지만 '예쁘다'라는 단어는 애매하고 주관적인 단어로 명제나 명확한 분류 기준이 될 수 없다.
심지어 이 책에서는 9.11 테러 며칠 전의 세계무역센터 사진을 보여줬더니 '''물 결정 모양이 비행기가 빌딩을 테러하는 모양'''으로 나타났다며 물이 '''예언'''까지 했다고 주장한 내용도 있다.
아마테라스라는 글씨를 보여주자 아름다움, 장엄함, 신성함이 느껴지는 결정 모양이 나타났다는 내용도 있다. 이뭐병...이딴 내용이 들어간 책이 번역되고 청소년 권장도서로까지 선정되었으니 관계자들이 얼마나 생각이 없었는가.
결론적으로 '좋은 말을 하면서 살자. 나쁜 말은 몸에 안 좋다.'고 말하려 한 의도야 좋았다. 하지만 문제는 '''말을 하기 위한 수단이 아주 잘못됐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런 교훈적 의도 때문에 몇몇 학교에서는 필독 도서로 선정됐다는 것이다. 심지어 이 책이 군 내 언어 폭력을 척결하겠다는 취지에서 모 부대의 장병필독도서로 선정된 적도 있다. 선정하는 사람과 극소수의 장병을 제외하곤 장병필독도서라는 게 있는지도 모르니 상관 없을지도.
이 주장이 틀린 가장 큰 이유는 귀납논증법을 사용했기 때문이 아니다. 귀납논증은 현재도 학술적으로 쓰이는 방법이다. 중요한 점은 그 '''근거와 자료의 신빙성'''이다. 이 조건이 충족된 다음에야 비로소 가설의 정확성, 논증 과정의 정확성, 다른 가능성들을 검토해보게 된다. 이 주장의 경우, '''근거와 자료부터가 신빙성이 없다.''' 당장 실험방식부터 신뢰성이 팍팍 떨어진다. 따라서 만에 하나 이 주장이 맞았다고 한들, 주장만 맞은 거고, 근거부터 가설까지 다 믿을 게 못 된다. 가짜동족어몬더그린 항목을 읽어보자. 애초에 물이 전세계의 말들을 일일이 인식해서 알아듣는 게 말이 될 리가 없다.[8]

4. 유사 실험


이와 비슷한 유사과학으로 '식물에게도 감정이 있어서 식물에게 헤비 메탈 같은 소리가 큰 음악이나, 욕설 같은 안 좋은 말을 들려주면 잘 안 자라고, 클래식 같은 조용한 음악[9]이나 좋은 말을 들려주면 잘 자란다.'는 주장이 있다. 음악적 취향까지 선악으로 연결짓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는 문제. KT&G에서 이 짓을 해서 만든 담배도 있다. 세금낭비다.
하지만 이러한 허무맹랑한 개 잡소리가 초등학교 학생들의 교과서에도 나온다면?정말 끔찍한 일이기 그지없다.하지만 짜잔~ 그 개같은 일이 실제로 일어났다.초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살펴보면 이런 말도 안 되는 소리가 나와있다 선생님들 중에서도 이 책을 읽어보라 권유 하신 선생님도 계신다.
좋고 나쁨이라는 것은 개인에 따라 달라지는 주관적인 기준이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될 수 없으며, 무엇보다 이 실험 역시 근거가 없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유사과학스럽게도 이러한 실험은 대부분 변인통제가 없어서 실험이라고 불러주기도 민망하다.[10]
Mythbusters에서 비슷한 실험으로 거의 동등한 조건인 온실들에서 키운 식물에게 한쪽엔 클래식을, 한쪽엔 헤비메탈을 들려줬는데 '''헤비메탈 쪽이 더 잘 자랐다.''' 이걸 음파가 식물의 세포벽에 부딪히면서 자극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는 가설이 있는데 어떤 장르의 음악이 가장 자극을 많이 주는지를 고려한다면 당연한 결과인 셈. 일단 저 원리가 맞다면야 그렇다는 거지만 말이다.
피키캐스트에서는 콩나물로 한쪽 화분에는 좋은 말을, 한쪽 화분에는 나쁜 말을 들려주며 실험했는데# '''나쁜 말을 들려준 쪽이 더 잘 자랐다.'''
호기심 천국에서는 동등한 조건인 두 무순 가운데서 하나는 욕설을 들러주고, 다른 하나에는 사랑스러운 말을 한 결과 사랑스러운 말을 한 쪽이 더 잘 자랐다. 물론 단순히 우연이다.
MBC에서는 2009년 방송된 한글날 특집 다큐멘터리 <말의 힘>에서 '''밥풀'''로 이 실험을 재현하려고 했다. # 게다가 여기서는 한술 더 떠서 '고맙습니다'를 들려준 밥풀에 핀 곰팡이는 '''하얗고 뽀얀 곰팡이'''로, '짜증나'라는 말을 들려준 곰팡이는 '''짜증나게 생겼다'''면서 포장까지 했는데 실제로는 하얗고 뽀얀 곰팡이와 짜증나게 생긴 곰팡이의 과학적 차이 그딴 거 없고 그냥 이미 둘다 곰팡이가 난 것, 그 뿐이다. 채널A이영돈 PD의 먹거리 X파일 34회에서도 비슷한 시도가 있었다. 굳이 이 프로들 이외에도 각 방송사에서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이론에 대해서 지지하는 다큐를 만들어 배포했다. 심지어 각 기업체 연수원 교육 때 이 이론을 설명하면서 상기의 녹화 다큐를 틀어주었음은 흑역사. 보건소, 학교의 상담사들이 인용하기도 한다. 중학교 1학년 비상교육 교과서에서도 이런 내용이 나온다.
실제로 모 군부대에서는 선진병영문화 교육의 일환으로 밥을 생활관에 놔두고 같은 실험을 하게 '''했다'''. 카더라가 아니다. 프랑스에서도 비슷한 실험이 있었다는 기사도 있었다. 기사에 따르면 '긍정적' 쌀이 더 많이 썩었다고 하며, 이것을 통해 내린 결론은 '우리가 사용한 태국 쌀에 마조히즘 성향이 있었다고 봐야 할지 모르겠다. 아니면 쌀은 고온의 가열로 이미 생명을 잃었으니, 우리의 ‘긍정적’ 메시지를 받아들여 왕성하게 증식한 것은 '''박테리아'''인지도 모른다.'는 것이라고 한다. 이런 식이면 결과가 어떻게 나와도 끼워맞출 수 있다.
어쨌든 물 결정이나, 오래 된 밥알이나 어떤 형태가 예쁜지 아무 기준이 없다. '예쁘다.'는 주관적 판단이 과연 과학적 기준이 될 수 있는지부터 따져야 할 판이니, 여기에서 합리성을 기대할 수는 없다.
2009년 방송된 <KBS 스페셜 - 10대 욕에 중독되다> 편에서도 2주 동안 양파 2그룹을 두고 한쪽은 음악을 들려주고 한쪽은 욕설을 들려주는 실험을 했다. 욕설을 들려준 그룹이 그린음악을 들려준 그룹에 비해 더 성장이 느리게 나타났지만, 이쪽도 과학적인 근거는 전혀 없는 경우.[11] 그냥 일반인이 재미삼아 한 실험을 봐도 알 수 있듯이 양파가 자라는 건 그냥 복불복에 가깝다.
프로 축구단 포항 스틸러스에서도 같은 내용으로 2012년에 '''긍정 고구마''' 실험을 했다. #

[image]
동영상 보기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12], 중학교 영어 교과서, 보건 교과서, 한문 교과서에서도 나왔다.
초등학생 때 방학숙제 자유실험으로 밥이나 식물 가지고 실험 했다가 낭패보는 경우가 있다. 그러고도 이미 이 이론에 세뇌되어 확고한 믿음을 가지게 된 순수한 어린이들은 그게 자기 잘못인 줄 안다. 심지어는 방학숙제를 넘어 아예 대놓고 교과서 지문에 집어넣는 경우도 있는데, 창비 국어 중학교 3학년 2학기 교과서에는 '''고운 말로 키운 양파와 나쁜 말로 키운 양파의 성장 차이'''를 들먹이며 언어 순화를 주장했다. 의도는 좋으나 결과가 어긋난 경우이다.
중고등학교에서 반 단위로 양파 키우기 실험을 하는 경우, 특히 상금이나 상장이 걸려있는 경우에는 온갖 병림픽이 펼쳐진다. 나쁜 말 양파의 싹을 자라지 못하게 한다든가, 두 양파의 이름표를 바꿔치기 한다든가.
[image]
효능에 따라 다양하게 판매하는 '''물'''. 이건 거짓말이다. 위에 사진은 미국에서 해당 증상마다 먹으라는 약 사진이다.
여기에 빠진 사람들은 이러한 반박이 나오면 음파 드립치는 게 다반사다. 가령 많은 문화권에서 좋은 말은 음파가 부드럽고 거친 말은 거친 음파를 가진다고 하는데, 음파하고 언어하고 구분조차 못 하는 소리다. 당장 온갖 욕설과 비속어도 매우 안정되고 부드러운 톤으로 말하려고 하면 할 수 있다. 음파를 운운하려면 '고맙습니다.'나 욕설 같은 '언어'가 아니라 음파로 실험해야 한다. 언어가 아니라 음파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전혀 다른 이야기다. 목소리 톤이 아무리 부드러워도 비꼬는 말은 불쾌하기 마련이다. 당장 또 찾으려면 영어에서도 거친 소리지만 긍정적인 말[13]이나 부드러운 소리지만 부정적인 말[14]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고맙습니다'를 러시아어로 하면 '스빠씨~바' 로 한국 사람이 듣기에는 욕과 비슷하게 들린다. 한국어에도 어감이 부드러운 나쁜 말은 얼마든지 있다. 예를 들어, 머저리, 등신, 존나 등 단어들은 '꽃같은', '예쁜'보다 어감이 훨씬 부드럽다. 식물이나 물이 진동을 감지한다면 이런 경우는 어떻게 된다는 말인가?
이렇게 논파되면 마지막으로는 좋은 말을 쓰자는 건데 뭘 그렇게 따지냐는 항의가 나온다. 그런데 일명 플라시보 효과로 사기치는 유사과학, 사이비 종교와 일맥상통하는 논리다. 영구기관을 개발했다고 하는 인간들이나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한 모임따위가 괜히 세상에 설치는 것이 아니다. 이런 말이 초래하는 건 결국 엉터리의 양산이다. 엉터리 논리가 통하게 되면 누군가는 결국 그것으로 이익을 취하려 드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결국 누군가는 거짓말로 돈을 벌지만, 그것에 속은 사람은 돈만 빼앗기고 아무것도 해결 못 한다. 무엇보다, '좋은 말을 쓰자.'는 취지로 주장하려고 왜 거짓 근거를 대야하는가? 오히려 거짓 근거는 좋은 주장조차 색을 바래게 할 뿐이다. 좋은 말을 쓰자고 하고 싶다면 그저 올바른 근거를 가져오면 될 일. 전형적인 확증 편향의 사례다.

5. 기타


2004년엔 'What the Bleep Do We Know!?'라는 이름으로 이 책의 내용을 비롯한 각종 유사과학을 홍보하며 양자역학까지 들먹이는 다큐스타일 영화[15]가 제작되기까지 했는데, 당연히 대다수 과학자들은 코웃음을 쳤다.
단월드에서도 이 책을 이용한다.[16] 여긴 한술 더 떠서 유리컵에 물을 받아 양파를 올려놓고 양파에 좋은 말과 나쁜 말을 해서 성장 차이를 얘기한다(...). 그것도 실제로 가정이나 지점에서 실험시키기도 한다!하지만 물은 물인 뿐.물에 쌍욕을 하든 아부를 떨든 물은 물이다.
사실 이런 방식의 실험이 국내에서 여러 번 방송되었는데, 좋은 말을 들려주면 좋게 되고 나쁜 말을 들려주면 나쁘게 된다는 방식의 실험을 여러 번 보다가, 이런 식으로 겉보기에는 신빙성 있어보이기도 하고 학교나 군대에서도 읽으라고 권장해주니 정말 그렇게 생각하게 되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
일부 정수기 회사에서 직원 교육에도 사용 중이며 구매자들에게도 이 책을 들먹이며 본인 회사 정수기에서 나오는 물이 좋은 물이라고 하면서 판매한다.
마사토끼는 이 책을 까는 만화를 그리기도 했다.# 또 <과학 콘서트>, <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 등 저서로 유명한 KAIST 교수 정재승은 이 책의 유사과학적 내용을 비판하는 글을 쓰기도 했다.#[17]
[image]
이런 식으로 물고문의 은유적인 표현으로 쓰이기도 한다(...).[18]
컴퓨터 관련 커뮤니티에서 수랭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비슷하게 표현된다.
루리웹에서 이 책의 표지를 패러디한 '작성글보기는 답을 알고 있다'라는 짤방이 존재한다.
지리 환빠 버전도 있다. '근데 이건 더욱 답이 없다.' 그나마 <물은 답을 알고 있다>는 아무튼 의도야 좋은데, 이건...
이제는 채널A네이버 포스트에서도 시전했다. # 이건 물이 아니고 밥 버전. 댓글에선 '무슨 부두주술이냐?'면서 깠다.
[image]
채널A 서민 갑부에서 이런 신박한 이론을 내세운 적도 있다(...)[19]
이걸 까는 기사도 나왔다(!).
보건 교과서에도 실렸다. 양파 실험처럼 욕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한 사진이 몇 개 첨부된 정도. 2권에서는 물 이야기와는 별도로 대마초 찬양이 나온다. 마치 산업계를 크게 뒤흔들 꿈의 작물처럼 고평가한다.[20]
과학동아에서도 혈액형 성격설과 함께 일본에서 전래된 잘못된 지식들을 과학적인 관점에서 비판하는 기사를 게재한 바 있다. 이 때 기사의 제목은 <혈액형에 따른 성격? 그러니까 일본을 공격한다!>였고, 해당 도서를 비판하는 문단의 제목은 "물이 알긴 뭘 알아"였다.
겨울왕국 2에서 올라프가 "물은 모든 걸 기억하고 있다는 거 알아요? '논란이 많지만' 사실이에요." 하고 하고 엘사가 나중에 그 말을 기억한다는 대사가 나와 넷상에선 이 책으로 겨울왕국 2 후기라며 개드립을 쳤다. 물론 영화 내에서 이 대사는 판타지물에서 땅이나 사물의 기억을 읽는 상황을 물에 비유해서 나온 것이다.
논현동, 반포동, 서울 지하철 7호선 학동역 인근 빌라 지대에 가면 도어락이 없이 외부인 출입이 가능한 빌라마다, 내부에 "물은 답을 알고 있다"라는 글귀가 적혀있다.[21] 누가 왜 썼는지는 알 수 없다. 여기 쓰인 '물은 답을 알고 있다'는 '물'이란 물(水)이 아니라 묻[問](→물)이란 뜻으로, '물은(물어본) 답을 알고 있다.'는 뜻이라고 한다.

[1] 참고로 이 책을 출판한 곳은 아가월드에서 수입한 빙뱅붐을 발매하기도 했다.[2] 원제: 파동과 물과 생명, 그리고 의식 혁명으로 미래가 보인다(波動と水と生命と意識革命で未来が見える).[3] 원제: 地球隠れ宮 一万五千年のメッセージ 幣立神宮が発する日本の『超』中心力(지구에 숨은 궁, 1만 5천 년의 메시지 헤이타테 신궁이 내보내는 일본의 초(超) 중심력). 여기서 말하는 헤이타테 신궁(幣立神宮)은 구마모토현 카미마시키군(上益城郡) 야마토정(山都町) 오노(大野)에 있는데, 카무로기(神漏岐命)와 카무로미(神漏美命)라는 신을 모신다. 두 신은 일반적으로는 이자나기, 이자나미와 동일시하지만, 헤이타테 신궁은 특이하게도 카무로기, 카무로미라는 이름으로 모신다.[4] 원래 헤이타테 신사는 아소 신사(阿蘇神社)의 말사 격으로, 아소 신사에서 사용한 고헤이(御幣)를 처리하는 곳이었다. 그래서 이름도 헤이타테(幣立). 그러나 메이지 시대에 아소 신사와 관계가 끊기자 자력구제(?)하는 과정에서 뻥을 친 것이 이어진 듯. 모시는 신 또한 과거에는 그냥 아마테라스와 토요우케였다. '신궁'이라는 그럴 듯한 명칭도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이후부터 사용했고, 그 전에는 그냥 '신사'였다. 사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별 주목할 바 없는, 평범하게 오래된 신사일 뿐이다. 패전 이전 근대 사격제도에서는 고작해야 향사(郷社)였을 정도다.[5] 거의라고 한 이유는 가끔씩 태양풍이나 운석 등으로 지구 바깥에서 유입되는 물질이 있어서이다. 물론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6] 물을 부어 두면 좋은 물로 만든다는 전용 물통도 판다. 종이가 아니라 투명 스티커에 인쇄한 글을 써서 물통 겉에 붙여 놓고 파는데, '물 쪽에서 보아 맞게 보이도록 해야 한다.'는 이유로 좌우반전해 인쇄하기까지 했다.[7] 정말 물체에서 파동이 나온다면 그건 방사선이다.(...) 그런 물을 먹어서 몸에 좋을 리가 없다. 알 사람들은 다 알겠지만, 이런 유사 과학도들의 주장을 찬찬히 보다보면 참 지겹도록 나오는 말이 파동이다. 뭔가 어감도 괜찮고 멋있어 보이기에 뜻도 모르면서 그냥 아무렇게나 가져다 쓰는 것.[8] 자료를 엄밀히 살펴보지 않고 그냥 틀렸다는 생각이 들어서 접근할 경우 '귀납이라 틀린 논증이네'라고 생각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자료와 실험,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일부러 누락시켰음을 알 수 있다. 단순히 실험에 실패했다거나 결과를 보고 가설을 수정해서 재실험한 게 아니라 같은 실험 수없이 해서 원하는 결과 나온 거 하나 제시했다.(...)[9] 클래식에는 조용한 실내악만 있는 게 아니다. 교향곡이나 행진곡, 협주곡 등의 음량은 엄청나다. 만약 식물이 진동을 감지하거나 들을수 있다고 해도, 사고할 뇌가 없으니 장르를 구분할 리가 없다.[10] 굳이 말하자면 진동이 식물의 성장에 끼치는 영향으로는 실험이 가능할 수 있겠지만, 상냥한 목소리로 욕설을 하고, 소리치듯 칭찬을 해주면 반대의 결과가 나올 것이므로 의미가 전혀 없다.[11] 물론 우연의 일치이거나 환경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12] 다만 이거는 위의 식물 얘기다.[13] kind(친절한), fantastic(환상적인)[14] mean(비열한), shame(부끄러운), moron(얼간이)[15] 다큐스타일 '영화'다. 다큐멘터리가 아니다. 극중 등장하는 인물들은 실존인물이 아니라 배우가 연기한 것이다.[16] 이는 과거 한 지점의 일화로 다른 지점에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17] 그런데 <물은 답을 알고 있다>를 번역출판한 출판사가 반박글을 보냈다. 그 후 정재승은 재반박글을 썼다. 실제로 새롭거나 믿기 힘든 내용을 주장할 시에는 주장하는 쪽에서 입증하는 것이 옳다. 그렇지 않으면 UFO나 귀신 같은 것에도 '없다는 증거 있어? 그럼 있는 거야.' 같은 무지에 의거한 논증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18] 참고로 짤방에 쓰인 사진은 후기 민중미술 작가 조습(1975- )의 작품으로 이름은 <물고문>이다. 군사정권의 과거사를 희화화하여 '권력'과 '우상'을 풍자한 '묻지마' 시리즈 중 하나로, 같은 시리즈에 속하는 <5.16>, <임춘애>와 같이 한국 사회의 부조리함을 특유의 유머와 야유가 뒤섞인 연출 사진으로 표현한다.[19] 물론 개소리다. 전기분해나 블랙홀에 의한 기조력같은 수준이 아니고서야 분자를 절대 갈라놓을 수 없다. 그리고 애초에 물이 산소와 수소 원자로 분리되면 그 순간 더 이상 물이 아니다(...)[20] 물론 대마초 씨앗같은 경우는 약재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정도를 넘어섰다.[21] 유튜버 진용진도 논현동에서 배달원으로 일하던 시절 목격했고 현재도 그 표시가 계속 있다고 말했다. # 여기에는 '3년 전쯤 50대쯤 되어 보이는 남성이 쓰는 것을 봤다', '예전에 어떤 할머니가 쓰다가 자기를 보고 도망가는 것을 봤다', '반포에 혼자 살았는데 어떤 중년층 아저씨가 자기 집 위에 적길래 뭐라고 하니까 죄송하다 하고 지우고 가더라' 등의 댓글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