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독일주의

 


Kleindeutschtum (독일어)
Lesser German Solution (영어)
小獨逸主義 (한자)
1. 개요
2. 내용
3. 이후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


19세기 독일 연방 내 통일 과정에서 다민족국가였던 오스트리아 제국을 배제하고 프로이센 왕국 위주의 독일 단일민족국가를 설립할 것을 주장한 사상.[1]

2. 내용


1848년 혁명 직후 민족주의자들의 주도하에 독일 문화권 내에서는 기존의 독일 연방을 해체하고 하나의 통일된 국가를 설립하려는 시도가 실제 행동으로 옮겨지게 되고, 이 사안을 논의하기 위해 같은 해 5월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에서 독일 문화권 전역의 대표자들이 소집된다. 새로이 통일될 독일 국가의 체제를 놓고 다양한 사안에서 무수한 이견이 존재했으나, 그 중에서도 가장 큰 화두는 바로 통일의 범위였다.
1848년 혁명의 주역인 민족주의자들 대부분은 대독일주의를 부르짖었고, 여론도 마찬가지여서 오스트리아 제국의 요한 대공을 독일 연방 섭정으로 추대했다. 민족주의자들 생각으론 구 신성 로마 제국 영토로 구성된 독일 연방의 강역은 당연히 통일 독일 고유의 영토(?)이고, 같은 독일 민족인 오스트리아 제국이 다스리는 타민족 고유의 강역 또한 당연히 독일이어서 오스트리아령 이탈리아에서 자신들을 통일 독일연방의 영역에서 빼달라고 요청을 했음에도 가볍게 무시됐고, 오스트리아령인 보헤미아 측이 "우리가 왜 독일이야? 우린 대표 안 보내"라는 반응을 보이자 "무식하고 야만적인 보헤미아인들을 개화시켜준 은혜는 잊고 뻔뻔하다"며 분노하는 한계도 보여줬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는 오스트리아 제국의 문제였다. 오스트리아 제국의 황제는 독일 연방의 대표이긴 하나 독일 연방에 보헤미아나 이탈리아처럼 독일어권 지역이 아닌 영토도 상당한데다가 제국 영토의 반정도는 독일연방 영역이 아니었다. 따라서 대독일주의를 만드려면 여러가지 해법이 등장하는데 대략 세가지다.
  • 오스트리아 제국의 모든 영역을 포함한 대독일
  • 오스트리아 제국에서 독일 연방 소속 지역(오스트리아 + 보헤미아 + 슬로베니아+트렌티노 )만 포함한 대독일
  • 오스트리아 제국 중 독일연방에 소속된 지역에서 독일어권(오스트리아 + 보헤미아의 주데텐란트) 포함한 대독일
이중에서 독일연방의 의장국인 오스트리아 제국은 1번 방안이 아니면 모든 해법이나 논의를 거부해버렸다. 오스트리아 제국 입장에서는 제국 영토의 반, 혹은 그 이상을 포기하고 통일 독일에 합류하면 독일 내에서 프로이센보다 더 적은 인구와 영토를 가지기 때문이었다. 결국 제국을 해체하고 독일로 합류해봐야 소국에 불과하고 주도권은 완전히 포기해야 하는일이었다. 더군다나 오스트리아 제국의 절반인 헝가리 왕국 지역에선 의회와 귀족들은 독일 연방내 분쟁시 헝가리군 동원과 전비 마련에 극히 부정적이었기 때문에 오스트리아 제국 내부에서조차 대독일주의는 위협받고 있었다.
이렇게 대독일주의의 현실화가 어렵고 보수 반동 세력의 반격으로 독일 연방 국가들이 하나 둘 복고체제로 복귀하자 현실적인 대안을 선택하기 시작하는데 '독일 연방 내에서 가장 큰 지분을 가진 프로이센 주도하에 통일 국가를 건설하자!'라는 소독일주의가 점차 먹혀들게 된다. 그리하여 여차여차 헌법 초안을 작성하는 한편으로, 의회 내 투표를 거쳐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신생 독일의 새로운 황제로[2] 결정되었으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본인이 '독일 연방의 주권자인 전체 제후들의 추대라면 기꺼이 받겠지만 국민의회에선 그럴 자격이 없다'는 점을 들어 거절했다.''' 당시 부르주아들이 구상했던 입헌주의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를 비롯한 전제주의 군주들에겐 매우 위협적이었기 때문이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프랑크푸르트 의회의 추대를 거부하기 이전부터 1848년 혁명은 애초에 나가리가 된 상태였고 다시 반동 정치가 독일 내에서 시작됐다. 비록 프리드히리 빌헬름 본인이 왕관을 거부하기는 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자유주의에 대한 거부감에서 비롯된 거지, 프로이센의 국왕들 역시 독일어권 내에서 왕초 노릇을 하고 싶은 마음이야 당연히 굴뚝 같았고[3] 이에 따라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의 관계는 1860년대 중반까지 갈수록 험악해진다.
쌓이고 쌓인 갈등은 1866년의 7주 전쟁으로 폭발하였고, 이 전쟁에서 프로이센이 오스트리아를 압도함에 따라 최종적으로는 소독일주의가 승리를 거두게 된다. 그리고 이 소독일주의 이념에 근거하여 세워진 국가가 독일 제국. 한편, 오스트리아는 독일 연방에서 축출되어 헝가리인들과 대타협이라는 이름의 협상을 거친 끝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재탄생한다.

3. 이후


독일 제국이 탄생한 것으로 대독일주의가 소멸되지는 않았다. 오히려 독일 제국 내에서 민족주의가 점차 커져감에 따라, 20세기 초반이 되면 독일과 오스트리아 양쪽 민중들 모두 '우리의 소원은 통일'을 부르짖는 상황이 벌어진다. 특히나 오스트리아 같은 경우에 일종의 다문화 국가를 추구했기 때문에 자신들이 역차별을 받는다고 느낀 몇몇 게르만 민족주의자들이 독일로 '인종적 피난'을 가는 상황도 벌어진다.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히틀러.
베르사유 조약에서 연합국이 안슐루스를 금지한 이유도 이렇게 대중들 사이에서 만연한 대독일주의를 의식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작 베르사유 조약으로 연합국이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철저히 짓밟아서 대독일주의가 더 만연해졌다. 전간기나치 독일 주도로 안슐루스가 일어나 대독일주의는 잠시 실현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나치 독일2차 세계대전을 일으키고 패배하면서 전후에 성립된 독일오스트리아는 양국의 합병과 이에 동조하는 대독일주의를 헌법으로서 금지하게 된다.

4. 여담


  • 소독일주의를 정당화하기 위해 프로이센 측은 역사학자들까지 동원했다. 이들 사학자들은 '중세 이래로 오스트리아 황제들이 겸직한 신성 로마 제국이 독일 전체의 발전을 저해했으니 오스트리아를 독일 문화권 내에서 쳐내야 한다'는 정체성론 을 발전시킨다.

5. 관련 문서



[1] 독일 제국 문서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어디까지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비교해서''' 단일민족에 가까웠던 것이지, 실상은 엄연한 다민족국가였다. [2] 다만 주의할 점은 훗날 독일 제국이 들어섰어도 독일 황제(German Emperor)이지 독일 제국의 황제(Emperor of Germany)가 아니다. 국내에 똑같이 황제로 번역되기 때문에 동양식 황제 천자 드립으로 오해될 소지가 있는데 훗날 성립된 북독일 연방이나 독일제국에서 맹주국 프로이센 국왕은 각 군주들의 대표이긴 하나 주군이 아니며 제후들은 신하가 아니다. 명목상 소국들이라도 프로이센과 주권은 평등했다.[3] 실제로 1850년 프로이센은 자국 주도의 에어푸르트 연방을 창설한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아직까지 러시아가 강력한 우방으로 오스트리아를 전폭 지원해줬기 때문에 무참히 진압당하니, 이것이 바로 올뮈츠의 굴욕. 그러나 크림전쟁 이후 오스트리아에 뒤통수맞았다고 생각한 러시아제국에선 크림반도 패전 대가인 흑해 비무장화를 파기하주는것을 프로이센에서 우호적으로 묵인하기로 했기 때문에 친프로이센 성향으로 바뀌었고 비스마르크의 대오스트리아 정책과 덴마크 전쟁은 러시아의 우호적 중립덕에 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