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교통

 


정식명칭
밀양교통주식회사
대표자명
황영성[1]
설립일
1970년 8월 29일
업종명
운수업
상장유무
비상장
인가대수
37대
기업규모
소기업
공식홈
링크

[image]
1. 개요
2. 요금 및 교통카드
3. 노선
3.1. 시내지역 노선
3.2. 농어촌지역 노선
4. 차고지
5. 보유 차량


1. 개요


천일여객의 계열사인 밀양시의 유일한 시내버스 운수 업체이며 1970년에 천일여객에서 분리한 기업이다. 그리고 모기업인 천일여객[2]과 다르게 이곳은 대우빠로 유명하다.[3] 대부분 자일상용차 차량이며, 대부분의 업체가 커민스 엔진이 언덕길 주행에 약하고 연비, 정비문제 등으로 두산엔진으로 돌아선 것과 달리 커민스엔진만 계속 고집한다.[4] 또한 경상남도는 저상을 저상으로 대차 시 보조금이 지급되지 않으며, 경남에서 유일하게 보조금 없이 저상을 저상으로 대차하는 곳이다. 그리고 경남 공용도색을 사용하지 않는 지역 중 하나이다.[5] 그리고 버스 앞면에 해맑은 상상 밀양이라고 슬로건이 있다.
차량 번호는 경남 71 자 73XX대를 사용하고 있다.
실시간 버스 시간표는 밀양시 버스정보시스템을 이용해 확인할 수 있다.

2. 요금 및 교통카드


2021년 1월자로 읍면지역을 포함해 전구간 단일요금으로 변경되었다.
구분
현금
승차권
교통카드
성인
1500원
1450원
청소년
1000원
950원
어린이
750원
700원
하지만 여전히 타 시군에 비해 낙후된 버스행정을 보여주고 있다. 사천시 시내버스[6]와 전라북도 김제시, 정읍시 시내버스처럼 시 단위이면서도 무료환승제도를 실시하지 않는 몇 안되는 곳이기 때문이다.[7]
또한 같은 행정구역내를 이동함에도 시내 동지역이 아니면 사실상 시외버스가 강제되는 경우가 많다. 표충사, 얼음골등 같은 밀양 시내를 가는데도 시외버스가 주력으로 다니고 있다. 심지어는 밀양역 기준으로 삼랑진역이나 상동역을 가는데도 조금 더 내고 무궁화호 타는 것이 시간, 비용에서도 유리한 반면 시내버스는 하루에 몇편 없을뿐더러 우회구간이 많아 시간이 오래걸린다. 예를들어 얼음골에서 밀양까지 시내버스를 이용하면 한시간은 잡아야 하는데 울산언양까지는 중간에 석남사에서 환승을 함에도 40여분정도 밖에 걸리지 않는다. 심지어 단일요금제 시행전에는 버스 두번을 타야되는 언양과 버스 한번만 타면 가는 밀양시내간 요금차이가 거의 없기도 했다. [8]
선불 교통카드캐시비, 마이비, 하나로카드, 티머니, 한페이, 레일플러스 이용이 가능하며, 후불 교통카드KB국민카드, 비씨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NH농협카드, 삼성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이용이 가능하다.
  • 2020년 1월 10일 기준.
구분
1구간
(시가지, 10km까지)
2구간
(10~18km까지)
3구간
(18~26km까지)
4구간
(26km이상)
현금
승차권
교통카드
현금
승차권
교통카드
현금
승차권
교통카드
현금
승차권
교통카드
성인
1500원
1450원
1900원
1800원
2400원
2300원
2800원
2700원
청소년
1000원
950원
1500원
1200원
1800원
1500원
2100원
1800원
어린이
750원
700원
1000원
900원
1200원
1100원
1400원
1300원
시가지
전역



삼랑진읍
임천, 용성
칠성, 화성, 거족, 미전
삼랑진

하남읍

은산
해양, 명례, 신촌, 남전
백산, 수산
부북면
전역



상동면
평능, 가곡
상동역, 유천, 고정
매화, 도곡, 오곡, 신지

산외면
남기, 숲촌, 금천, 다죽, 죽남
금곡, 엄광, 활성, 희곡


산내면


용전, 임고, 발례, 송백, 가인
원서, 남명, 얼음골
단장면

단장, 태룡, 사촌, 이촌, 인법, 동화
동화, 범도, 삼거리, 무릉, 국전, 법흥, 감물리
표충사, 평리, 고례
상남면
예림, 북실, 금동,대흥동
평촌, 세천, 마산, 인산, 외산, 조음, 평리, 남산, 무름
오산

무안면
마흘, 지정, 정곡
신법, 무안, 삼태, 죽월, 화봉, 영신, 중산, 관동
양효, 내진, 동산, 장재기, 서가정, 가례, 융동, 고나리

초동면

봉황(무안 경유)
초동

청도면


구기, 인산, 근기,평전
두곡, 홈실, 조천, 소태, 대촌
지방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시 단위 시계내 구간요금을 징수하는 곳[9]으로, 군 단위와 달리 시계내 상한요금제를 실시했다.[10]
본래 삼원FA 1세대 단말기를 썼지만 2017년 2월부터 삼원FA 신형단말기로 교체되면서 경상도에서는 삼원FA 1세대 단말기가 전멸되었다.


3. 노선


모든 노선이 밀양시 관내 지역만 운행한다. 시계외노선이 전무하다. 대신 청도버스5번이 밀양시 상동면에 진입한다.

3.1. 시내지역 노선


밀양의 대부분의 시내버스는 밀양역으로 통한다.
번호
기점
종점
경유지
배차(회)
1
밀양역
밀양역
밀양역 - 가곡시장 - 내이우체국 - 밀성고 - 산복도로 - 교동주민센터 - 시청 - 터미널 - 북성사거리 - 영남루 - 가곡시장 - 밀양역
평일 61회 주말,공휴일 59회
1-2
밀양역 - 가곡시장 - 내이우체국 - 밀성고 - 산복도로 - 교동주민센터 - 시청 - 현대아파트 - 터미널 - 북성사거리 - 영남루 - 가곡시장 - 밀양역
일 13회
2
밀양역 - 가곡시장 - 영남루 - 북성사거리 - 터미널 - 시청 - 교동주민센터 - 산복도로 - 밀성고 - 내이동 우체국 - 영남루 - 가곡시장 - 밀양역
평일 77회 주말,공휴일 63회
3
밀양역 ↔ 가곡시장 ↔ 내이우체국 ↔ 밀성고 ↔ 교동주민센터 ↔ 범북 ↔ 긴늪
평일 3회
3-1
밀양역 - 가곡시장 - 내이우체국 - 밀성고 - 교동주민센터 - 범북 - 긴늪 - 시청 - 터미널 -
북성사거리 - 영남루 - 밀양역
평일 3회
4
밀양시외버스터미널
밀양역 - 가곡삼거리 - 한전 - 예림 - 제일훼미리 - 맥도날드 - 시외버스터미널
평일 15회 주말,공휴일 14회
4-1
밀양역
밀양역 - 예림 - 제일훼미리 - 미리벌초 - (롯데아파트[A]) - 터미널 - 현대아파트 - 시청 - 밀성고 - 내이우체국 - 영남루 - 가곡시장 - 밀양역
평일 12회 주말,공휴일 5회
4-2
밀양역 - 가곡시장 - 보건소 - 미리벌초 - 밀양고 - 내이동 우체국 - 밀성고 -산복도로 - 교동주민센터 - 시청 - 터미널 - 북성사거리 - 내이우체국 - 밀양고 - 미리벌초 - 보건소 - 가곡시장 - 밀양역
일 4회
5
밀양역 - 가곡시장 - 영남루 - 북성사거리 - 터미널 - 시청 - 교동주민센터 - 밀성고 - 영남루 - 가곡시장 - 밀양역 - 경찰서 - 대동아파트 - 이연 - 금동 - 이연 - 대동아파트 - 경찰서 - 밀양역
일 18회
6
밀양역 ↔ 가곡시장 ↔ 영남루 ↔ 북성사거리 ↔ 터미널 ↔ 시청 ↔ 교동주민센터 ↔ 범북 ↔ 긴늪
평일 19회 주말,공휴일 16회
7
밀양역 - 가곡삼거리 - 청구아파트 - 시민약국 맞은편 - 시청 - 현대아파트 - 춘기 - 부북농협 - 법원 - 푸르지오 - 미리벌초 - 제일훼미리
- 예림 - 가곡삼거리 - 밀양역
평일 13회 주말,공휴일 8회
7-1
밀양역 - 삼문동 - 내이우체국 - 밀성고 - 시청 - 현대아파트 - 한솔병원 - 부북면 - 한솔병원 - 터미널 - 북성사거리 - 내이우체국 - 밀성고 - 제일훼미리 - 예림 - 경찰서 - 대동아파트 - 경찰서 - 밀양역
평일 13회 주말,공휴일 10회
9
밀양역 - 예림 - 제일훼미리 - (롯데아파트[A]) -밀양고 - 내이우체국 - 밀성고 - 산복도로 - 교동주민센터 - 시청 - 터미널 - 북성사거리 - 내이우체국 - 밀양고 - 제일훼미리 - 예림 - 밀양역
평일 2회 주말,공휴일 1회
10
롯데인벤스
밀양역 ↔ 청구아파트 ↔ 영남루 ↔내이동우체국 ↔ 밀양고→ 영남루 - 가곡시장 - 밀양역
일 2회

3.2. 농어촌지역 노선


대부분의 버스가 밀양시외버스터미널로 통한다.
번호
기점
종점
경유지
배차(회)
삼랑진 1번
밀양역
삼랑진
밀양역 -평촌 - 거족 - 삼랑진
평일 1회
삼랑진 2번
터미널
삼랑진
터미널 - 25번 국도 - 임천 - 칠성 - 삼랑진
일 4회
삼랑진 3번
용성
터미널 - 시내 - 밀양역 - 용성
평일 5회, 휴일 3회
삼랑진 4번
칠성
시내 - 밀양역 - 용성
일 5회
삼랑진 5번
밀양역
밀양대학교
밀양역 - 임천 - 부산대 밀양캠퍼스
평일 26회 휴일 5회
하남 1번
터미널
수산
터미널 - 25번 국도 - 평촌 - 오산 - 수산
일 4회
하남 2번
수산
터미널 - 시내 - 세종고 - 평촌 - 오산 - 수산
일 3회
하남 3번
밀양역
해양
밀양역 - 예림 - 평촌 - 오산
평일 1회
하남 4번
수산
오산
수산 - 백산 - 명례 - 오산
일 1회
하남 5번
명례
수산 - 백산 - 명례
일 2회
부북 1번[11]
터미널
터미널
터미널 – 용제 – 오례 - 덕곡 - 터미널
일 3회
부북 2번[12]
터미널 ↔ 가산 ↔ 대항
일 2회
부북 3번[13]
터미널 – 월산 - 퇴로 - 위양 - 청운 -터미널
일 1회
부북 4번[14]
터미널 – 가산 - 대항 - 퇴로 - 위양 - 청운 - 터미널
일 1회
부북 5번[15]
터미널 – 월산 - 위양 - 퇴로 - 대항 - 가산 - 터미널
일 1회
부북 6번[16]
터미널 - 지동 – 용포 – 화산 – 무연 – 위양 – 퇴로 – 월산
일 1회
터미널 – 청운 – 월산 – 퇴로 – 위양 – 무연 – 화산 – 용포 – 지동
일 1회
부북 7번[17]
터미널 – 위양 – 퇴로 – 대항 – 월산 – 청운 – 터미널
일 2회
터미널 – 지동 – 용포 – 화산 – 무연 – 위양 – 퇴로 – 대항 – 월산 – 청운 – 터미널
일 1회
부북 8번[18]
터미널 - 가산 - 대항 - 퇴로 - 위양 - 무연 - 화산 - 용포 - 지동 - 터미널
일1회
부북 9번[19]
터미널 - 가산 - 대항 - 퇴로 - 월산 - 청운 - 터미널
일 2회
부북 10번[20]
터미널 - 위양 - 퇴로 - 대항 - 가산 - 터미널
일 1회
상동 1번
터미널
신곡
터미널 – 긴늪 – 상동역 – 고정 – 신곡
일 7회
상동 2번
도곡
터미널 - 긴늪 - 상동역 - 고정 - 도곡
일 3회
상동 3번
밀양역
유천
밀양역 - 밀양시외버스터미널 - 긴늪 - 상동역 - 유천
평일 7회 휴일 1회
산외 1번
터미널
엄광
터미널 - 긴늪 - 남기리 - 양덕 - 남계 - 숲촌 - 엄광
일 4회
산외 2번
활성
터미널 - 긴늪 - 다죽 - 활성
일 2회
산외 3번
금곡
터미널 - 긴늪 - 다죽 - 금곡
평일 1회
산내 1번
터미널
얼음골
터미널 - 긴늪 - 다죽 - 금곡 - 송백 - 남명 - 얼음골
일 3회
산내 2번
발례
터미널 - 긴늪 - 다죽 - 금곡 - 송백 - 발례
일 2회
단장 1번[21]
터미널
표충사
터미널 - 긴늪 - 다죽 - 금곡 - 태룡 - 범도 - 표충사
일 4회
단장 2번
고례
터미널 - 긴늪 - 다죽 - 금곡 - 태룡 - 범도 - 고례
일 4회
단장 3번
국전
터미널 - 긴늪 - 다죽 - 금곡 - 태룡 - 국전
일 5회
단장 4번
감물리
터미널 - 긴늪 - 다죽 - 금곡 - 안법 - 감물리
일 5회
상남 1번
터미널
남산
터미널 - 국도 제25호선 - 예림 - 평촌 - 평리 - 남산
일 2회
상남 2번
대흥동
터미널 - 국도 제25호선 - 예림 - 대흥동
일 2회
초동 1번
터미널
범평
터미널 - 무안 - 봉황 - 범평 - 초동공단 - 범평
일 1회
초동 2번
터미널 – 무안 - 봉황 - 범평 - 남전 - 평촌 - 초동공단 - 터미널
일 1회
터미널 – 평촌 – 남전 – 범평 – 초동공단 – 봉황 – 무안 – 터미널
일 1회
초동 3번
터미널 – 무안 – 봉황 – 범평 – 인교 – 무안 – 터미널 – 밀양역
일 1회
무안 1번
터미널
서가정
터미널 - 무안 - 덕암 - 고나리 - 웅동 - 서가정
일 6회
무안 2번
영신
터미널 - 무안 - 신법 - 화봉 - 영신
일 3회
청도 1번
터미널
구기
터미널 – 부북면 – 동산 - 구기
평일 3회 휴일 2회
청도 2번
조천
터미널 – 무안 – 동산 – 구기 - 조천
일 5회
청도 3번
소태
터미널 – 무안 – 동산 – 구기 - 소태
일 3회
청도 4번
두곡
터미널 – 무안 – 동산 – 구기 - 두곡
일 2회
청도 5번
구기
터미널 – 무안 – 동산 – 구기
일 1회
청도 6번
대촌
터미널 – 무안 – 동산 – 구기 - 대촌
일 3회
가곡 1번
밀양역
멍에실

일 3회
버스 시간표 보기

4. 차고지



5. 보유 차량



5.1. 현재 보유 차량



5.1.1. 자일상용차


  • 대우 NEW BS106 뉴 로얄시티 디젤[22]
  • 대우 BS110CN 로얄논스텝 F/L 디젤
  • 대우 NEW BS110 뉴 로얄논스텝 디젤[23]

5.1.2. 현대자동차



5.2. 과거 보유 차량



5.2.1. 자일상용차



5.2.2. 현대자동차


  • 현대 에어로시티 520 디젤[24]

5.2.3. 기아



[1] 밀성여객 대표이사와 동일인물[2] 모기업인 천일여객그룹은 엄청난 기아빠이다. 천일여객와 고려여객을 이용하면 전부 기아차이다.[3] 다만 과거에 기아아시아자동차일때 시내버스를 생산하던 시절 골수 AM버스빠였다. 아시아자동차가 대우자동차, 현대자동차보다 프론트엔진 버스를 일찍 단종시킨 탓인지 프론트엔진 버스 도입 중단 및 리어엔진 버스 도입이 빠른 편이었으며, 특히 AM928 모델을 '''일반버스'''로 운행한 회사는 전국에서 밀양교통이 유일하다.(별도의 일반버스 사양은 아니었고 전문형 시외버스 사양에 경남 일반버스 구도색을 하고 운행했다.)[4] 부울경에는 밀양교통 외에도 진주시민버스, 태영운송그룹 등과 같이 커민스만 계속 고집하는 업체가 있다.[5] 한 때는 사용했었다. 이 외에 경남 공용 도색을 사용하지 않는 지역은 창원시 시내버스, 김해시 시내버스(일부 노선에 한해 신도색차량 운행중), 창녕군 영신버스, 남해군 남흥여객, 산청군 산청교통, 고성군 고성버스이다.[6] 진주와 광역환승 예정이다.[7] 반대로 농어촌버스 중에 무료환승제도를 실시하는 곳은 양구군, 양양군을 제외한 강원도 전 지역, 금산군과 태안군을 제외한 충청남도 전 지역, 전라남도 보성군, 경상북도 예천군, 의성군, 칠곡군이다.[8] 사실 이는 경남지역의 전체적인 문제점이기도 하다. 경남지역은 김해, 양산, 창원, 진주등 일부 대도시를 제외하면 시내버스가 활발히 운행하는 사례가 드물며 시내버스가 인접 시군을 오가는 사례가 흔치않다. 이 중에서 단일요금제를 도입한 곳도 경전여객 계열이 장악한 함안군, 서흥여객이 장악한 거창군과 합천군, 그 이외에는 고성군, 산청군, 창녕군, 하동군, 함양군 정도이다. 경남도 이를 의식해서 수도권처럼 통합환승제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시외버스 업체들의 텃세 등 여러 문제로 도입이 어려운 상황이다. 경상남도는 시외버스 업체들이 난립하는 편이며, 특히 부산교통 등 단거리 노선을 운행하는 대규모 업체를 위주로 텃새가 심하다. 경남고속 등 장거리 노선만 전문적으로 운행하는 업체들의 텃새는 적은 편. 그나마 최근에는 경전선, 동해선 전철개통이 가시화 되면서 경남의 시외버스 업체들도 장거리 노선 운영을 많이 시도하고 있어 점차 텃새가 줄어들고 있는 편이다. 아무리 버스업계의 알력이 세다 해도 전철의 개통을 막을수는 없는 노릇이라...[9] 1995년 시군통합 이후로 단일요금제를 시행하다가 1998년 9월 15일부터 구간요금제로 바뀌었다.[10] 농어촌버스에서도 단일요금제 미시행 지역은 경기도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강원도 고성군, 양양군, 평창군, 충청남도 태안군, 충청북도 단양군, 전라남도 장성군, 경상북도 고령군, 성주군, 울릉군, 경상남도 남해군, 의령군 만 남았으며, 수도권 통합 요금제를 실시하는 경기도는 2150원, 양양군은 1700원, 이원화가 된 울릉군, 태안군은 1500원이라는 밀양보다 낮은 상한요금제를 실시했다.[A] A B 일 1회에 한해 롯데아파트 경유[11] 4 (청운)[12] 4 (대항1)[13] 4 (퇴로1)[14] 4 (대항2)[15] 4 (퇴로2)[16] 上 4 (퇴로3), 下 4 (퇴로4)[17] 上 4 (대항3), 下 4 (대항4)[18] 4(대항5)[19] 4(대항6)[20] 4(대항7)[21] 밀성여객 시외버스 교대로 운행[22] 현재 밀양교통의 주력차종이다.[23] BS110CN F/L을 뽑은지 6~7년만에 NEW BS110을 뽑았다.[24] 1대(7361호)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