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창궁

 




수창궁

1. 개요
2. 역사
2.1. 고려 왕조
2.2. 조선 왕조
2.3. 구한말 ~ 대한민국
3. 주요 건축


1. 개요


壽昌宮
고려시대개경의 서소문 안에 있던 궁궐로 본래 별궁이었으나 고려 말에서 조선 초까지는 법궁으로 승격 되었다.

2. 역사



2.1. 고려 왕조


어느 시기에 세워졌는지는 미상이다.
1011년(현종 2년) 2월에 거란의 침입으로 피난 갔던 청주에서 개경으로 돌아와 당시 전소된 만월대를 복구하는 동안 기거했으나,
1116년(현종 7년)에 수창궁 안에 기괴한 일이 많이 일어나게 되자 결국 명복궁으로 이어했다.
그뒤 1147년(의종 1)에는 군소배가 의종과 어울리자 어사대의 건의로 북문을 봉쇄해 군소배의 출입을 금하기도 하였다. 그뒤 내시 윤언문이 수창궁 북쪽에 매우 화려한 만수정을 설치하면서 북쪽으로 권역이 확장되었다.
무신정변 이후 1181년(명종 11) 수창궁에 돌이 날아들어와 계엄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1187년(명종 17) 정월에는 추밀원에서 불이 번져 수창궁의 행랑 기둥 20여 채가 불에 탔으며 같은 해 7월에는 치사공부상서 조원정의 가신 무리 70여 명이 수창궁에 들어와 추밀사 양익경과 내시원낭중 이규ㆍ이찬 등 많은 사람을 살해하였다.
1196년 4월에는 수창궁 중서성문이 무너졌으며 8월에는 1171년 10월 화재 이후 기거했던 수창궁을 떠나 연경궁으로 옮기었다.
1211년(희종 7) 12월, 수창궁에서 희종의 최충헌 암살 시도가 일어났다. 최충헌의 호위대는 다 죽이는데 성공했지만, 최충헌을 죽이는데 실패했다.
1213년(강종 2) 8월에 강종이 수창궁 화평전(和平殿)에서 세상을 떠났으며, 1220년(고종 7) 4월에는 수창궁 침전에 호랑이가 들어오기도 하였다.
1232년, 무신정권 집권자 최이의 결정으로 강화도로 천도하게되었다. 강화도엔 수창궁의 이름을 그대로 따온 새로운 별궁을 지었다. 개경 수창궁은 폐쇄 되었다.
1234년 11월에 태조의 신어[1]를 개경 수창궁에 봉안했고 1250년과 1251년에는 몽골 사신을 강도(江都) 수창궁에서 향연하기도 하였다. 이후 몽골과의 여몽전쟁으로 본토가 황폐화되면서 개경 수창궁은 폐허가 되었다.
1270년, 본토로 출륙할 때 강도 수창궁은 허물어졌다.
1297년(충렬왕 23) 윤12월에는 당시 세자였던 충선왕이 부지밀직사사 최충소에게 명해 수창궁 터에 장차 원공주가 기거할 궁려를 짓기 위해 큰 공사를 시작했는데 가운데에 방단을 쌓고 둘레에는 높은 담을 둘렀다.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의 침입으로 연경궁(본궐)이 불타 이 곳으로 옮기었으며 1370년 8월 다시 수창궁 옛 터를 보고 궁궐 짓기를 명하였다. 그러다가 공민왕의 시해로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1381년(우왕 7) 3월 수창궁조성도감을 설치하여 최영, 이성림 등에게 공사를 계속 담당하게 해 다시 수창궁을 경영해 1384년 윤10월에 수창궁의 낙성을 보게 되었다.
1388년 창왕 때 왕의 이름 창(昌)을 피휘하여 수창궁을 수령궁(壽寧宮)으로 개칭하고 대비 이씨를 옮기었다.
그 뒤 공양왕이 여기서 즉위하였다. 창왕은 폐위된 후 이성계 일파에 의해 신돈의 핏줄로 모함당해 아예 그런 왕이 있었다는 것까지 부정되어 피휘도 취소됐고 궁 이름은 다시 수창궁으로 돌아왔다.
'''1392년 7월 17일, 감록국사 이성계가 수창궁 정전에서 군주가 되었다.'''
그 이전인 7월 12일, 공양왕이 왕대비의 교령에 의해 북천동궁에서 폐위되었다. 이후 이성계는 왕대비의 교령으로 감록국사에 봉해졌다. 이성계는 만세 함성을 들으며 수창궁 서쪽으로 말을 타고 들어와 어좌에 앉지 않고 선 채로 조하를 받았다. 왕씨가 아닌 이씨가 고려 법궁을 차지하는 순간이다.

2.2. 조선 왕조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태조는 수창궁 영화전(永和殿)에서 즉위했다고 한다. 이후 태조가 수도를 개경에서 한양으로 옮기면서 일시적으로 비게 되었으나 제1차 왕자의 난 이후 즉위한 정종이 수도를 한양에서 다시 개경으로 옮기면서 다시 기거했고, 1400년 침실에서 화재가 나 대전으로까지 번졌고, 같은 해 11월에 즉위한 태종도 한양으로 다시 이어했다.
이후 관리를 소홀히 했는지 조선 성종 연간에는 이미 허물어져 개성부의 창고로 사용되었다.

2.3. 구한말 ~ 대한민국


수창궁 자리는 일제강점기 때 관청이 집중되어 있었고, 대화정(大和町)으로 불렸다. 광복 이후 수창궁의 이름을 딴 개성시 수창동으로 개칭하였다.

3. 주요 건축


  • 경신전(敬愼殿) / 왕대비전(王大妃殿): 정식 명칭은 경신전이며 왕대비 안씨가 살고있었기에 왕대비전이라 불렸다. 공양왕의 폐위가 결정된 곳이며 이성계가 감록국사로 봉해진 곳이다. 또한 고려 왕씨의 국새가 마지막으로 보관되어 있던 곳이다.
  • 영화전(永和殿): 조선시대에 제작된 신증동국여지승람 제5권에서 등장하는 전각인데, 이 곳에서 태조 이성계가 즉위했다고 한다. 조선왕조실록에선 이성계가 수창궁 정전에서 즉위했다 했으니, 영화전이 수창궁의 정전이라고 볼 수 있을 듯 하다.
  • 관인전(寬仁殿)
  • 명인전(明仁殿)
  • 중화전(重華殿)
  • 만수정(萬壽亭)
  • 팔각전(八角殿): 공민왕이 건설한 중층 건물이다. 2층으로 되있고 팔각형 모양으로 세운 커다란 건축. 주위엔 후원(後園)을 만들어 꽃, 새, 귀석을 진열했다고 한다. 수창궁의 동남쪽 근처에 위치했다.
  • 지주사방(知奏使房): 수창궁 내의 근무시설. 희종이 최충헌을 죽이려 했을 때, 최충헌은 지주사방 문[2] 사이에 숨어 피신했다.

[1] 神御 : 임금의 화상. 어진.[2] 중문이었던 걸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