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의왕후 어씨

 


'''조선 선의왕후 어씨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제28대 왕비
선의왕후 | 宣懿王后
'''
존호 · 휘호 · 시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1px"경순효인혜목선의왕후
(敬純孝仁惠睦宣懿王后)
<colbgcolor=#bf1400> '''시호'''
선의왕후(宣懿王后)

<colbgcolor=#bf1400><colcolor=#ffd400> '''출생'''
1705년 12월 14일 (음력 10월 29일)
조선 한성부 숭교방 사저[1]
'''사망'''
1730년 8월 12일 (음력 6월 29일)
(향년 24세)
조선 경덕궁 어조당
'''능묘'''
의릉(懿陵)
'''재위'''
'''조선 왕세자빈'''
1718년 11월 5일 ~ 1720년 7월 17일
(음력 1718년 9월 13일# ~ 1720년 6월 13일)
'''조선 왕비'''
1720년 7월 17일 ~ 1724년 10월 11일
(음력 1720년 6월 13일 ~ 1724년 8월 25일)
'''조선 왕대비'''
1724년 10월 16일 ~ 1730년 8월 12일
(음력 1724년 8월 30일 ~ 1730년 6월 29일)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bf1400> '''본관'''
함종(咸從)
'''전호'''
경휘전(敬徽殿)
'''부모'''
부친 함원부원군 어유구(咸原府院君 魚有龜)
모친 완릉부부인 전주 이씨(完陵府夫人 全州 李氏)
'''형제'''
2남 6녀 중 4녀
'''부군'''
경종

1. 노론계 세자빈
2. 늦은 왕비 책봉
3. 왕세제 책봉
4. 영조 즉위와 왕대비가 되다
5. 죽음 이후
6. 야사
7. 미디어
8. 여담

[clearfix]

1. 노론계 세자빈


영돈녕부사 어유구(魚有龜)[2]의 딸로서 어유구는 노론 영수 김창집의 제자이며 일가가 모두 노론계이다. 즉, 소론계의 배후를 갖던 경종과는 정치 성향이 반대인 집안의 딸을 세자빈으로 삼은 것.
1718년 14세(만 12세)의 나이로 세자빈에 간택, 같은 해에 왕세자(경종)와 어의궁에서 친영례를 치르고, 경희궁 광명전에서 동뢰를 치렀다. # 다음 해인 1719년 9월에 관례를 올렸다.

2. 늦은 왕비 책봉


1720년 숙종이 사망하고 경종이 즉위하자 왕비가 되었다. 경종의 초비인 단의왕후 심씨의 왕비 추봉과 선의왕후의 왕비 책봉을 동시에 주청한 것이 청나라에 트집 잡혀 1721년에야 고명을 받을 수 있었다.


3. 왕세제 책봉


경종 1년, 경종 부부에게 후사가 없다는 이유로 하여 노론 4대신(이이명, 김창집, 이건명, 조태채)와 혜순왕대비 김씨(인원왕후)의 강력한 추진으로 연잉군(영조)의 왕세제 책봉이 결정되었을 때, 선의왕후의 나이는 갓 17세에 불과했다. 일설에 따르면 연잉군을 반대하여 종실과 비밀리에 연합하여 소현세자의 직손인 밀풍군 탄, 혹은 밀풍군의 아들인 관석을 입양하려 하였으나 경종의 급서로 실패하였다고 한다.
실제로 기록에 등장하지는 않지만, 선의왕후가 이인좌 등에게 비밀리에 언문교서를 내렸는데 "왕실의 씨가 바뀌었으니 바로 잡아라"는 하교를 내렸다고 전한다. 이인좌 등이 왕대비(선의왕후)의 밀명을 받았다고 주장한 흔적은 영조 실록에 수차례 등장한다.
또한 효장세자 독살 사건의 배후로 추정되는데 당시 세자를 독살한 궁인이 왕대비 어씨를 끌어들였다. 일개 궁녀가 국본인 왕세자를 독살한다는 건 불가능하다. 당시 친국에서도 궁녀가 김상궁이 사주했다고 납초하였고 실록에도 김상궁은 동조(東朝)를 섬기던 상궁이라고 기록되어 있었다는 점, 영조가 이를 서둘러 차단했다는 점은 의미심장하다.

4. 영조 즉위와 왕대비가 되다


1724년 경종이 사망하고 영조가 즉위하면서 불과 20세의 나이로 왕대비가 되었다. 영조 2년에는 대비전이 있는 창덕궁이 아닌 경종이 세자 시절 거처하던 창경궁 저승전(...)에서 지냈으며, 1730년 8월 12일(음력 6월 29일) 경덕궁 어조당에서 세상을 떠났다.
선의왕후를 죽음으로 이끈 병명은 밝혀지진 않았으나 실록에서 왕후가 죽기 전날의 기록을 보면 죽기 직전까지 몸을 떨며 통곡을 하고 읍성(눈물을 흘리며 우는 소리)을 냈다고 한다. 또한 손으로 뭔가를 치는 듯한 행동을 보였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에 영조가 의관들에게 그러한 증후를 본 적이 있는지 묻자 중관이 헛소리를 하는 것이라 대답하였다(...)

5. 죽음 이후


선의왕후가 거처하던 저승전은 후에 세자궁으로 개조되어 사도세자의 처소가 되었으며 저승전 건너편에 위치했던 취선당[3]은 세자궁의 소주방으로 개조되었는데, 혜경궁 홍씨는 사도세자가 정신 질환을 앓게 된 근본적인 원인이 불길한 저승전에서 자라고 취선당에서 지은 밥을 먹은 탓이라 하였다.

6. 야사


  • 시동생인 영조와 사이가 두드러지게 좋지 않았는데, 즉위 초부터 선의왕후는 남편의 뒤를 이어 즉위한 영조를 위한 예식과 절차를 거부하기 일쑤였고, 영조는 왕대비(선의왕후)에게 올려지는 물품을 매번 삭감하여 국고나 백성에게 돌렸다. 왕대비(선의왕후)에게 진연을 올리자는 홍치중의 주청이 있자 영조가 진노어린 비답을 내려 종실 전성군 이혼 등 종친부가 일제히 상소하여 진연 올리기를 청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영조는 "나의 성의가 부족한 것 때문에 (선의왕후의) 윤허를 받지 못했다"며 비난과 책임을 회피하였고, 이후 진연을 올리는 것이 정해지긴 하였지만 수차례 연기되었다. 심지어 영조는 선의왕후의 국상 기간 중에[4] 후궁 귀인 이씨(훗날의 사도세자의 생모인 영빈 이씨)를 내명부 정1품 빈(嬪)으로 삼고 대대적인 잔치를 열어 도성 안팎은 물론 노론 대신들까지 탄식을 쏟아낼 정도였다.

  • 선의왕후가 사망한 이유는 지문에 기록된 대로 오랜 지병을 앓아서가 아니라, 죽기 약 4개월 전인 1730년 4월 15일에 발생했던 영조 암살 미수 사건의 주모자로 지목되어 어조당에 유폐되자 분개하여 식사를 거부한 끝에 아사한 것이라고 전한다.

7. 미디어


[image]
《조선왕조 500년 - 한중록》의 선의왕후
1회에서 영조(김성원 분)가 의릉(경종의 능)에 참배하러 가는 길에, 이천해(정상철 분)에게 "선왕을 독살한 살인마!"란 소리를 듣고 심란해할 때 등장한다. 정성왕후(김애경 분)에게 의혹을 밝혀달라는 부탁을 받으나, 떨떠름한 반응을 보인다.[5] 그래도 이후 영조가 경종 승하 당시의 정황을 백성들에게 알리려하자, 인원왕후(강부자 분)와 함께 영조를 찾아가 "주상의 결백함을 안다" 며 말린다. 그것으로 등장 끝.
  • 복원가의 집》에서 경종과 함께 등장한다. 원귀가 밤마다 의릉으로 들어가려 하지만 왕릉을 보호하는 결계 때문에 입구의 홍살문만 훼손되는 사건이 발생하자,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주인공 유성우와 중평군 일행이 의릉을 방문했을 때 봉분 위에 앉아 '언제 오려나?'만 반복해서 되뇌인다. 그러다가 유성우가 감정을 맡은 궁중 유물 중 왕실용 물건치고는 수수한 신발이 있어 선의왕후에게 가져가자 '은향에게 줄 선물'이라는 말이 나온다. 나중에 밝혀진 진실은, 의릉으로 들어오려던 원귀의 정체가 바로 은향이었다.
선의왕후가 입궁했을 때 경종의 측근들은 왕비를 감시할 목적으로 궁녀 은향을 심어두나, 선의왕후는 음모를 꾸미는 건 고사하고 뭘 해도 어설픈 허당이라 은향이 일거수일투족을 챙겨줬고 그런 은향이 고마웠던 선의왕후는 윗사람이 내리는 선물을 받아도 아랫사람에게 부담이 되지 않을 신발을 마련했다. 자신에게 주어진 임무와 선의왕후의 배려 사이에서 괴로워하던 은향은 함경도에 있는 부모를 만나고 온다며 궁궐을 떠나지만 배신을 눈치챈 경종의 측근들이 보낸 자객에게 살해된다. 이런 내막을 알지 못한 선의왕후는 은향을 기다리며 '언제 오려나?'를 연신 반복했던 것.
원귀가 된 은향이 느슨해진 결계를 넘어 의릉으로 들어오자 선의왕후는 '함경도까지 다녀오느라 오래 걸렸나보구나. 먼 길 갈 때 이걸 신으면 발이 아프지 않을 게다.'라고 말하며 신발을 건네주고, 은향은 원귀의 모습에서 정화되어 신발을 끌어안고 눈물을 흘리며 성불한다.

8. 여담


선의왕후의 외가를 살펴보면 의외의 가계를 확인 할 수 있다.
선의왕후의 외할아버지는 이하번이라는 인물인데 이하번의 4대조 즉 고조할아버지가 영양군 이거이다. 군호가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듯 왕족이다. 정확히는 중종창빈 안씨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인데 영양군의 동생이 다름아닌 덕흥대원군, 바로 선조의 아버지다.
경종이 덕흥대원군의 7대손이고 선의왕후는 외가로 영양군의 6대손이니, 경종 - 선의왕후 부부는 촌수로 15촌 사이이다.



[1] 현재의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캠퍼스가 있는 명륜동 일대이다.[2] 노론계열의 명유이자 호락논쟁에서 낙론을 이끌었던 어유봉은 어유구의 형이다[3] 희빈 장씨가 살던 곳.[4] 선의왕후의 사망날(1730년 8월 12일)로부터 약 3개월 후인 1730년 11월 27일[5] "시신이 상한 것은 사실 아니냐"고 한다. 정성왕후는 "여름이라 그런 게 아니냐"고 하지만, 선의왕후는 "추석 지나고도 열흘 뒤의 일인데 날씨 탓을 할 수 있냐"고 반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