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진

 

御眞 / Royal portrait
이곳에 있는 그림들 중 실제 어진인 것은 몇 개 없다. 대체로 훗날의 상상화들이 많다.
1. 개요
2. 어진 제작
2.1. 제작 과정
3. 대한민국에 현존하는 어진
3.2.1. 감신총 벽화
3.6. (대한민국 시대)
3.7. 표준영정 및 현대 복원본
3.7.1. 삼국시대~남북국시대
3.7.1.1. 가야
3.7.1.2. 고구려
3.7.1.3. 백제
3.7.1.4. 신라
3.7.1.5. 발해
3.7.2. 고려
3.7.3. 조선
3.7.3.1. 조선 태종
3.7.3.2. 조선 세종
3.7.3.3. 조선 단종
3.7.3.4. 조선 세조
3.7.3.5. 조선 성종
3.7.3.6. 조선 경종
3.7.3.7. 조선 장조
3.7.3.8. 조선 정조
3.7.3.9. 조선 문조
3.7.3.10. 조선 고종
4. 역대 어진 화사
5. 외국에 현존하는 어진


1. 개요


초상화를 일컫는 말. 어진이라는 표현은 의외로 늦게 생긴 말이다. 본래 진용(眞容), 영정(影幀), 왕상(王像) 등 여러 가지 단어를 사용했지만, 조선 숙종 39년(1713) 숙종 어진을 그릴 당시 어용도사도감도제조(御容圖寫都監都提調)였던 이이명(李頤命)이 건의하여 '어진'이라는 명칭으로 통일했다.

영자(影子)는 왕이 지칭하는 것이므로 신하로서는 감히 지칭할 수 없고, 영정(影幀)은 그 뜻이 회화를 열어 펼친다는 뜻이니 족자(簇子)로 꾸며진 것이 아니면 칭할 수 없는 것이다. 수용(睟容)이란 단순히 모습을 지칭하는 것이니 부를 바가 못 되며, 어용(御容)역시 거칠고 투박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무릇 전신(傳神)이란 사'''진'''(寫'''眞''')으로 불려왔으며, 또한 왕의 초상화를 봉안하는 처소를 '''진'''전('''眞'''殿)이라 하므로 왕의 화상 역시 어'''진'''(御'''眞''')이라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 - 《승정원일기》


2. 어진 제작


'''기록이 남아있는 조선 시대를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어진 제작은 도사(圖寫), 추사(追寫), 모사(模寫) 이렇게 3종류로 나뉜다. 다만 도사와 모사는 1713년 이전에는 모사(模寫)라는 단어로 구분 없이 사용되었다.
  • 도사(圖寫): 왕이 살아있을 때 그 모습을 바라보며 그리는 것.
  • 추사(追寫): 왕이 살아있을 때 그리지 못하여 사망 후 그리는 것.
  • 모사(模寫): 왕의 어진이 훼손되었거나 새로운 진전에 봉안시에 기존의 어진을 본떠 그리는 것.
어진 제작을 위해 도감(都監)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왕실 종친들이 주도하는 종부시(宗簿寺)에서 관장하기도 했다. 또 전문 화원은 아니지만 미술에 조예가 높은 양반 신분 화가들이 유화(儒畵)라는 기술적 조언자로 참가해 잘못된 부분에 대해 조언을 해 주기도 했다.
직접 제작하는 화원을 어진화사(御眞畵師)라고 불렀는데 도화서 화원 가운데 뽑았지만 마땅히 사람이 없을 경우엔 민간의 화가중에 선발해서 그리게 하기도 하였다. 어진화사(御眞畵師)는 보통 6~7명 선이었지만 최대 13명까지 이를 때가 있었다. 어진화사 중에서도 집필화사(執筆畵師)와 왕의 몸 중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그리는 동참화사(同參畵師), 물감을 섞는 일을 돕는 수종화사(隨從畵師)로 나뉘어 있다.

2.1. 제작 과정


어진의 초본을 완성하면 비단 위에 먹으로 초본을 옮겨 채색을 한다. 채색이 끝나면 뒷부분을 종이로 배접하여 잘 말린 후 영정의 네 가장자리를 두르는 장황을 하고 뒷부분을 비단으로 배접한다. 옥축, 홍사유소[1], 봉안색환[2]등을 부착하고 마지막으로 표제(標題)작업[3]까지 마치면 어진 제작이 완성된다.
어진을 완성하면 길한 날을 골라 진전에 봉안했다. 진전은 임진왜란 이전에 총 6곳에 이르렀는데 한양문소전, (이성계의 고향인) 영흥준원전, 평양영숭전, 개성목청전, 경주집경전, (이성계의 본향인) 전주경기전에 영전들을 배치했다. 이는 한나라 한고조의 묘를 수도뿐만 아니라 군국에 분립하게 했다는 제도를 따른 것이다. 다만 나머지는 모두 임진왜란 때 불탔고[4], 경기전에 있던 어진만이 무사히 남았다. 경기전 어진은 병자호란 등 전쟁에서도 이리저리 옮겨다니며 화를 피했고 녔다고 한다. 영조 43년(1767) 전주성 안에서 큰 화재가 일어나 2300여 호가 불탔지만 이 화마마저 피하여 지금까지 살아남은 덕에 우리는 태조의 어진만큼은 볼 수 있다.

3. 대한민국에 현존하는 어진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는 정식적으로 그려진 어진은 하나도 전해지지 않는다. 궁예가 부석사에서 신라 왕의 어진을 찢었다는 기록과 같이 임금의 초상화를 그려 모시는 것은 고대에도 존재했으나, 고대의 어진은 하도 오래됐다보니 원본이 남아있는 것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했겠지만, 고려시대의 어진은 조선 초기 세종대왕이 일일이 모아서 불태우거나 땅에 묻었다고 한다. 고려 임금 불태운 세종 1426년 도화원이 간수하고 있던 고려 역대 군왕의 초상화를 태우고, 1428년에는 전국에 퍼져 있던 역대 고려왕의 그림과 조각상을 모아서 개성에 가져가 묻었다고 한다. 조선 초기에는 왕씨 학살, 숭유억불을 비롯해 고려시대 색채를 지우는 작업이 전국적으로 벌어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세간에는 조선 이전의 초상화라고 주장하는 그림들이 몇 떠돌고 있지만, 아래 삼국시대, 고려시대 어진은 그린 이가 확실하거나 혹은 사서에 등장하는 어진으로 어느 정도 인정할 수 있는 그림이기 때문에 등재했다.

3.1. 고조선



3.1.1. 환인, 환웅(천제, 天帝)


[image]
[image]
환인
환웅
황해도 구월산 삼성사에 실린 초상화. 김대중 정권 시절 북한과 교류가 활발할 때 국내에 소개된 사진이다.

3.1.2. 단군왕검


[image]
천진전단군화상 (1920년 추정)
1920년대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그림이다. 당시 대종교가 생긴지 10여년도 안된때라 대종교의 영향을 받거나 아예 대종교 쪽에서 그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image]
단군 초상화(1883년)
현재 국내에 소장된 단군 초상화 중에서 가장 오래된 그림이 2019년에 발견되었다. 초상화 오른쪽 아래에 써진 화기(畵記)에는 광서 9년(1883년)에 그려졌다고 기록되어있다.#

3.1.3. 기자왕


[image]
기자조선의 첫번째 국왕 기자의 초상화. 기자가 조선에 봉해졌다는 기록 때문에 현대 사학계에서는 실존을 인정하지 않는다.

3.2. 고구려



3.2.1. 감신총 벽화


[image]
[image]
감신총에 있는 벽화들
북한의 용강군 신령면 신덕리에 있으며 대략 약 4세기에서 5세기의 사이의 고구려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특히나 위 사진에서 가운데 인물들은 다른 인물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크게 그려져 분명 높은 신분일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의 왼쪽 초상의 인물은 왕이 쓰는 흑나관과 입는 옷인 홍포를 입고 있어 이것이 고구려 왕의 초상이라는 추정도 있으나 조금도 근거가 없다. 홍포를 비롯한 음양오행 풍습이 당시에 있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문건이 없다. 삼국사기에 의해 보았을 때 음양오행을 통한 행정적, 사상적 치행은 고려 태조때부터가 처음이다. 조선의 유교적 통념으로 고구려의 왕릉을 연원하는것은 무식한 행위.
다만 오른쪽의 초상은 감신총의 다른 분묘 인데, 비록 얼굴은 훼손되었지만, 드리워진 비단 장막에 왕(王)자가 수도 없이 적혀 있어, 이 무덤의 주인공이 왕이라는 연관성을 더욱 뒷받침 해주는 증거라고 학자들은 판단하고 있다.
벽화 자체는 의외로 잘 남아 있지만, 가장 심하게 도굴을 당한 무덤 중 하나라서 내부 유물들은 발견되지 않았다.

3.2.2. 고국원왕(추정)


[image]
왕릉인지조차 불명확하나, 북한의 안악군 안악 3호분을 발굴한 북한 학계 및 한국 소장파 학자들은 이 무덤의 주인이 고국원왕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중국, 일본 및 한국 원로 학자들은 이 무덤의 주인이 전연에서 고구려로 망명한 귀족 동수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이 그림이 고국원왕의 어진인지 확정된 것은 아니며 미천왕이라는 소수의 의견도 있다.

3.3. 신라


어진의 형태로 유물이 전해지는 것은 제56대 왕 경순왕뿐이다. 다만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 일명 남산 감실부처로 불리는 불상이 제27대 선덕여왕의 용안을 본땄다는 설이 있다. 비슷하게 석굴암 본존불의 얼굴도 당시 제35대 경덕왕을 본땄다는 설이 있다.
사실 국가의 지원을 받아 건립된 사찰에서 불상의 얼굴이 당대 임금의 용안을 따라 만들었다는 설은 굉장히 흔하다. 대표적으로 룽먼석굴의 본존 비로자나불은 측천무후의 용모를 조각한 것이다.

3.3.1. 경순왕


[image]
[image]
1749년 상용암 제작본
1794년에 이명기가 그린 경순왕 초상
[image]
[image]
1904년 승려화가 이진춘이 그린 밑그림
1904년 이진춘이 그린 경순왕 어진
통일신라가 멸망한 직후인 고려초에 경순왕을 추모하기 위해 금강산본, 해인사본, 그리고 강원도 원주시 고자암(...)[5]에 봉안해 놓은 고자암본 세 종류의 경순왕 어진이 그려졌다고 한다. 당시의 세 원본은 지금은 남아있지 않지만, 금강산본을 제외한 나머지 두 종류의 어진을 후대에 모사한 작품들이 지금까지 남아있다. 경순왕 어진은 부분적으로 불화의 표현기법이 사용되긴 했지만 본래 경순왕의 외모 역시 특정할 수 있을만큼 어느정도 사실적 그림체로 제작되었다.
  • 1677년 강원도 원주 고자암에서 제작된 것
  • 1749년 경북 영천 은해사 상용암에서 제작된 것
  • 1794년 초상화가 이명기[6]가 은해사본을 보고 다시 그린 것
  • 1904년 화가 이진춘이 이명기본을 보고 다시 그린 것, 그리고 이것의 밑그림
이들 어진은 경순왕 사당인 경상북도 경주시의 신라 왕실에 제사를 지내는 사당인 숭혜전 창고에 방치되었다 2007년 최초로 발견되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어진으로[7]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은 유물이다.

3.4. 고려


고려에서도 태조부터 마지막 왕인 공양왕 어진까지 계속 그려진 것으로 보이며, 이는 조선왕조 건국 후에도 보존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428년 고려 태조와 혜종의 어진을 각 왕릉 옆에 묻었고, 이후 1433년에는 마전현(麻田縣)[8]의 땅에 총 18축의 역대 왕의 어진을 묻었다. 그리고 이 어진들을 묻어버리게 한 사람은 다름 아닌 '''세종대왕'''.

3.4.1. 고려 태조


[image]
[image]
경기도 연천 숭의전에 있는 태조 왕건의 영정(좌우 반전)
얼굴 확대
[image]
왕씨 족보에 실려있는 왕건 초상화
왕건의 어진은 조선 시대에 그려진 영정의 1950년대 이전 모사본이라 한다. 고려 왕씨 족보에 실려있는 왕건의 모습과 매우 흡사한 것을 볼 수 있다. 왕씨 족보는 1992년 9월 개성시에 살고 있던 태조 왕건의 31대 후손인 왕지송 노인이 소장하고 있던 것을 개성시 당위원회에 기증한 것이라고 한다. 단군묘도 만들어내는 북한인지라 어디까지 믿어야 할지 모르겠지만 위의 어진을 보고 배낀 것이든 아니면 그 반대로 왕씨 족보에 그려진 왕건의 모습을 바탕으로 우측의 어진을 그려낸 것이든 두 초상화가 매우 닮았고, 연관이 있음을 대번에 알 수 있다. 자세한 것은 왕씨 족보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 져야 알 수 있을 듯싶다.
한편 대한제국 시대 교과서인 "초등대한역사"에 제시된 기자이 위 어진과 꽤 비슷해 궁금증을 더한다. 근데 역시나 비슷한 이 따로 고려 태조의 상으로서 실려 있다는 게 포인트(?).
현릉에서 발굴된 왕건 동상
왕건의 모습을 정확히 묘사하고 있는 어진은 없지만 신기하게도 동상이 남아있다. 그것도 왕건 당대와 가까운 10세기 말에서 11세기 초 사이에 만들어진 동상으로 왕건 당대와 매우 가까운 시기에 만들어진 만큼 왕건의 어진을 직접 보고 만들거나 왕건을 직접 만났던 사람들의 증언들은 토대로 충실히 재현 했을 확률이 높다. 청동으로 만들어진 이 동상은 북한에서 1992년 왕건의 현릉을 확장 공사하다가 발견한 것이다. 처음에는 불상으로 오인되었으나 고려 왕실 제례 때 사용되던 고려 태조상을 조선 세종 11년(1429)에 현릉에 묻었다는 기록과 교차 검증되어 왕건상임이 밝혀졌다. 이 청동상은 왕건의 젊은 시절을 모사한 것이라 한다. 나체상이지만 원래부터 벌거벗은 임금님마냥 저렇게 되었던 것이 아니라 나체 동상을 만든 후 그 위에 실제 옷을 입혔던 것이다. 실제 청동상 발굴시 발 쪽에서 비단조각이 나왔고 허리띠의 일부로 보이는 유물이 나오기도 했다. 기록에도 왕건 청동상에 입힐 비단옷과 옥대를 봉헌했다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유물과 사료가 교차 검증이 된다. 남북 관계가 비교적 원만했던 2006년에 국내에서 전시된 적도 있다. 왕건의 청동상은 왕건의 제대로 된 어진이 전무한 상황에서 왕건의 외모를 추정해 볼 수 있는 매우 소중한 자료다. 한편 과거 왕건의 어진은 3곳의 사찰에 봉안되었었다고 하는데 그 중 한 곳인 개태사가 위에 나온 왕건상을 바탕으로 새로운 어진을 만들어 봉안하였다.
그밖에 기록에 남아있는 왕건의 외모는 다음과 같다.

'''용모는 용안(龍顔)과 일각(日角)이며 턱이 풍만하고 이마가 넓었다.''' 기우(氣宇)와 도량이 크고 깊었으며, 목소리가 우렁차고 컸으며, 너그럽고 후하여 세상을 구제할 도량이 있었다.

- 고려사절요

'''용안(龍顔) 일각(日角)에 턱은 모나고 이마는 넓으며,''' 기우(器宇)가 크고 깊으며, 말소리가 크며, 성품이 관후(寬厚)하여 세상을 구제할 도량이 있었다.

- 동사강목

'''얼굴은 일각(日角)의 상에 턱이 모나고 이마가 넓었으며''' 간국(幹局)이 크고 깊었다. 음성이 우렁차고 성품이 관후(寬厚)하여 제세(濟世)의 도량(度量)이 있었다.

- 삼국사절요

턱이 풍만하고 이마가 넓었다는 기록을 보면 상당히 후덕한 풍채의 인물이었던 듯.

3.4.2. 공민왕


[image]
고려 공민왕 어진으로 전해져 오는 그림
태조 이성계가 재위 4년째인 1395년에 종묘 창건을 하며 경내의 신당에 봉안했던 그림인데 오른쪽 인물이 공민왕, 왼쪽은 노국공주라고 한다. 임진왜란으로 불타버리자 광해군 때 건물을 복원하면서 이모한 것이라고 한다. 전술했듯이 고려색을 지우기위해 기존 고려왕들의 어진을 없앴지만 공민왕은 예외적으로 태조 이성계를 발탁하고 중용한 인물이였기에(사실상 이성계가 충성한 마지막 고려 임금) 대우 자체가 달랐다. 그래서 분서 과정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
[image]
공민왕 어진으로 추정된 그림
경기도 장단군 진서면 대원리의 화장사라는 절에 소유하고 있던 공민왕의 초상이라고 전해졌던 그림이다. 위에 초상화와 수염이 비슷해서 공민왕으로 추정된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화장사에 있던 정종 부부의 어진으로 추정되는 그림 한쌍과 함께 궁으로 이안되었다가 정종 추정 어진이 신원이 불확실한 이유로 다시 화장사로 돌려보낼 때 다시 딸려서 돌아왔다고 한다. 이유는 망한 나라 임금 초상따위 있어서 뭐하냐는... 현재 행방이 묘연한데 한국 전쟁 당시 화장사가 폭격으로 파괴되어 소실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3.5. 조선, 대한제국



3.6. (대한민국 시대)


왕의 초상화가 아니라서 어진은 아니지만 국가의 원수(元首)란 점에서 비슷하므로 간접적으로 서술한다. 당연히 현대 국가라서 사진과 초상화의 상태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두 형태로 모두 매우 잘 보존되어 있다. 대한민국 대통령 초상화 문서 참조.

3.7. 표준영정 및 현대 복원본


현재까지 남아 있진 않지만 상상에 근거하여 그린 어진이 몇 가지가 있다. '''쉽게 말해 상상화.'''
그러니 실제 모습과는 달라 실제 모습이 이렇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 다만 성왕의 경우엔 남아있는 유물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여기에 등재된 어진들 중 정부표준영정(政府標準影幀)으로 등재된 것은 국가가 공인한 영정이다.

3.7.1. 삼국시대~남북국시대



3.7.1.1. 가야

[image]
수로왕
표준영정 지정번호 : 제49호
[image]
구형왕
표준영정 지정번호 : 제62호
[image]
이진아시왕
표준영정 지정번호 : 제97호

3.7.1.2. 고구려

[image]
광개토대왕
표준영정 지정번호 : 제14호

3.7.1.3. 백제

[image]
[image]
성왕
표준영정 지정번호 : 제75호
구세관음상
성왕의 아들 위덕왕이 아버지인 성왕을 본따 만들었다고 전해지는[9] 호류사 몽전 구세관음상을 기반으로 제작한 대한민국 표준 영정이다.
[image]
백제 무왕
표준영정 지정번호 : 제71호

3.7.1.4. 신라

[image]
[image]
선덕여왕

2018년 새로 부인사에 안치한 영정
표준영정 지정번호 : 제98호
[image]
태종 무열왕
표준영정 지정번호 : 제12호
[image]
문무왕
표준영정 지정번호 : 제13호
[image]
[image]
흥무대왕(興武大王) [10] 정우성화백 作
김유신
표준영정 지정번호 : 제9호
신라 표준영정 들 중 무열왕, 문무왕, 김유신 흥무대왕,선덕여왕본은 엄밀히 말해서 고증오류다. 금관의 경우 학계에서는 김씨왕조 초기에 일시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고 있고, 무열왕이 당 태종에게 칭신하고 책봉을 받으면서 당나라의 관복을 사여받아 온 후로 신라 왕들은 당나라식으로 사모단령을 입었다.

3.7.1.5. 발해

[image]
고왕
표준영정 지정번호 : 제86호

3.7.2. 고려


[image]
고려 태조
표준영정 지정번호 : 제66호
[image]
태조 왕건의 능인 개성 현릉에 있는 태조 어진
[image]
개태사에서 제작한 왕건 어진
왕건의 어진은 3곳의 사찰에 봉안되었다고 하는데 그 중 한 곳인 개태사가 위에 나온 왕건상을 바탕으로 새로운 어진을 만들어 봉안하였다.

3.7.3. 조선



3.7.3.1. 조선 태종

[image]
효령대군 기념관에서 제작한 태종 어진[11]

3.7.3.2. 조선 세종


[image]
[image]
세종
표준영정 지정번호 : 제2호
세종 김학수 화백이 그린 어진
어진을 그린 김기창이 자신의 얼굴과 흡사하게 그렸다고 해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세종의 어진이 남아있지 않으며 보통 사람을 그릴 때는 무의식적으로 자신과 닮게 그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속단할 수는 없는 내용이다

3.7.3.3. 조선 단종

[image]
단종 김호종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가 그린 어진

3.7.3.4. 조선 세조



3.7.3.5. 조선 성종

[image]
성종 우승우 화백이 그린 어진이다.

3.7.3.6. 조선 경종

[image]
경종 우승우 화백이 그린 어진이다.

3.7.3.7. 조선 장조

[image]
장조(사도세자) 우승우 화백이 그린 어진이다.

3.7.3.8. 조선 정조



3.7.3.9. 조선 문조

[image]
권오창 화백이 복원한 어진이다.

3.7.3.10. 조선 고종

[image]
전신 어진

4. 역대 어진 화사


기록상 남은 어진 화사들이다.
당시 도화서에 속해있어 어진을 제작했고, 당대 이름을 떨쳤던 화원들이다. 이들의 작품 중 대다수가 보물이거나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숙종 어진 – 심사정, 윤덕희(윤두서 子), 조영석, 장득만, 진재해, 김덕하
1735년 세조 어진 이모- 장득만[12], 장경주, 이치
영조 어진 – 장경주, 진재해[13](연잉군 초상), 김홍도, 김두량,
정조 어진[14]강세황, 김홍도, 김득신, 이명기, 신한평, 한종유, 김응환
1830년, 1808년 순조 어진(효명세자 포함) – 김득신 가문(아우 김석신, 아들 김하종, 김건종), 박기준
헌종 어진 – 이한철, 조중묵, 박인석, 박기준
1861년 철종 어진 – 이한철, 조중묵, 김하종, 박기준, 이형록, 백영배, 백은배, 유숙
1900년 태, 영, 정, 순조, 효명세자 이모, 고종 어진 – 이한철, 조중묵, 박기준, 조석진, 채용신, 유숙
1916년 순종 어진 - 김은호
1928년 순종 어진 - 김은호, 안명준, 백윤문
1936년 세조, 원종, 어진 이모 - 김은호, 장운봉

5. 외국에 현존하는 어진


중국의 경우엔 고대의 경우 역대제왕도권 등이 남아있고 명나라청나라의 경우엔 어진들이 온전히 남아있어 보기가 쉽다. 명나라의 각 황제 문서청나라의 각 황제 목록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몽골도 원나라 카간과 황제들의 초상화가 현존해 남아있다.
오키나와에 있던 류큐 왕국의 경우 어진을 우구이 또는 오고에(御後絵)라고 불렀다. 신과 함께를 연상시키는 화풍과 구조가 인상적인데 불교 탱화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오키나와 전투로 모두 소실되었지만 다행히 이전에 찍어둔 흑백사진들이 남아 복원할 수 있었다. 쇼신 왕, 쇼엔 왕, 쇼네이 왕 문서에서 볼 수 있다.
유럽의 경우엔 매우 많이 남아 있다. 역시 각 왕들의 문서마다 배치되어 있으니 참조.
일본에서는 천황 부부의 사진, 초상화를 어진영(御真影)이라고 불렀는데, 제국주의 시절에는 이 어진영을 말 그대로 천황처럼 존대하는 것을 강요했다. 학교에서 화재가 났을 때 이 어진영을 대피시키려다가 사망한 교사를 찬양하거나 해군 군함이 침몰할 때 해야할 인원 대피는 안하고 어진영 구한다고 시간을 낭비하는 일도 많았다.
일본의 역사박물관에 가면 특히 메이지 덴노의 어진영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서양인의 이목구비에 가깝게 작위적인 화법으로 그려진 것이 특징이다. 사진이 많이 남아있는 고종과 달리 메이지 덴노는 사진찍기를 싫어해서 제대로 찍힌 사진이 거의 없고, 초상화는 프로파간다 목적으로 왜곡된 것들이라 20세기까지 통치한 군주임에도 정확한 외모가 불분명하다.
[1] 붉은 비단실을 묶어 만든 장식끈.[2] 봉안용 고리.[3] 이 어진이 누구의 것이며 언제 제작되었는지를 표기하는 작업.[4] 전주 경기전은 정유재란. [5] 고자암의 고자는 高自로 당연히 그 고자(鼓子)와는 다르다. 경순왕이 고려에 귀부한 뒤 말년에 조그마한 암자를 지어 생활하던 곳이다. [6] 정조 어진을 제작하는데 참여한 경력이 있다. [7] 경기전의 태조 어진은 1875년 모사한 것이다.[8] 현 경기도 연천군 일대[9] 이설로는 쇼토쿠 태자의 외모를 본따 만들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렇지만 쇼토쿠 태자는 실존 인물인지 불분명하다.[10] 김유신은 왕위에 오른적은 없지만 사후 흥무대왕(興武大王)으로 추존되었다.[11] 원래의 얼굴색은 그냥 살구색이지만 조명 때문에 주황색으로 보인다[12] 익안대군 영정을 이모한 경력있음[13] 이항복 반신상을 모사한 경력있음[14] 제작에 참여한 화가 모두 엄청난 인물들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