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애니메이션)
1. 개요
트랜스포머 시리즈 전통의 해즈브로와 Red vs. Blue, RWBY로 유명한 애니메이션 회사 Rooster Teeth가 공동 제작하며 2020년~2021년까지 넷플릭스에서 공개되어 방영 예정인 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트랜스포머 프라임과 트랜스포머: 로보츠 인 디스가이즈 CG를 작업을 하였던 CG 회사인 폴리곤 픽처스가 작업한다.
2. PV
3. 등장인물
성우진이 공개되었다. 일본
- 오토봇
- 옵티머스 프라임: 제이크 틸먼 / 겐다 텟쇼
- 엘리타 원: 린제이 루소 / 이노우에 키쿠코
- 울트라 매그너스: 에드워드 보스코 / 이노우에 카즈히코
- 휠잭: 빌 로저스 / 볼케이노 오오타
- 라쳇: 라파엘 골드스타인 / 고다 호즈미[1]
- 사이드스와이프: 마크 휘튼 / 이와나카 무츠키
- 레드 얼럿: 토드 하버콘 / 나카무라 카즈마사
- 미라지: 숀 호킨스 / 마츠우라 요시유키
- 프라울: 아론 부치
- 알시: 소피아 이사벨라 / 키무라 스즈카
- 코그: 브라이언 로번스 / 신 유우키
- 크로미아: 조지나 리드 / 카츠야마 마사미
- 문레이서: 엘리 메인
- 하운드: J.W 스태퍼드 / 타케다 타이이치
- 아이언하이드: 카이저 존슨 / 와타누키 류노스케
- 클리프점퍼: 마일즈 루나
- 스카이링스: 신 라이트 / 타하라 아루노
- 제트파이어: 키스 실버스틴 / 노무라 켄지[2]
- 그 외
4. 회차 목록
4.1. 시즌 1 : 시즈
4.2. 시즌 2 : 어스라이즈
5. 평가
프라임 워즈 트릴로지보단 평이 좋지만 전체적으로 국내나 해외나 호불호가 심한 것으로 보인다.
5.1. 호평
간만에 트랜스포머 프라임 이후로 어둡고 진지한 분위기의 작품이 나왔다는 평이 나오고있다.[8] 완구 매출을 위해 어쩔수없이 트랜스포머: 로보츠 인 디스가이즈부터 밝은 분위기의 작품을 고수하기 시작해서 그리워하던 올드팬들에게 볼거리가 생겼다는 얘기가 나왔다.
또한 기존의 틀을 부수기위해 본래 오토봇 소속이었던 범블비가 이번 작품에선 전쟁에 관심이 없고, 오토봇에 들어가는걸 꺼리는 제 3세력의 에너존 수색꾼이라는 설정이 참신하다는 평가를 받고있으며, 새로운 캐릭터를 내세우기위해 디셉티콘 바리케이드와 스피니스터, 스카이트레드가 이번 작품에 첫등장을 했다. 또한 트랜스포머 더 헤드마스터즈 이후로 사운드웨이브의 강화형으로 등장하던 사운드블래스터를 아예 다른 캐릭터로 분리시켰다.
특히 제트파이어와 임팩터의 캐릭터성과 활약상이 높은 평가를 받고있다.[스포일러]
5.2. 혹평
주로 스토리 개연성이나 설정에 대한 불친절함, 밋밋한 액션등이 까인다. 제작진이 6화라는 짧은 분량에 너무 많은 내용들을 무리하게 집어넣었다는게 중론.[9]
캐릭터는 많은데 막상 비중은 하나같이 적다. 오토봇도 대부분 비중은 공기이며 특히 호평에 쓰어져있는 바리케이드, 스피니스터 등등 새 캐릭터들이 나온건 좋지만 정작 작품 내 비중이 너무 적다는 평가가 많다. 그저 오토봇, 디셉티콘 맴버 A 밖에 안 되는 수준.
영어 더빙이 별로라는 평이 많다. 특히 쇼크웨이브는 지나치게 간사하고, 사운드웨이브는 특유의 중저음과 기계음을 못살려서 평이 최악이다. 오죽했으면 쇼크웨이브는 매드사이언티스트니까 그렇다쳐도 사운드웨이브는 도저히 변호가 안된다고 얘기가 나올정도의 '''역대 최악의 사운드웨이브 더빙'''이라는 평가를 받고있다[10] . 옵티머스 프라임 역시 만만치 않은 혹평을 받는데, 특히 샤우팅 연기는 최악으로 평가 받으며 옵티머스 프라이멀의 성우인 게리 초크 역시 혹평했다.#
반면 일본어 더빙판은 겐다 텟쇼, 이노우에 카즈히코, 오오츠카 호츄. 이노우에 키쿠코 등등의 중견 성우들과 이전에 트랜스포머 관련 작품에 출연한 경력도 있다보니 전체적으로 무난하다는 평이다.
6. 그 외
- 모바일 게임 트랜스포머: 어스워즈에서는 워 포 사이버트론 방영 기념으로, 장착시 워 포 사이버트론 캐릭터와 같은 렌더링이 적용되는 WFC 스킨 코어를 내주기도 했다.
7. 완구
기존의 워 포 사이버트론완구들을 재도색하거나 리툴한 라인업 미국에서는 월마트 한정판이어 메인 캐릭터를 한정판으로 낸다는 비판이 있지만, 일본은 의외로 타카라 토미몰 한정이 아닌 일반판이다. 임팩터에게 디셉티콘 문양이 아닌 오토봇문양이 있는 등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고증에 안맞는 게 조금 있다.
7.1. 디럭스
7.1.1. 웨이브 1
[image]
- 오토봇 크로미아
시즈 크로미아의 넷플릭스 색놀이, 웨더링 도색이 더 많아졌다.
[image]- 오토봇 하운드
몇몇 도색이 빠진 대신 웨더링 도색이 더 많아졌다.
[image]- 디셉티콘 미라지
작중에서 나온 디셉티콘으로 위장한 미라지
[image]- 디셉티콘 스크랩페이스
시즈 리플렉터의 색놀이
[image]- 오토봇 사이드스와이프
웨더링 도색이 된 시즈 사이드스와이프
7.1.2. 웨이브 2
[image]
- 오토봇 엘리타-원
어스라이즈 알시의 리툴
[image]- 오토봇 휠잭
어스라이즈 휠잭에서 몇몇 도색이 빠지고 웨더링 도색이 추가되었다.
[image]- 오토봇 레드얼럿
웨더링 도색 추가
[image]- 오토봇 임팩터
웨더링 도색 추가, 애니메이션과 다르게 오토봇문양이 달려있다.
[image]- 오토봇 범블비
어스라이즈 클리프점퍼의 리툴, 특이하게도 현실의 자동차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가상의 자동차로 변신하는 완구가 대부분인데 범블비만 실제 폭스바겐에서 라이센스를 허락받아 폭스바겐 비틀로 변신한다.
7.2. 보이저
보이저부터는 웨포나이저나 배틀마스터가 꼭 하나 이상은 들어가 있다.
7.2.1. 웨이브 1
[image]
- 디셉티콘 핫링크
-핫링크
-히트스트로크
-히트번
스타스크림의 리컬러 원작에서 나왔던 많은 시커즈들중 하나인 '핫링크'가 모티브, 웨포나이저 '히트스트로크'와 '히트번'이 들어있다.
색상이 비슷한 스카이워프의 가격이 워낙 프리미엄이 많이 붙어 이걸 사는 사람들도 많아져 이 녀석도 현재 해즈브로판은 프리미엄이 상당하다.
[image]-히트스트로크
-히트번
스타스크림의 리컬러 원작에서 나왔던 많은 시커즈들중 하나인 '핫링크'가 모티브, 웨포나이저 '히트스트로크'와 '히트번'이 들어있다.
색상이 비슷한 스카이워프의 가격이 워낙 프리미엄이 많이 붙어 이걸 사는 사람들도 많아져 이 녀석도 현재 해즈브로판은 프리미엄이 상당하다.
- 디셉티콘 메가트론
-메가트론
-캡티브 라이오나이저
-캡티브 핀포인터
시즈 메가트론의 재도색, 붙잡힌 웨포나이저 '라이오나이저'와 '핀포인터'가 드어있다.
메가트론의 색상이 상당히 중후한 메탈릭 실버로 도장되어 상당히 멌있다는 평가가 많다.
-캡티브 라이오나이저
-캡티브 핀포인터
시즈 메가트론의 재도색, 붙잡힌 웨포나이저 '라이오나이저'와 '핀포인터'가 드어있다.
메가트론의 색상이 상당히 중후한 메탈릭 실버로 도장되어 상당히 멌있다는 평가가 많다.
7.2.2. 웨이브 2
[image]
- 오토봇 옵티머스 프라임
-옵티머스프라임
-에너랙스
-쉴드론
어스라이즈 리더급 옵티머스 프라임에서 소체만 가져와 재도색하고 웨포나이저 '에너랙스'와 '쉴드론'이 동봉되어있다.
원본인 옵티머스가 상당히 잘 나온 제품이어 평가는 좋다. 바뀐 색상은 딱히 호불호가 갈리지는 않는듯 하다.
[image]-에너랙스
-쉴드론
어스라이즈 리더급 옵티머스 프라임에서 소체만 가져와 재도색하고 웨포나이저 '에너랙스'와 '쉴드론'이 동봉되어있다.
원본인 옵티머스가 상당히 잘 나온 제품이어 평가는 좋다. 바뀐 색상은 딱히 호불호가 갈리지는 않는듯 하다.
- 디셉티콘 사운드웨이브
-사운드웨이브
-래비지
-레이저비크
시즈 사운드웨이브를 리툴하여 카세트로 변신할 수 있고, 래비지와 레이저비크는 얼굴이 지구모습으로 바뀌고 도색도 카세트 테이프모양으로 바뀌었다.
인기 캐릭터인 사운드웨이브를 한정질한것에 대해선 비판이 많지만, 제품자체의 평가는 매우 좋은 편이다.[11]
참고로 이사운드웨이브는 '어스라이즈'버전으로 불리기도 한다.
위 이미지와 달리 실제 제품은 원작처럼 붉은색 눈을 하고 있다.
-래비지
-레이저비크
시즈 사운드웨이브를 리툴하여 카세트로 변신할 수 있고, 래비지와 레이저비크는 얼굴이 지구모습으로 바뀌고 도색도 카세트 테이프모양으로 바뀌었다.
인기 캐릭터인 사운드웨이브를 한정질한것에 대해선 비판이 많지만, 제품자체의 평가는 매우 좋은 편이다.[11]
참고로 이사운드웨이브는 '어스라이즈'버전으로 불리기도 한다.
위 이미지와 달리 실제 제품은 원작처럼 붉은색 눈을 하고 있다.
7.3. 리더
7.3.1. 웨이브 1
[image]
- 울트라 매그너스 스포일러 팩
-울트라 매그너스
-배틀필드 렁
울트라 매그너스의 작중행정이 사이버트론으로 적혀있고, 클레이로 덮인 에너전 조각같은 것, 렁과 울트라 매그너스가 들어있다.
도색이 유독 칙칙한데, 이는 본편에서 죽은 매그너스를 재현한 모습이기 때문…
스포일러와는 별개로 별 쓸모없는 클레이와 시즈 작중에서는 등장도 하지않은 렁이 들어있고 도색이 너무칙칙한 탓인지 이 제품만 덤핑된적이 있다(...)
-배틀필드 렁
울트라 매그너스의 작중행정이 사이버트론으로 적혀있고, 클레이로 덮인 에너전 조각같은 것, 렁과 울트라 매그너스가 들어있다.
도색이 유독 칙칙한데, 이는 본편에서 죽은 매그너스를 재현한 모습이기 때문…
스포일러와는 별개로 별 쓸모없는 클레이와 시즈 작중에서는 등장도 하지않은 렁이 들어있고 도색이 너무칙칙한 탓인지 이 제품만 덤핑된적이 있다(...)
7.3.2. 웨이브 2
[image]
- 네메시스 프라임 스포일러 팩
-네메시스 프라임
-팽트론
-기자
시즈 옵티머스를 재도색하고 어스라이즈 옵티머스의 트레일러를 재도색, 전작 프라임 워즈 트릴로지중 파워 오브 더 프라임의 네메시스프라임의 새로 변신하는 칼'기자'와 무장들 웨포나이저 슬리터팽의 색놀이 '팽트론'이 들어있다.
어스라이즈 애니메이션 예고편에 등장한다.
제품자체는 역시 준수한 조형인 시즈 옵티머스의 색놀이답게 좋은편이나 문제는 작중에서 고작 2초정도밖에 나오지않았다는 점...[12]
-팽트론
-기자
시즈 옵티머스를 재도색하고 어스라이즈 옵티머스의 트레일러를 재도색, 전작 프라임 워즈 트릴로지중 파워 오브 더 프라임의 네메시스프라임의 새로 변신하는 칼'기자'와 무장들 웨포나이저 슬리터팽의 색놀이 '팽트론'이 들어있다.
어스라이즈 애니메이션 예고편에 등장한다.
제품자체는 역시 준수한 조형인 시즈 옵티머스의 색놀이답게 좋은편이나 문제는 작중에서 고작 2초정도밖에 나오지않았다는 점...[12]
8. 외부 링크
ウォーフォーサイバトロン|タカラトミー
Transformers: War for Cybertron Trilogy (cartoon)
[1] 비스트 워즈 세컨드 에서 라이오 콘보이를 맡았고 22년만에 트랜스포머 시리즈에 참여했다.[2] 과거 디셉티콘 소속이었으나, 현재는 탈퇴하여 오토봇 소속으로 들어왔다.[3] 트랜스포머 초신 마스터포스에서 레인저를, 트랜스포머 빅토리에서 가이호크를 맡았다.[4] 미일 성우 모두 드래그 온 드라군 3의 옥타를 맡았다.[5] 영화 범블비에서 쇼크웨이브를 맡았다.[6] 트랜스포머-스크램블 시티 발동편, 트랜스포머 애니메이티드에서 울트라 매그너스, 울트라 매그너스를, 트랜스포머 더 헤드마스터즈에서 메가자락을 맡았다.[7] 시즌 2 어스라이즈 6화 마지막에 등장한다.[8] 임팩터가 '기득권이 벽뒤에서 에너존이나 마실 때 벽에 금칠이나 하고 있었다'라는 말로 디셉티콘들이 단순하게 메가트론에 복종한게 아니라, 부조리한 사회에 의한 반동이라는 묘사도 나온다. 또한 사이버트론 행성은 장기간 내전으로 기간 시설이 황폐화 되었으며, 오토봇은 사실상 소규모 레지스탕스수준으로 전락했고, 창에 꿰여 죽어있는 오토봇 시체, 스파크리스라는 좀비 사이버트론인 등등이 나온다.[스포일러] 본래 임팩터는 디셉티콘 소속이지만 라쳇의 도움으로 구사일생, 그 이후로 디셉티콘이지만 사이버트론인들을 지키기위해 라쳇을 돕는다. 마지막화에서는 라쳇이 스페이스 브릿지를 가동시키려다가 죽을 위기에 처하자 자신을 희생해서 오토봇들이 무사히 사이버트론을 벗어날수있도록 큰 활약을 펼친다.[9] 옵티머스 프라임, 울트라 매그너스, 메가트론이 같은 동료였다는 말이 나오지만 어떠한 방식으로 갈라졌는지는 나오지 않는다.[10] 설정상 사운드웨이브의 복제품인 사운드블래스트보다 못한다는 평을 받았을정도다. 참고로 둘다 다른 성우로 되어있다.[11] 다만, 워 포 사이버트론 킹덤의 프로모 아트에서 사운드웨이브가 있는 것을 보면 재포장해 일반판매할 가능성이 있을지도?[12] 하다못해 최후의 기사의 네메시스도 얘보다는 분량이 훨씬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