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간수교

 


'''청계천의 교량'''
상류 방면

이름

하류 방면
전태일다리
(버들다리)
'''오간수교'''
맑은내다리
[image] '''대한민국의 사적'''
460호

'''461호'''

462호
공주 수촌리 고분군
'''서울 청계천 유적
(광통교지, 수표교지오간수문지)'''
서울 부암동 백석동천
1. 개요
2. 위치
3. 역사
4. 특징
4.1. 오간수문
4.2. 오간수교
5. 교통
6. 여담

[image]
오간수교#

1. 개요


五間水橋 / Ogansugyo
청계천다리이다. 청계광장 기준으로 청계천의 14번째 다리이다.

2.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종로6가)와 중구 장충단로 (을지로6가)를 잇는 위치에 있다.

3. 역사


[image]
오간수문 옛 모습
원래는 한양도성 성곽의 일부로, 청계천이 도성을 빠져나가게 만든 수문(水門)이었다. 5개의 무지개 모양으로 된 홍예문이었으며 이름도 본래는 ‘오간수'''문'''(五間水'''門''')’이었다. 사대문안의 [1] 물줄기는 청계천을 통해 이 문으로 빠져나갔다.
1396년(태조 5년)에 한양도성을 지을 때 창건한 듯 하나 정확한 건 모른다. 처음에는 수문이 3개였으나 1421년(세종 3년)에 장마로 개천이 범람하자 1년 뒤에 추가로 2개를 더 만들어 5개가 되었다.
1612년(광해군 4년)에 수리했다.#[3] 1760년(영조 36년)에 청계천을 준설하면서 다시 보수했다.
1907년(융희 원년) 일제청계천 물줄기가 원활하게 흘러간다는 명분 하에 오간수문을 헐었고 1년 뒤에는 근처의 성벽마저 철거했다. 이후 그 자리에 콘크리트로 새 다리를 짓고 이름을 ‘오간수'''교'''(五間水'''橋''')’라 했다.
[image]
오간수교를 지나는 전차
1921년 6월에 흥인지문(동대문)에서 광희문전차 노선이 새로 생기면서 오간수교 위에 전차 선로가 놓였다. 1926년 6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례 행렬이 오간수교를 지나면서 약 4.5m던 다리의 폭을 약 8.2m로 확장했다. 그러나 그 다리마저도 1961년 12월에 청계천 복개공사로 사라졌다.
[image]
오간수문을 재현한 구조물
2000년대에 진행된 청계천 복원공사 때 재건되었다. 그러나 교통문제로 예전의 오간수문으로 복원하지 못했고 지금의 오간수교를 만들었다. 대신 오간수교 북측의 동쪽 벽면에 오간수문을 재현한 구조물을 설치했다.

4. 특징



4.1. 오간수문


  • 청계천 바닥에 선단석을 설치하고 그 위에 홍예를 얹었다. 홍예 위로 석축을 쌓았으며 석축 위에는 여장이 설치되어 있었다. 그리고 선단석 사이마다 가로로 긴 부재를 얹었다. 재질은 전부 화강암이다.
  • 엄연히 도성의 경계를 나타내는 방어 구조물이었지만, 아무래도 물이 나가다 보니 다른 이나 성벽처럼 막혀있지 않았다. 그래서 홍예마다 쇠창살을 두어 외부인이 멋대로 드나들지 못하게 했다. 다만 하천의 범람 시 물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쇠창살마다 작은 철제 줄을 연결시켜 상황에 맞춰 언제든 열고 닫을 수 있게 했다.#

4.2. 오간수교


  • 길이 22.9m, 너비 59.9m로, 가운데에 왕복 8차선의 차도가 있고 다리 양 가장자리에 인도가 있다. 중앙분리대는 없으며 양쪽의 인도와 차도 사이에 잔디를 폭넓게 깔았다.
  • 역사성 때문인지, 다리 가장자리 양 쪽에 성벽여장을 설치했다. 여장은 각각 8개, 총 16개로 끄트머리의 것이 다른 여장들보다 길이가 짧다.

5. 교통



6. 여담


  • 오간수문에 쇠창살을 두는 등 경비를 강화했음에도 죄인들이나 외부인들이 몰래 출입하는 것을 완전히 막지는 못했던 듯하다. 명종 때 유명했던 도적 임꺽정과 그 무리들이 전옥서를 부수고 도망갈 때도 오간수문을 이용했다.#
  • 그리고 쇠창살을 열고 닫게 만들었음에도 청계천을 제대로 준설한 적이 거의 없어 나중에는 토사와 부유물들이 쌓여 배수가 잘 안되었다. 이에 임시로 나무문 2개를 설치하여 활용했으나 영조 시절에는 그마저도 사용 불가능한 지경이 되었다. 그래서 1760년(영조 36년)에 청계천을 준설하면서 오간수문 역시 보수했다. 이 때 나무문을 헐고 전부 원래 모습대로 되돌렸으며 주변에 버드나무를 심어 토사가 쓸려내려오지 못하게 했다. 그리고 이렇게 버드나무가 심어진 오간수문은 한성 내 봄놀이 장소로 유명해졌다고 한다.#

오간수교 무대에서 주니엘이 부른 <연애하나 봐>
  • 2014년 9월 28일, 가수 주니엘이 오간수교의 천변무대에서 피크닉 라이브 공연을 펼쳤다. 이 때 <연애하나 봐>를 공식적으로 처음 발표했다. 한 시간 정도 진행되었으며, 달, 벚꽃 등 일본 자작곡도 두 곡 불렀다.


[1] 전부는 아니다. '''딱 한 물줄기'''만 다른 곳으로 나갔다. 남산 북쪽에서 발원한 남소문동천의 일부 지류가 광희문 인근에서 따로 갈라져 현재 DDP 자리에 있던 이간수문을 통해 빠져나간 것.[2] 擲奸. 죄의 유무를 밝히기 위하여 캐어 살피는 것.[3] 이 때 사관은 ‘의심이 많은 왕은 내부 반란으로 쫓겨날까 두려워 오간수문을 척간한다[2]’며 광해군을 디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