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실
1. 박창화 필사본 화랑세기에 등장하는 인물
필사본 화랑세기에 등장하는 인물로 필사본 화랑세기는 역사학계에서 이종욱 교수 등 일부 학자들을 제외하면 위서론이 유력해 미실도 역사에 존재하지 않았던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 필사본 화랑세기 이외에 삼국사기 등 기존 사서를 비롯해 유물과 금석문 어디에도 미실의 존재가 입증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래의 내용은 필사본 화랑세기에서 서술된 내용으로 흥미로만 볼 것이지 실제라고 전적으로 믿으면 곤란하다. 필사본 화랑세기 진위론에 관해서는 화랑세기 문서 참조.[1]
미실은 제2대 풍월주 미진부의 딸로 어머니는 법흥왕의 후궁인 묘도부인. 동생은 미생. 이모가 진흥왕의 왕비인 사도부인. 필사본 화랑세기에만 등장하는 신라 지배층의 파맥인 '대원신통'의 계승자. 미진부는 삼국사기에서도 진흥왕의 북쪽 영토 확장에 공을 세운 장수 중 하나로 나온다.
묘도부인의 어머니인 옥진이 하루는 낮잠을 자다 칠색조가 품 안에 들어오는 꿈을 꾸고 귀한 아들을 낳을 조짐이라고 생각해 법흥왕과 동침하려고 하였으나 법흥왕이 '칠색조는 빈첩의 조짐'이라면서 아들을 낳으면 태자로 삼고 딸을 낳으면 후궁으로 삼을 테니 남편과 동침하라고 권했다. 옥진이 남편과 동침해 낳은 딸이 묘도부인으로 법흥왕은 약속대로 묘도부인을 후궁으로 맞았으나 묘도부인이 생식기가 좁아 법흥왕과 동침하기 어려워 자연스럽게 애정이 식었다. 하루는 옥진이 잠을 자다가 자신의 품에서 칠색조가 나가 묘도부인에게 들어가는 꿈을 꿨는데 놀라 묘도부인의 침소로 가니 묘도부인이 미진부와 사통 중이었다 . 이에 옥진이 기뻐하며 귀한 딸을 낳을 것이라고 했는데 이때 태어난 딸이 바로 미실. 미진부는 묘도부인과 만나기 전에는 유부남이었다. 아내는 원화(화랑의 수장으로 초기에는 여자가 리더)이자 법흥왕의 딸인 남모로 금실이 좋았지만 준정의 손에 살해되어서 홀아비로 살아왔다.
미실은 김세종의 눈에 들어 결혼하게 되었으나 사도왕후를 제거하려다 실패한 김세종의 어머니 지소태후의 명으로 쫓겨났다[2] . 쫓겨난 뒤 사다함과 사귀다가 소식을 들은 김세종이 괴로워하자 사다함이 전쟁에 나간 사이 지소태후가 다시 입궁시켰다. 미실은 김세종에게 첩의 신분으로 왔으니 정실이 아니면 합궁하지 않겠다고 버텼고 김세종이 지소태후에게 매달려서 정실 부인이 되고 융명부인은 쫓아냈다. 이후 김세종의 아들인 제11대 풍월주인 하종이 태어났는데 사다함을 많이 닮아서 사다함의 아들이 아니냐는 썰도 돌았다고 한다.[3]
진흥왕, 진지왕, 진평왕 초기까지 활동했고 진흥왕의 총애를 얻어 원화가 되기도 하였다. 진지왕도 미실을 사랑해 황후로 삼으려 했는데 여론 때문에 황후로 봉하지 못했고 미실보다 지도황후를 더 사랑했다. 마침 사도태후가 진지왕의 황음 때문에 진지왕을 폐하려 해 사도태후와 함께 진지왕을 폐위했다. 미실은 새주(옥새의 관리자)가 되어 사도태후, 만호태후(진평왕의 어머니)와 함께 정사를 돌봤다.
나중에는 사다함의 의붓동생인 제7대 풍월주 설원을 총애하여 제16대 풍월주 보종을 낳았다.
아무래도 좋지만 화랑세기의 기록에 따르면 '바깥에 거의 나오지 않았으며 나이가 들어도 피부가 20대와 같았다'고 되어 있다. 물론 자외선 대책이라는 것이 피부에 중요하기는 하지만 이쯤되면 흡혈귀 수준.
미실이 대중에게 처음 알려진 것은 제1회 세계문학상 당선작인 소설 '미실'. 제목 그대로 미실을 주인공으로 한 소설이다. 소설이 나온 이후 미실이 생존했다는 신라 상대가 사극에서 다뤄질 경우 웬만해선 중요 인물이든 아니든 미실이 등장하는 편이다. 신라가 메인인 드라마가 아니라서 잘 알려져 있지는 않고 비중도 적지만 연개소문(드라마)에서도 배우 서갑숙이 맡아 단역으로 몇 번 나오는데 미실이 본격적으로 유명해진 것은 선덕여왕(드라마) 덕분이다. 하지만 드라마 선덕여왕에 나오는 미실과 달리 필사본 화랑세기에서는 그렇게 욕심을 내지 않았던 듯하다. 대표적인 필사본 화랑세기 연구자인 이종욱 서강대학교 총장은 "미실은 군대를 동원해 쿠데타를 일으킬 여자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노년의 미실은 자신의 영달보다 자손의 출세에 매달린 것으로 화랑세기에 소개된다.
필사본 화랑세기에 의하면 남편인 김세종과의 사이에서 하종과 옥종 두 아들을 두었고 진흥왕과의 사이에서 수종이라는 아들과 반야와 난야 두 딸을 두었다. 참고로 반야와 난야가 누나고 수종이 막내이다. 진흥왕의 아들인 동륜과의 사이에서 애송이라는 딸을 낳았으며(진흥왕은 자신의 자식으로 알고 있었을 듯) 정부인 설원랑과의 사이에서는 보종이라는 아들을 두었는데 보종이 막내아들. 진평왕과의 사이에서는 보화라는 공주가 있었다. 미실이 낳은 자식이 모두 8명이나 된다.
2. 1을 기원으로 한 선덕여왕(드라마)의 등장인물.
참고로 이 드라마의 미실은 화랑세기 필사본에 써 있는 미실의 행적과도 상당히 다르게 각색되어 이름만 같은 별개의 인물이다.
3. 1을 주인공으로 한 소설
소설가 김별아의 소설.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필사본 화랑세기에 드러난 미실의 일대기를 소설로 재구성했다. 내용 자체는 1번 문단에 나오는 화랑세기 속 행적과 크게 다르지 않고, 소재가 소재인 만큼 대담한 성애의 묘사가 특징이다. 단 아무리 그래도 순문학이므로 표현이 야설처럼 자극적이지는 않고, 오히려 지루함을 느낄 수도 있으니 유의.
드라마인 선덕여왕이 인기를 얻으면서 재조명되기도 했다.
4.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의 등장인물
[1] 화랑세기는 통일신라의 역사학자 김대문이 저술했던 실재하는 사서이지만 현존하지 않는다. 현재 존재한다는 화랑세기는 박창화가 일본에서 필사했다고 주장하는 필사본으로 원본 화랑세기가 발견되지 않았고 조작일 가능성이 높아 원본과 구분하기 위해 필사본이라는 수식어를 붙여 불러야 한다.[2] 지소태후의 계획을 미실이 사도왕후에게 알렸고 사도왕후가 진흥왕에게 울며 청하여 결국 실패로 끝났다. 이 때문에 지소태후가 쫓아낸 것.[3] 아래 3번 문단의 소설 미실에서는 세종의 아들이 맞긴 하다. 하종을 낳을 때까지도 아직 사다함을 잊지 못했던(여기에서는 미실이 지소태후에게 쫓겨난 아픔을 사다함과의 만남으로 달래던 중 상사병으로 드러누운 세종을 결국 못 이긴 지소태후가 불러들여 반강제로 재입궁했으며, 첩 신분으로 합궁하기 싫다고 버틴 것도 사다함을 못 잊은 것을 감추려는 핑계에 가까웠다. 아이를 낳을 때까지도 사다함을 못 잊을 만 했던 것.) 미실이 '차라리 소문이 사실이었으면 좋겠다' 하는 생각을 하는 묘사가 있고, 나중에 점점 성장하면서 세종을 닮아가는 하종을 보며 '씨 도둑은 못한다더니...' 생각하며 씁쓸해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