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52

 


[image]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3.1. 구.52-1번
4. 특징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52번
기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반여3동기점)
종점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수정4동종점)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5:57
막차
22:20
막차
23:17
평일배차
출퇴근 6분 / 평시 7분
주말배차
7~8분
운수사명
일신여객
인가대수
24대[주말]
노선
반여3동기점 - 반여시장입구 - 재송삼익아파트 - 원동IC교차로 - 동래한전 - 안락교차로 - 동래시장 - (→ 동래경찰서후문 →/← 동래경찰서(수안역) ←) - 교대역 - 법원·검찰청(거제역) - 하마정 - 송상현광장 - 부전시장 - 서면역·서면지하상가 - 범내골역 - 중앙시장 - 부산진시장 - 부산진역 - (→ 고관입구 → 인창병원 →) - 초량역 - (→ 초량시장입구 →) - 부산고교 - 초량6동주민센터 - 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 - 수정4동종점[단독]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0.5km다. 모든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1972년에 구덕수원지 붕괴로 인해 이재민이 발생하여 구덕수원지 인근 주민들의 이주지 필요 및 1973년 보수동, 좌천동, 초량동 일대의 고지대 불량주거지들이 재개발되어 철거민들이 반여2동으로 정책이주되는 과정에서 신설된 노선으로, 44번보다도 먼저 신설된 노선이며 좌석버스로 52-1번까지 운행됐었다.
  • 일반노선의 변경은 수정4동행 한정으로 동래역을 경유했던 것이 2007년 5월 15일의 대개편 때 양방향 동래경찰서 경유로 변경된 것 외에, 수정동 방향만 동래경찰서후문을 경유하며 반여동 방향은 동래교차로 쪽으로 지나간다. BRT 건설로 인해 충렬대로 동래교차로에서 좌회전이 불가능해져 대신 후문 쪽 도로가 방향이 변경되었기 때문.
  • 2019년 12월 30일에 내성~서면 간 BRT 개통으로 그동안 좌회전 문제로 반여동행은 정차하지 않았던 송상현광장 정류장을 양방향 모두 정차하게 되었고, 2020년 5월 30일에 반여3동 방향으로 경유했던 상공회의소 → 부전도서관 → 전포초등학교 구간으로 가지 않고 양방향 서면한전과 서면역을 경유하도록 99번과 같이 변경되었다.

3.1. 구.52-1번



  • 이 노선은 52번 좌석버스였다가 중앙동으로 노선이 단축되면서 52-1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1]
  • 그러다 52-1번으로 번호가 변경되고 부산세관까지 단축되었다가 1998년에는 남포동을 경유하여 부평시장을 거쳐 국제시장까지, 2001년에 충무동교차로까지로 노선이 또 변경되었다. 1998~1999년까지는 신차도 곧 잘 투입되었고 냉방버스는 좌석 노선에만 투입되었기때문에 그럭저럭 잘 다니는 편이었으나 2000년에 들어 냉방버스가 일반 노선에도 확대 투입되면서 이 노선의 수요가 급감하였고 주로 52번에게 수요가 밀려 그 이후부터는 신차투입도 거의 없다시피였다.[2]
  • 결국 2006년에 와서는 딱 3대만 남겨놓고 입석노선으로 형간전환[3]시키는 등 안간힘을 다 써봤으나 배차간격이 막장수준이었기 때문에 심히 역부족이였으며, 준공영제때 폐선되면서 이 노선을 마지막으로 동래 ~ 서면 ~ 남포동 직행 노선은 그렇게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4]

4. 특징


  • 사실상 일신여객의 주력/간판노선으로, 버스를 탈려고 새벽 05:00 쯤에 반여동 기점에 나가 보면 그때부터 줄이 쫙 서있다. 워낙 중요한 곳을 많이 다니다 보니 새벽부터 출근시간이 끝날 때까지는 기점에서 타도 자리에 못 앉아 가는 경우가 있다.[5]
  • 전체적으로는 43번과 노선이 비슷하다. 43번은 반여1동 경유, 이 노선은 반여3동 경유. 정확하게는 왕자맨션에서부터 초량동 인창병원까지 겹친다.[6]
  • 반여3동 기점부터 적어도 서면까지는 항상 사람들로 붐비고 있어서 앉아서 이용하기는 꽤 힘들다. 그러나 부산진시장 이남부터는 22번과 비슷하고, 동구 수정산복도로의 인구감소 때문에 이쪽부터는 수요가 미미하다.[7]
  • 재송동과 교대역을 이어줬던 144번이 교대역을 더 이상 가지 않게되자 교대역에서 이 노선을 이용해, 반여2동에서 재송동[8]으로 가는 노선으로 환승해서 가면 크게 아쉽지가 않다.
  • 낙민역(동래고등학교)정류장과 안락동우체국(동해선안락역(반여동행))은 중앙차로 정류소에 정차하지 않고 예전에 세웠던 가변차로에 정차한다.[9]
  • 대다수의 버스가 경유하는 YMCA정류장(서면방향)을 미경유하고, 43번과 함께 좌천동 정류장을 정차하는 유이한 노선이다.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중 마지막까지 준저상버스가 다녔던 노선이며 일신여객에서 디젤차가 마지막까지 다녔다.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재구성된 자료이므로 계산 및 산출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4504.57

2015년
14415.86
▽ 88.71
2016년
14004.14
▽ 411.72
2017년
14414.29
△ 410.15
2018년
13465.29
▽ 949.00
2019년
13383.14
▽ 82.15

4.2. 노선


[image]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52번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망양로'''
'''망양로'''
▲ 범일초등학교
'''증산로'''
▲ 하승빌라
'''진성로'''

'''망양로'''
초량어린이집 ▼
▲ 금수사
'''초량로'''
초량 ▼
▲ 초량시장
'''중앙대로251번길'''
'''중앙대로'''
초량역 ▼

'''중앙대로'''
'''고관로'''
▲ 초량역
'''중앙대로349번길'''
▲ 고관입구
'''중앙대로'''

▲ 봉생병원
'''자성로'''
부산진시장 ▼

'''범일로'''
범내골역 ▼
▲ 중앙시장
'''중앙대로'''
양정대원칸타빌 ▼
▲ 송상현광장
'''거제대로'''
교대역 ▼
▲ 거제1치안센터
'''중앙대로'''
세병교 ▼
▲ 동해선 교대역
'''명륜로'''
동래시장 ▼
▲ 세병교
'''충렬대로'''
'''충렬대로238번길'''
▲ 동래경찰서후문
'''충렬대로'''
원동IC교차로 ▼
▲ 원동교 앞
'''해운대로'''
재송삼익아파트 ▼
▲ 원동IC교차로
'''해운대로61번길'''
반여2동 ▼
▲ 반여시장입구
'''재반로'''



5. 연계 철도역



[주말] 토요일 22대 / 공휴일 21대 운행[단독]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1] 이전에는 52번과 동일하게 운행됐으나, 52번과 다르게 동래역을 쌍방경유하였으며, 1997년부터는 거제대로로 가지 않고 연산교차로~시청 쪽으로 운행되었다. 나중에는 52번이 경유하지 못하는 부산역을 경유하여 충무동까지 연장했던 것이 본 노선의 특징이었다.[2] 2004년에 5-1번 좌석차량 철수분이 투입된 적도 있었으나 순수 증차가 아닌 기존 노후차량들을 폐차시키고 그 공백을 5-1번 출신 차량들로 메꾸는 형태였으며 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감차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3] 비슷한 시기에 306번도 형간전환 하며, 3대로 감차되었다.[4] 비슷한 시기에 똑같이 남포동 ~ 동래를 잇던 89번도 폐선되었다. 다만 89번은 이 노선보다 조금 더 일찍 폐선되었다.[5] 오죽하면 반여3동 기점에서 이 노선만 정류장을 분리해 놨을까. 반여3동이 종점인 44번, 144번, 그리고 반여2,3동을 경유하는 노선들은 횡단보도와 가까운 정류장에 모두 정차한다. 52번의 경우 한의원 앞에 52번 표지판을 세워 놨는데 엄청 낡아있다. 일신여객 노선 중에는 115-1번이 더 실적이 좋긴 하다만 10대로 운행해 큰 의미는 없다. 2016년 1월 통계자료에서 일신여객 노선들 중 운송수입금이 가장 높게 나와서 간판노선임에 틀림없음을 보여줬으나, 2018년에는 144번의 수요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6] 다만 43번이 내성교차로와 동래역를 지나가는 데 비해 이 노선은 명륜로와 세병교를 지나간다. 이 노선은 출퇴근시간대 엄청난 정체를 보이는 내성교차로를 미경유하고 동래경찰서와 세병교를 경유하여 교대역을 직통으로 이어주기 때문에 충렬대로 연선에서 서면, 부산진시장,부산진역으로 갈때는 대다수가 이 노선을 이용한다. 때문에 헬게이트가 벌어진다. 배차 간격은 6분(첨두)~10분(비첨두)인 43번보다 짧다. 더군다나 인가대수도 43번보다 이 노선이 운행거리가 더 짧은데도 불구하고 3대 더 많다. 43번이 5월 31일자로 회동동으로 연장됨에 따라 5-1번 증차분으로 2대가 감차되었지만 이 노선이 훌륭한 대체 노선이라 승객 불편을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7] 통학시간에는 구도심을 경유하는 모든 버스들이 가축수송을 하는 편이다.[8] 5-1번, 155번, 해운대3번. 그러나 실제로 기다려보면 5-1번이나 해운대3번은 배차간격이 애매하게 길어서 두 노선으로 환승하면 환승저항이 발생하며 155번의 경우에는 건너편 차량으로 환승을 해야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거기다 등하교 수요가 어마무지 한 노선이라 가축수송이 극심하다.[9] 안락교차로 정류장 정차를 위해서 안락지하차도 위로 지나가는데 구조상 교차로 통과 이후 바로 버스전용차로로 진입하는게 위험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는 210번에도 해당된다.[10] 수정동 행은 인창병원에서 내린 후 조금 걸어가면 9번 출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