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고속

 


'''동부고속'''
'''Dongbu Buslines'''

[image]
'''정식 명칭'''
주식회사 동부고속
'''한문 명칭'''
東部高速
'''영문 명칭'''
Dongbu Buslines
'''국가'''
[image] 대한민국
'''설립일'''
1971년 11월 26일[1]
2017년 8월 1일[2]
'''업종명'''
시외버스 운송업
'''대표자'''
강병도
'''기업 분류'''
중견기업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266명(2017년 4분기 기준)
'''자본금'''
28억 8875만원(2018년 3분기 기준)
'''매출액'''
227억 8391만 2382원(2017년 기준)
'''영업이익'''
13억 663만 5916원(2017년 기준)
'''순이익'''
9억 1215만 496원(2017년 기준)
'''자산총액'''
820억 8806만 2302원(2017년 4분기 기준)
'''슬로건'''
-
'''소재지'''
'''본사 및 고속 사업부''' -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94 (반포동)
'''정비공장''' - 경기도 용인시 보개원삼로 1586(원삼면 죽능리 195-3)
'''관련 웹사이트'''
'''동부고속 공식 홈페이지'''
'''콜센터 및 관련 전화번호'''
동부고속 대표전화:'''1688-3287'''
[image]
동부그룹 소속 시절 로고.
[image]
동원그룹 소속 시절 로고.
[image]
현재 사용 중인 로고.[3] 그 외 현재는 사슴[4] 관련 게시물과 원으로 된 로고를 사용하기도 한다.
홈페이지
1. 개요
2. 역사
3. 노선망
4. 차량
5. 여담
6. 면허 체계
7. 보유차량


1. 개요


[image]
[image]
강원도, 경기도 동부지역[5] 연고의 와이어드파트너스 계열 고속버스 회사. 옛 동부그룹 계열사. [6] 사명은 초창기에는 '동부고속운수'로 시작해서 운수를 빼 버린 '동부고속'이었으나, 2000년 동부건설이 동부고속을 합병한 후에는 차량에 '동부익스프레스'라고 표기했었다.
동부고속 시절의 상징인 사슴에서 따온 '''노루네''', '''노루고속''' 또는 이삿짐 회사에서 "익스프레스"를 많이 사용한다는 데서 착안한 '''동부이삿짐'''으로도 불린다. 2001년 합작법인 동부부산컨테이너터미널을 세워 물류사업 진출 후 2007년에 중앙일보 계열사인 훼미리넷의 택배사업부문을 인수했는데, 2011년에 물류부문이 동부익스프레스로 분사됐다가 2012년 그 회사 택배부문이 빠져나가 동부택배가 출범됐고, 2014년 12월 KG그룹(舊 경기화학) 산하의 옐로우캡택배에 인수합병되어 KG로지스가 됐다.[7]
시외버스 면허는 경기도 용인시 차적을 이용하며, 고속버스 면허는 강원도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 차적을 이용한다. 정비공장은 용인공용버스터미널에 있었다가 원삼면 죽능리 195-3로 이전했다. 최근에는 시외노선과의 경쟁에서 밀리는 노선을 전환시외로 바꾸고 있으나, 실적이 그다지 좋지 않은 듯하다. 2018년 들어 시외 면허인 용인시 차적과 원주시 일부 고속버스 차적을 제외하고 강릉시 차적으로 일원화를 하고 있다.

2. 역사


1971년 동부그룹(현 DB그룹)의 계열사로 설립되어, 1972년서울 ↔ 용인 노선을 개통하면서 첫 운행을 시작하였다.[8] 이후 영동고속도로 중심으로 운행 노선을 확대해 왔다.
동부그룹의 자금 사정 악화로 꾸준히 매각설이 돌던 끝에, 2014년 5월 사모 펀드인 KTB PE에 인수되었다. 인수 가격은 3,100억 원. 당초 가격은 4,500억원 선으로 예상되었으나, 동부그룹 측의 경영권을 유지시켜 주고 동부건설에 주식을 되살 수 있는 권리(콜옵션)을 부여하면서 가격이 대폭 내려갔다는 후문.
그런데 동부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위와 같은 조건들이 모두 실효되고, 제 3자에게 매각할 수 있다는 단서 조항이 있었다고 한다. 2014년 12월 31일 동부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2015년 4월 24일 매각이 시작되었으며, 인수 대상자로는 현대글로비스, CJ대한통운, 한국타이어, 한진그룹, 롯데그룹, 신세계그룹[9], 현대백화점 등이 거론되었으나, 입찰 결과 현대백화점만 응찰하여 10월 29일부터 매각 협상을 진행하였으나 협상은 결렬되면서 인수가 불발되었다. 당시 입찰 금액은 4,700억원으로 알려졌다.
2016년 9월 21일 동원그룹이 KTB PE-큐캐피탈 등 사모펀드와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2016년 12월 16일에 4,250억 원(+50억원의 배당금)에 동부고속 인수를 완료했다. 그러나 동원그룹은 항만, 운송, 창고 등 물류사업 이외의 부문을 모두 매각하기로 하고, 2017년 2월 16일 고속버스 부문을 포함한 여객 사업부를 매각하겠다고 발표했다. 2017년 6월 29일 코리아와이드 - 키움 컨소시엄이 동부고속의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10월 31일에 매각이 완료되었다. 인수전에서 밀린 한일고속은 대신 국내기술로 건조된 실버클라우드 도입을 앞당기게 된다.[10]
2017년 8월부로 동부익스프레스에서 분사되면서 회사명이 '''주식회사 동부고속'''으로 환원되었다. 현재는 차량에도 '동부고속' 이라고 붙이고 다닌다. 100% 코리아와이드 지분 소유가 아닌 키움증권과의 컨소시엄 형태이기 때문에 사명을 동부고속 그대로 유지한다고 하며 차량 도색도 그대로 간다고 한다고 한다.
2018년 1월부터 모든 버스에 사명폰트 변경작업이 진행중이다. 기존 영어사명인 Dongbu Express는 삭제하고 전면에 한글로 동부고속 사명을 부착, 버스 전측면 사슴마크 옆에 동부고속이라고 작게 표기가 되었고, 버스 후측면에는 금호고속과 동일하게 Dongbu Buslines으로 영어 사명이 변경되었다.
이후 동부익스프레스 법인 자체는 2019년 10월에 동원로엑스로 사명이 변경되어, 동원로엑스는 동부고속과 1971년부터 2017년 7월까지 함께 한 역사를 빼고 관련이 없게 되었다.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회사사정이 어려워지자 키움증권에서 영국법인 회사인 EY 한영을 매각 파트너로 선정하고 회사자체를 매각할 예정이라고 한다.#
결국 2021년 1월 21일 동부고속은 사모펀드회사인 와이어드파트너스에 의해 1400억원에 인수되어 더 이상 코리아와이드의 계열사가 아닌 와이어드파트너스의 계열사로 편입하게 된다.#

3. 노선망


일명 '1군 고속버스 회사' 치고는 노선망이 적어서, 한 목록에 다 뽑을 수 있을 정도다. 버스 갤러리에서 돌았던 예전 동부고속 광고[11]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회사 이름처럼 서울 동쪽인 강원도 노선이 가장 많고, 그 외 지역은 부실한 편이다. 부산에는 2007년부터, 창원에는 2013년부터 운행 중이다. 2015년 5월부터는 중앙고속에서 운행 중인 용인 ↔ 진주 노선의 공동 배차에 참가하여 진주에도 입성했던 적이 있다. 2013년에 후술할 창원마산행도 신설해 노선 확장을 꾀하기도 하였다.
2010년에 광명, 춘천, 대구에서 완전히 철수했고, 2018년에는 용인 ↔ 부산/서부산/광주/진주 노선까지 매각하였다. 이로써 영남권과 호남권, 대전, 충남에서는 아예 볼 수가 없게 되었고, 충북 지역도 원주 아랫동네로 가는 서울 ↔ 제천 노선에서만 볼 수 있다. 공동 배차는 주로 중앙고속과 많이 한다. 그 외에는 동양고속수원 ↔ 삼척 노선을, 한일고속대원고속인천 ↔ 속초 노선, 금호고속, 삼화고속, 금호속리산고속, 천일고속과는 서울 ↔ 세종공동 배차하는 정도.
'''볼드'''는 단독운행이고, 밑줄은 시외직행 노선이다. ★는 프리미엄 고속버스 투입 노선이다.
  • 서울경부발 : 용인[12], 여주[13], 이천[14], 제천, 원주(일부 문막 경유)★, 동해-삼척[15], 강릉[16], 양양-속초[17], 세종[18][19]
  • 동서울발 : 동해-삼척, 강릉, 양양-속초[20]
  • 인천발 : 양양-속초
  • 강릉발 : 고양
  • 삼척발 : 수원
2008년경 춘천 ↔ 대구, 원주 ↔ 강릉 등 지방 노선 일부를 KD 운송그룹에 양도하려고 한 적이 있었지만 채산성 문제(시외버스와 경합 중), 같이 공배하는 타 고속버스 업체들의 반대, 무엇보다도 동부고속 기사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하지만 2010년 7월 춘천 ↔ 광주, 춘천 ↔ 대구, 원주 ↔ 강릉, 속초/강릉 ↔ 광명역/철산, 대전 ↔ 강릉 등 총 5개 노선을 대원고속에 매각했다.
동해상사고속의 쿠폰제에 영감을 받았는지, 2010년부터 서울 ↔ 제천 노선을 '''제천고속버스터미널에서 현장 발권하는 데 한해''' 요금의 7%를 포인트로 적립해 주고 있다.(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발권시는 제외) 정상운임 기준으로 10회 정도면 일반고속이, 15회 정도면 우등고속이 공짜. 서울 ↔ 제천 노선은 서울경부 기점 고속면허에 경기고속, 대원고속, 코리아와이드 대성, 영암고속이 배차하는 동서울발 시외먼허도 모자라 중앙선 복선 전철화로 대폭 증속된 무궁화호ITX-새마을까지 가세해서 (동)서울-강릉 뺨치게 경쟁하고 있는 노선.[21]
2014년 7월 1일에는 원주 ↔ 광주, 대전 ↔ 광주 노선을 금호고속에 양도했고, 대신 용인 ↔ 부산/서부산 공동 배차분을 금호속리산고속으로부터 양도받았다.
2015년 6월 29일 부로 파주(문산)/운정 - 선산 - 창원 노선이 폐지[22]와 더불어 2015년 7월 1일 부로 서울 ↔ 세종을 제외한 세종 ↔ 마산/창원, 세종 ↔ 서부산, 세종 ↔ 부산 노선에서 철수했다. 이후 경남에는 용인 ↔ 진주 노선에만 운행 중이었다가, 이마저도 2018년 12월 18일에 철수했다.
2018년 7월 20일에 수원 ↔ 삼척[23], 양양~인천공항2터미널 구간이 개통하였다. 양양~인천공항2터미널 노선은 전회 프리미엄 고속버스 투입이었으나 수요가 저조해서 2018년 12월에 우등고속으로 모두 변경됐고, 그럼에도 공기수송이 해결되지 못해 2019년 8월 26일에 폐지됐다.
2018년 12월 18일 부로 서울 ↔ 용인 노선을 제외한 용인발 운행분을 대원고속으로 이관하며 영남권, 호남권에서 완전히 철수했다. 이 때 2010~2011년식 노블 및 선샤인 몇 대가 대원고속에 넘어갔다가 차량이 매각되었다.
2018년 12월 26일을 마지막으로 동해고속버스터미널을 폐쇄했다. 이에 따라 삼척발 노선이 동해종합버스터미널에서 중간 승하차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동해종합버스터미널이 동해시 시영 터미널인지라 수수료 등 제반사항이 협의된 듯.
2019년 7월 19일 서울 ↔ 속초 노선에도 프리미엄 고속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전회 단독운행이었다가, 동년 9월 1일부터 중앙고속도 프리미엄형의 배차에 참여한다.
2019년 10월부터 이천발 부발 경유 노선이 4회 감편되었으며, 이 인가를 가지고 동년 11월 19일부터 이천발 마장택지지구 경유 노선이 신설되어, 1일 4회 경유한다.
2020년 5월 29일부터 서울 ↔ 제천, 서울 ↔ 원주 노선에 프리미엄 고속버스가 투입된다.(1일 5회 운행)
2020년 7월 1일부터 서울 ↔ 이천, 마장택지지구노선이 1일 4회에서 8회로 증회운행한다,
2020년 7월 17일부터는 동서울 ↔ 양양 ↔ 속초 노선에도 프리미엄 고속버스가 투입된다.

4. 차량


1971년 설립 당시부터 오랫동안 한 가지 도색을 사용하고 있다. 속칭 '사슴 도색'이라고 불리며 예전 도색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국방색 및 상아색 바탕에 녹색을 사용한 도색이다. 신도색을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여러 번 있었으며[24], 근래에도 한 번 신도색을 시범적으로 신형 차량에 적용시켜 보았으나 구관이 명관이라고 그 때마다 늘 기존 도색을 사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보통 상당히 오래 된 도색을 요새 나온 차까지 적용시키면 안 어울린다면서 욕을 먹지만, 동부고속은 정반대다. 신도색을 임시로 적용시키다가 무산되면 '역시 동부는 사슴 도색'이라면서 찬양한다.
굉장한 현대빠로 알려져 있으나 사실은 아시아자동차AM 시리즈의 매니아였으며, 쌍용자동차의 전신인 동아자동차 버스도 소수로 존재했었다. 하지만 1989년~1992년식 아시아 AM939 초기 모델을 끝으로 아시아자동차의 도입이 잠시 중단되었으며, 이후 자일대우상용차의 전신인 대우자동차의 버스를 몇 대 출고 해 봤다가 브레이크 계통 등 몇몇 문제로 영 좋지 않아서 현대자동차의 버스를 출고 할 뿐이다. 한 때 주력 차종은 현대 에어로 퀸 하이클래스였으며, 현재 주력 차종은 현대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이다. 예전에는 HD형이 아닌 SD형의 HYUNDAI AERO L/D(1988년부터 도입)와 Aero Express LDX(1997년식)도 운용했었다. 2010년에 AM 시리즈의 후속 모델인 기아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선샤인을 출고하며 18년만에 기아자동차를 재도입했다. 주로 삼척행이나 속초행 노선에 투입된다.[25]
은근히 짠돌이 기질이 있어서 노후 우등고속 차량에 덕트를 새로 박고 시트만 바꿔 일반고속으로 사용하는 스킬을 시전하고 있다.[26] 물론 관련 법규상 차량의 기본 내구 연한이 9년이라(최대 11년 6개월), 9년이 넘으면 무조건 폐차장으로 가야 한다. 또한 신차를 출고하는데도 약간 괴이한 모습을 보이는데, 유니버스그랜버드를 출고할 때 다른 고속버스 업체들이 전부 현대 파워텍 425마력 엔진에 6단 수동변속기 조합으로 차량을 출고한 반면, 이 업체만 특이하게 380마력 파워텍 엔진에 5단 수동변속기 조합으로 출고했다. 현재는 고마력으로 출고하며, 2015년 6월에는 그랜버드와 유니버스 440마력 유로6를 출고했다. 2013년 후반기에 파주(문산/운정) - 선산 - 창원 노선이 개통할 때 LED 전광판을 장착한 후부터 2014년 초 다른 노선에도 LED 전광판을 확대했다. 현재는 전 차량 모두 LED 행선판을 쓰고 있다.
2016년 6월 말에는 뉴 그랜버드 실크로드 유로6 일반형 2대를 출고하였다. 경강선과의 경쟁 때문에 서울이천 노선에 투입한다고 한다. 다만 프리미엄형은 실크로드를 출고한다는 소문과 달리 유니버스 프레스티지를 출고했다.
2018년 7월에는 실크로드 프리미엄형을 첫 출고했다. 양양-인천국제공항 노선에 투입하였으나, 수요 부족 때문에 2018년 12월 1일부터 2회 모두 우등고속으로 전환되자 서울 ↔ 강릉 노선으로 이동했다가 서울 ↔ 세종 프리미엄 증차분으로 이동했다.[27]
2019년 1월에는 뉴 그랜버드 실크로드 유로6 일반고속 5대를 추가로 도입했다. 꽤 반응이 좋았던 모양. 이 차량들은 이천, 여주 등 영동선 수도권 노선에서 운행중이다.
7월 초 서울 ↔ 속초 투입분으로[28] 실크로드 프리미엄형 3대를 출고했으며, 이 중 1대는 5단 변속기가 장착되었다.
2020년 1월 20일 프레스티지 프리미엄형 2대를 출고했다. 최초의 빅 마이너 체인지형이며 스마트키가 옵션으로 장착되어 있다. 특징이라면 가로형 변호판이 아닌 기존의 직사각형 대형차용 번호판을 설치했다.[29]
2020년 5월에 프레스티지/프레스티지 EX를 뽑았다. 해당 차량들은 각각 서울 ↔ 제천 노선과 서울 ↔ 원주 노선에 신규 투입된다.

5. 여담


버스 갤러리, 인프라 마이너 갤러리, 교통 마이너 갤러리에서 수많은 빠와 까를 몰고 다니는 금호고속이나 KD 운송그룹과 달리, 고정적인 빠가 매우 적다. 물론 까도 적다. 그냥 관심이 없는 거다. 지못미. 기본적으로 강원도가 연고지인 회사인데다가 금강고속이나 영암고속처럼 과속으로 유명한 회사도 아니니 저 갤러리들에선 관심이 없을 수밖에.
다만 위에 나온 것과 같이 버스 외부의 사슴올리브색 도색에 한해서는 빠가 까보다 압도적으로 많다.
과거 모기업인 미륭건설을 동부그룹으로 개명하는 데 영향을 준 회사다.
1990년대에는 강원여객이 동부고속의 직행부라 할 정도로 계열 관계에 있었다. 그러나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동부그룹이 구조조정을 단행하면서 계열 분리되었다.
동양고속처럼 최고시속 105km/h 정도에 리밋이 걸려 있으나, 기사님들이 안전을 지향하시는지 90~100km/h의 속도로 주행하시는 경우가 다반사라고 한다. 하지만 영동 동해안권 장거리 노선들(속초양양, 강릉, 동해삼척)은 105km/h까지 밟는 차들이 많다. 그래서인지 금강고속, 강원고속한테 서울양양에서 따이는 경우가 많다.
2016년 포켓몬 GO 속초마을 열풍 당시 본의아니게 크게 이익을 보게 된 회사이기도 한데,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속초행 노선을 대부분 이 업체가 운행하고 있었기 때문.[30] 너도나도 속초로 가려는 인파 때문에 속초행 시외버스표가 매진되는 일까지 생기며 임시차까지 긴급 투입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마찬가지로 동서울에서 속초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업체인 금강고속동해상사고속도 이 열풍 덕에 이익을 보게 되었다.
2016년 9월 경강선이 개통하면서 서울-이천/여주 노선 승객이 전년 대비 20%나 감소할 정도로 큰 타격을 입었다. 이천, 여주에서 경강선 + 신분당선 조합으로 판교에서 환승시 강남역까지 1시간 정도에 갈 수 있으니, 승객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둘 다 주말휴일에 헬이 되는 영동 라인상의 노선이다. 결국 2016년 12월 16일부터 두 노선 모두 1일 4회 감회하여 운행하고 있다.
또 2016년 11월 25일부터 운행할 프리미엄 고속버스가 이 회사에는 운행할 기미가 없었다. 일단 동부고속이 프리미엄 고속버스 운행 시범노선인 서울 ↔ 부산 / 서울 ↔ 광주 노선의 배차에 참여하지 않으니. 사측에 의하면 타사에서 프리미엄 고속버스를 운행하는 것을 봐서 반응이 좋으면 출고한다고 한다지만, 서울 ↔ 강릉 노선이 프리미엄 고속버스 노선에 추가 지정됨에 따라 볼 수가 있게 됐다.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레스티지를 2대 도입했다.[31]
자사에서 운영하는 터미널에서 발권하는 승차권 양식은 다른 곳과 달리 흰색 + 청록색 혼합 형태로 나오지만, 2018년부터 순차적으로 영수증형 보딩패스로 교체하였으며, 현재는 모든 터미널으로 적용되었다.[32]

6. 면허 체계


  • 강원 7020##[33], 711###[34], 7220##[35], 723###[36] (고속버스 면허)
  • 경기 784###, 5850-5851[37](시외버스 면허)
  • 1996년 면허 체계 개정 이전 : 강원 611##[38]

7. 보유차량



7.1. 현재 보유차량



7.1.1. 현대자동차



7.1.2. 기아



7.2. 과거 보유차량



7.2.1. 현대자동차



7.2.2. 기아



7.2.3. 자일대우상용차



7.2.4. 동아자동차



[1] 동부고속운수 설립일[2] (주)동부익스프레스에서 분사된 날[3] 회사 사명이 '동부익스프레스'로 바뀌기 전 쓰던 글씨체와 완전히 동일하다.[4] 현직 기사에 의하면 노루가 아니라 사슴이라 했다.[5] 용인시, 이천시, 여주시 [6] 현재 동부그룹은 DB그룹으로 바뀌었다.[7] 그러나 외형적인 성장과 달리 서비스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아 불만이 쏟아졌고, 특히 확장해 놨다는 이천터미널은 신문에 보도가 될 정도로 마비 사태를 겪었다. 결국 KG그룹은 1년 만에 1,000만 원에 KG로지스를 매각했다. 현재는 드림택배로 사명 변경.[8] 즉, 강원도를 기반으로 하는 회사인데, 최초로 운행을 시작한 노선은 강원 방면이 아니다. 다만, 개통 이후로 계속 영동고속도로를 경유하고 있는 노선이 많으므로, 아주 모순되는 상황은 아니다.[9] 서울고속터미널, 센트럴시티, 동대구터미널 보유[10] 현재 완도-제주에 운항중[11] 여름 피서 성수기 광고에 따르면, 서울에서 영월까지도 운행했다. 원주 또는 제천 경유[12] 용인시 처인구 유방동의 럭키마트에서 용인IC로 진입하기 전에 중간 승/하차한다. 자세한 건 시외버스 서울경부-용인 문서 참고.[13] 여주대에서 중간 승/하차한다. 자세한 건 시외버스 서울경부-여주문서 참조.[14] 부발읍 경유와 마장면 경유 노선이 있다. 자세한 건 시외버스 서울경부-이천 문서참고.[15] 프리미엄 고속버스가 투입된 2번째 노선이다.[16] 동부고속에서 처음으로 프리미엄 고속버스를 투입한 노선.[17] 전환시외 노선이므로 프리미엄 버스가 중고생할인이 된다.[18] 세종청사와 세종국책연구단지 경유로 나뉘는데, 프리미엄 고속버스는 세종청사 경유 노선만 운행한다.[19] 세종국책연구단지 경유 노선 한정으로 전환시외 노선이다.[20] 2020년 7월 17일부터[21] 과거에도 서로 경쟁관계였으나 1990년대 중후반 이후 중앙고속도로 개통으로 복선화되지 않았던 중앙선 철도보다는 고속/시외버스 쪽이 속도면에서 우위를 가졌다.[22] 장거리였지만, 적자로 인해 철수했다고 한다. 해당 노선은 대성고속의 창원-마산(시외)-청주(남청주 경유)-운정-금촌-문산 시외버스 노선으로 개통해 1일 5회 운행했으며, 3회는 청주착발로 문산까지 다녔고 2회가 창원착발이었다. 선산 휴게소 환승은 당연히 불가능하다. 하지만 여전히 적자로 인해 2016년 6월 27일에 1일 3회로 감회하고, 1일 2회 창원 운행 시간대를 폐지하여 문산/금촌/운정 - 남청주/청주로 단축됐다.[23] 이에 따라 동부는 수원에 처음 입성하였고, 동양은 속초~천안 노선이 폐지된 후 다시 강원도에 입성했다.[24] 시범 도색 중 2003년에 적용되었던 빨강색 바탕의 주황색, 노랑색의 동부그룹 꽃무늬 로고로 그려진 도색이 가장 오랫동안 적용되었다. 해당 시범 도색은 1993~1994년식 에어로 퀸 (1세대, 우등→일반 개조) 차량과 1996~1997년식 에어로 익스프레스 HSX 차량에 1대씩 적용되었으며 도입이 무산된 후 HSX 차량은 우등공용 도색으로 재도색, 1세대 에어로 퀸 차량은 대차 될 때까지 시범도색을 유지했다.[25] 이 중 2010~2011년식은 대원고속에 용인발 고속 노선과 함께 양도하였다.[26] 과거 한일고속, 천일고속도 년식이 좀 지난 우등차량을 일반으로 개조하여 운행했다.[27] 중앙의 실크로드 프리미엄형은 잠깐 예비차로 굴린 후, 프리미엄형을 증회한 서울 ↔ 군산 노선으로 넘어갔다가, 다시 서울 ↔ 광주로 이동했다.[28] 동부 특성상 속초뿐만 아니라 강릉, 동해/삼척도 다닌다.[29] 어거지로 단 모양이라 저 상태라면 레이더 센서에 영향을 주거나 지면과 닿아 파손될 가능성이 있는데, 일부 유럽산 덤프트럭들도 같은 문제로 아예 접고 다니거나 라디에이터 그릴에 장착하는 걸로 해결하고 있다.[30] 서울경부발 노선은 중앙고속공동 배차이긴 하지만, 중앙고속은 극히 드물게 들어온다. 중앙고속 하루 6회, 동부고속 하루 30회.[31] 이후 프리미엄 고속버스 추가 운행에 따라 그랜버드 실크로드도 추가로 도입되었다.[32] 굳이 동부고속 터미널이 아니라도 대전복합터미널, 수원버스터미널, 평택고속버스터미널, 아산고속버스터미널 등도 교체되었다.[33] 원래 춘천시 차적이었으나 현재는 번호는 변경하지 않은 상태로 강릉차고지로 변경[34] 원주시 면허[35] 구 춘천 면허를 강릉면허로 변경[36] 강릉시 면허[37] 용인시 면허[38] 예전에는 경기1바를 썼던 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