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정류장
1. 소개
東部停留場
홈페이지
대구광역시 동구 효신로 11(신천동 481-1) 효신네거리에 있었던 시외버스 터미널. 1975년에 개장해 2016년 12월 12일에 폐장했다. 정식 명칭은 동부시외버스터미널이지만, 흔히 동부정류장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코리아와이드 경북에서 운영했지만, 현실은 경주와 포항에 연고를 두고 있는 금아, 아성, 천마의 사실상 전용 버스 터미널이자 두 회사들의 성지와 같은 곳이다.[1] 실제로 동부정류장에서 출발하는 노선의 96%가 금아, 아성, 천마가 독점하거나 공배하고 있는 노선이며 신설된 거제행, 해운대행, 서산행, 운행 업체가 변경된 울산행 단 4개의 노선만이 두 회사가 아닌 경원여객(경상남도 시외버스 업체)[2] , 해운대고속, 충남고속, 금남고속, 한양고속에서 운행하는 노선이다. 경원여객 단독 운행 중이다가 2015년 들어 코리아와이드 경북가 참여를 시작한 대구동부 ~ 거제(고현) 노선(계열사 코리아와이드 진안에서 운행)[3] 과 2015년 7월 15일에 개통된 해운대 ~ 동대구/용계역 ~ 북대구 , 최근 개통된 서산 ~ 당진/기지시리 ~ 동대구 세 개의 노선만이 코리아와이드 경북 및 계열사인 코리아와이드 진안에서 운행한다. 그리고 대구광역시 시내의 4개 시외버스 터미널 중 유일하게 구의 방위(동구)와 터미널의 방위(동부정류장)가 일치하는 시외버스 터미널이었다.(...)[4]
주로 강원도 영동(동해안) 지방, 경상북도 동부 지역으로 가는 시외버스가 있는 대구광역시의 주요 관문 가운데 하나다.[5] 다만 2016년 3월 17일 부로 충남 당진, 서산 등 서해안 지역 노선이 신설되었다.[6]
지하철 동대구역과 대구고속버스터미널이 있는 동부로를 달리다가 효목로를 따라 내려오면 있는 효신네거리에 자리잡고 있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과는 조금 떨어져 있어서 시내버스로 환승해야 했으며, 동부정류장으로 들어오기 전에 신천4동 경북아파트 정류장에서 중간 하차해 주었다.
좀 낙후된 데다가 가장 안습인 남부정류장 다음으로 승객 수가 적어서 안습이었지만, 2016년 12월 12일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의 완공에 따라 수성구 만촌2동 만촌네거리에 있는 남부정류장과 함께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에 통합됐다.
아성고속의 본사가 버스 출입구 왼쪽에 자리잡고 있다.[7]
터미널의 폐쇄 후에는 아성, 천마 소속 일부 차량들의 차고지로 이용 중이며, 차량 출입구 옆에 있는 현대오일뱅크 주유소에서 연료를 채우기도 한다.
동부정류장 구내는 과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종점 및 경유지 중 하나였으나 1998년 개편을 포함해 여러 번의 개편으로 구간이 연장된 결과 종점이 시지나 경산으로 이전되어 그냥 시외버스 터미널 기능만 남았고, 2006년 시내버스 개편 이후에는 터미널 구내로 들어오는 노선도 순환2번만 들어오게 되어 대폭 축소되었다. 순환2번처럼 신천동경북아파트에서 동부정류장을 거쳐 동대구LPG충전소로 다니는 524번은 동부정류장 구내로 안 들어오고 곧바로 효신네거리에서 우회전하며, 동대구터미널 통합 이후에는 자연히 순환2번도 효신네거리로 들어간다.
시내버스/시외버스 차량 진출입로는 굉장히 지대가 높은 편이다. 그런데 순환2번에 운행 중인 저상버스는 잘 다녔다.
인터넷 예매는 버스연합회 홈페이지에서 가능하지만 거제, 해운대행만 예매가 가능했다. 나머지는 예매가 안 되고 운행 정보만 조회할 수 있다. 그리고 터미널 구내에 티켓자판기가 없었다. 통합 동대구터미널에는 시외버스용 티켓자판기를 엄청나게 깔아 놨다.
인근 효신네거리에 대순진리회 회관이 있어서 가끔 전도꾼들이 출몰한다.
2. 폐장 전 당시 운행 버스 노선
2.1. 시외버스
- 강원권 : 삼척, 동해, 강릉, 주문진, 양양, 낙산, 속초[8] , 간성, 거진, 대진(심야) 방면
- 영남권 : 포항,[9] 경주, 영천, 청송[10] , 주왕산[11] , 울진, 영덕, 울산, 방어진, 거제[12] , 해운대[13] ,
- 충청권 : 당진(기지시리 경유), 서산[14]
2.2. 과거에 운행하던 노선
황간: 황간터미널 뒷편에 가보면 흔적이 남아있다. 참고로 현재 황간터미널을 폐쇄 상태라 서울경부행을 제외하고 전부 현금승차 강제다. 서울경부행은 모바일 고속버스 티머니 앱과 현금으로 승차할 수 있다. 다만 앱을 절대적으로 추천한다. 이유는 1,2번석 밖에 배정이 안되기 때문이다.
탑리: 2010년대 초까지 다녔으며, 하양에서 금호, 영천, 화산을 경유하는 형태와 와촌, 청통을 경유하는 형태로 나눠졌으며, 안동 혹은 청송(약수탕, 주왕산)까지 다녔다. 현재는 폐선되어 탑리에서 대구를 가려면 탑리역에서 무궁화호또는 탑리에서 대구북부행 버스를 타야 한다.
3. 중간정류소
3.1. 경북아파트 정류소
신천4동 경북아파트 앞에 있었던 중간 하차장으로, 경북아파트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중간 하차했다. 동대구역, 옛 대구고속버스터미널과 시내버스 한 정거장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으며, 경북수협네거리에서 동부정류장 방면으로 좌회전해서 내려 준다. 다만 기사에 따라선 무정차 통과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미리 말해 두는 것을 추천한다. 말해 두면 100% 내려 준다. 언덕을 따라 걸어서 내려가면 대구고속버스터미널과 동대구역으로 갈 수 있다. 이 정류소는 중간 하차만 가능했으며, 길 건너편에 통합 동대구터미널이 개장하면서 자연히 용도폐기됐다.
영천 55/555번이 이 정류장에서 잠시 대기하다가 출발했으나, 동대구터미널 개장 후에는 옛 대구중앙 터미널 근처에서 대기 후 출발하는 모습이 보이고 있다.
3.2. 용계역 정류소
용계동 강변동서마을아파트 근처에 있는 간이 매표소로, 2001년 7월에 신설됐다. 그림에서 보면 알겠지만 중간 하차용 정류소 옆의 파출소 쪽 골목으로 가면 바로 용계역이며, 시외버스와 고속버스가 여기서 중간 하차한다. 시외버스 용계동 매표소는 동대구IC 진입 직전의 삼거리 옆에 있으며, 2015년 6월 15일부터 부산행 한정으로 이 매표소에서 고속버스의 중간 승차도 받는다. 울산/경주행 시외버스 노선이 따로 있어서, 울산/경주방면 고속버스 노선은 용계역에서 중간 하차만 가능하다. 승객이 별로 없는 경우 기사님이 하차하는지 물어보고, 하차하는 승객이 없는 경우 동대구IC를 찍은 후 바로 고가도로로 진입한다. 매표소는 아침 6시 30분부터 밤 9시까지 영업하니, 이 시간 이후의 출발편은 미리 승차권을 사 놓거나 고속버스모바일 앱을 이용해야 한다. 카드도 받아 준다.
시외버스는 대부분 노선이 중간 승차도 실시하나, 좌석제인 거제(고현)행은 중간 승차를 하지 않고 중간 하차만 한다. 해운대행도 중간 승차가 안 된다고 하였으나, 용계역에서 중간 승차를 받는 모습을 목격했다.
[image]
[image]
4. 연계 시내버스 노선
동대구역과 가깝다는 이점 때문인지 몰라도, 동부정류장으로는 시내버스가 많이 다니지 않았다. 북부정류장을 경유하는 18개 노선들[15] , 서부정류장을 경유하는 14개 노선들[16] ,남부정류장을 경유하는 19개 노선들[17] 에 비하면 동부정류장을 경유하는 노선이 12개로 다른 시외터미널들의 노선 갯수보다 제일 적다.
순환2번이 유일하게 동부정류장 바깥이 아닌 입구 정류장에도 정차했으나, 통합 동대구터미널 개장 후에는 순환2번도 자연히 효신네거리에서 우회전한다.[18] 156번도 동부정류장으로 다녔지만, 옛 고속터미널(현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에서 대구지법 등기국 및 효목2동 태왕메트로시티 아파트로 직선화되어 동부정류장으로 운행하지 않는다.
폐쇄 후 정류장명은 정문 측이 팔공정보문화센터로, 동부정류장(남편)이 효신초등학교로 변경됐다.
예전부터 동부정류장 앞/건너편 시내버스 정류장(팔공정보문화센터)은 시내버스 기사들의 대표적인 승무교대 장소다. 현재 425번과 937번이 옛 동부정류장에서 기사 교대를 한다.
5. 운영 중단 및 통합
2016년 12월 12일 부로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의 개장에 따라 남부정류장, 동부정류장, 고속버스터미널이 동대구터미널로 통합되어 운영된다. 이에 따라 기존에 운영되던 노선들은 일괄적으로 동대구터미널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6. 연계 지하철역
가장 가까운 역이 동대구역이나 1.2km 정도 떨어져 있는 데다가, 언덕길을 지나가야 한다.[19] 대신 동부정류장 진입 직전에 중간 하차하는 신천동경북아파트 정류장에서는 동대구역이 상대적으로 가깝다.
[1] 물론 포항시외버스터미널도 동부정류장 못지않게 금아, 아성, 천마 소속 버스들이 대부분인 곳이지만 거기는 KD나 코리아와이드 경북 등 다른 회사 소속인 버스들도 비교적 많은 편이다.[2] 정확히는 노선 인가 당시에는 해당 노선을 경원여객이랑 코리아와이드 경북에서 공동으로 운행하기로 했다. 그런데 어찌 된 건지 2014년 말 ~ 2015년 초까지 경원여객만 해당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가 2015년 들어서야 코리아와이드 경북가 운행을 시작했는데.. 2015년 11월에 구미발 거제행 노선이 동부정류장을 경유하면서 코리아와이드 경북 운행분을 계열사인 코리아와이드 진안에 넘겼다.[3] 8월부터 10월까지 코리아와이드 경북에서 운행하다가 11월에 계열사인 코리아와이드 진안으로 양도했다.[4] 서부정류장은 서구에 있는게 아니라 남구 대명11동 성당네거리에 있고, 정작 북부정류장은 서구 비산7동에 {그래도 북구에서 멀지 않다.},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은 북구 노원동3가 만평네거리에 있다. 추가적으로 남구에 없는 남부정류장은 수성구 만촌2동 만촌네거리에 있었다. 뭐 이리 꼬였는지 원...[5] 동해안 지역을 주로 경유하기 때문에 여름 휴가철이면 이용객이 좀 많아진다. 다만 강릉 이북 강원도 영동 지방은 대부분 7번 국도 경유 완행이므로 북부정류장에서 타는 게 월등히 빠르다.[6] 보통 충청권 노선은 북부정류장이 운행한다. 실제로 북대구-서산-홍성 노선이 운행되다가 폐지된 과거가 있다.[7] 덕분에 아성고속 수도권선이나 북행조 우등형 차량들은 포항이나 경주에서 대구로 회송할 때가 많은데, 동대구 ↔ 경주(시외), 동대구 ↔ 포항(시외)에서 우등형 차량들이 종종 보이는 것도 이 때문.[8] 하지만 동부정류장에서 이들 세 지역으로 향하는 노선은 위에서 서술했듯이 7번 국도를 경유하는 완통 노선이므로, 직통 노선이 있는 북부정류장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배차는 북부정류장보다 이쪽이 더 많지만 심야 타자고 이거 타다가는 피를 많이 볼 가능성이 많을 뿐더러, 북부정류장에서는 4시간 만에 강릉으로 가 주는 심야버스가 있다. 덤으로 심야차는 강릉 경유로 양양과 속초도 간다. 시외우등 요금이 생겼어도 여전히 북부 쪽 요금이 싸다.[9] 북부정류장과 서부정류장에도 포항행 노선이 있지만, 동부의 배차간격이 겨우 10분 간격으로 정말 환상적이다.(...) 반면 북부정류장은 배차가 겨우 1일 8회뿐이고, 서부정류장은 동대구만큼은 아니지만 25~30분 배차 간격으로 제법 많은 편이다. 하지만 위치가 위치인지라 동대구 쪽이 훨씬 싸고 소요시간도 짧을 뿐더러 무엇보다 배차가 압도적으로 많다. 게다가 동대구터미널 통합 후에는 흥해읍으로 이전한 포항역의 이용이 불편해진 남구 주민들에게 예전에 다녔던 동대구역 KTX 리무진버스의 대체 노선 역할을 겸한다.[10] 영천 경유. 진보면으로 가려면 북부정류장에 가자.[11] 1일 2회 운행[12] 2011년 9월 개통, 원래 고속버스 면허였으나 구미 - 고현 노선과 통합되면서 시외면허로 전환되었다.[13] 2015년 7월 15일 개통. 1일 4회였으나 같은 해 12월 5일 부로 1일 8회로 증회했다. 코리아와이드 경북과 해운대고속의 공동 배차 노선이다.[14] 2016년 3월 17일 신설, 1일 7회 운행한다. 서산 노선은 예전에 북부정류장에서 홍성 노선과 함께 운행한 적이 있었는데, 수요 감소로 폐선된 후 동부정류장에서 다시 노선이 부활했다.[15] 대구노선:서구1(-1)번,234번,309번,323(-1)번,356번,724번,726번,730번,순환3(-1),성서3번 팔달시장방면 / 성주.칠곡농어촌:0번,250번,250-1번,300번[16] 대구노선:급행6번,달성2번,남구1(-1)번,600번,609번,623번,649번,650번,706번,726번,750번,836번 / 고령농어촌:606번[17] 대구노선:수성2번,234번,309번,349번,425번,509번(영남대방면과 소라APT방면),609번,649번,724번,840번,849(-1)번,909번,937번,939번 / 경산노선:100(-1)번,399번,990번,991번 / 청도군 농어촌:0번[18] 옛날에는 동부정류장에서 동대구LPG충전소 방향으로 들어가는 시내버스에 한하여 구내에 많이 들어갔으나, 2006년 개편 후 2016년 12월에 폐쇄될 때까지 이 정류장은 순환2번 전용 정류장이 되었다. (신)524번은 구내로 진입하지 않았다.[19] 걸어가는 거리를 줄이고 싶다면 건너편 정류장에서 버스로 환승해서 가면 좀 더 편하게 갈 수 있다. 동부정류장으로 가는 버스는 꽤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