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스펙트럼
영어: '''Political spectrum'''
1. 개요
정치적 성향을 나누는 여러 가지 방법 중 하나다. 아래와 같이 분류하며, 자세한 설명은 각 문서를 참조. 흔히 프레임이라고도 한다.
2. 모형
2.1. 일반적으로 쓰이는 좌우파 모형
프랑스 혁명 시기에 국민공회에서 의장석의 시선을 기준으로 '''우측'''에 '''온건파(지롱드파)'''가 앉고, '''좌측'''에 '''급진파(자코뱅파)'''가 앉은 것이 좌우 정치적 스펙트럼의 기원이다. 지롱드파는 주로 부유한 부르주아, 개신교 등 온건 공화파 계열의 자유주의자들로 구성되어 있었고, 자코뱅파는 중산적 부르주아, 소생산자층 등 급진 공화파 계열의 사회주의자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후, 사회에 충격을 주는 혁명을 피하고 점진적 변화를 추구하는 온건한 보수를 우파, 사회에 충격을 주는 혁명을 통하여 확실한 변화를 추구하는 개혁적인 진보를 좌파라고 부르게 된다.
이후, 시민 혁명, 산업 혁명, 세계 대공황, 1,2차 세계대전, 냉전, 오일 쇼크, 중국의 개혁개방, 소련 해체 등은 세계의 정치체제를 끊임없이 흔들었고, 체제를 지키려는 보수우파와 바꾸려는 진보좌파들 간의 세력 다툼 속에서 어느 쪽이 승리하느냐에 따라 체제가 유지되기도 하고, 바뀌기기도 했다.
이런 세계적인 사건들을 거치다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세계를 이끌어가는 선진국들은 대부분 다음과 같은 체제(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주로, 이러한 체제와 기존의 체제를 되도록 유지하려는 보수주의 세력은 우파, 보다 자유로운 체제로 개선하려는 자유주의 세력은 중도주의, 평등한 사회를 이루기 위하여 체제를 적극적으로 개혁하려는 사회주의 세력은 좌파로 구분하게 된다.
정치적 스펙트럼이 양 극단에 해당하는 경우, 이를 극좌 또는 극우라고 한다. 극단은 반대쪽 스펙트럼에 대한 포용을 일체 허용하지 않는다.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무시하기 때문에, "극좌와 극우는 서로 통한다."는 말이 나온다.* 우파는 기존 체제의 점진적인 변화나 '''유지'''를 선호한다. '''보수'''적 성향이며, 이러한 사상을 보수주의라 한다.
* 중도우파는 기존 체제의 경제적 규제를 축소하는 '''경제적 자유화'''를 주로 선호한다. 보수자유주의와 자유보수주의는 '''공정한 경쟁질서유지'''와 '''사회안전망'''을 위한 규제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제규제를 축소하는 '''시장경제'''의 '''자유화'''를 선호하지만 부분적으로는 경제분야에서 '''사회적 시장경제'''를 위한 개선을 추구한다. 신자유주의로 대표되는 현대 자본주의에 친화적이다. 사회적으로는 기존 사회 질서의 유지를 위해서 약간의 사회보수주의적 성향을 가지지만 다수가 변화를 바라면 그에 따라서 움직이기도 한다.
* 중도좌파는 사회적 평등과 복지를 위해 경제적 규제는 강화하고, 사회적 규제는 축소하는 '''사회적 자유화'''를 선호한다. 사회자유주의와 자유사회주의[2]
는 '''노동자의 권리''' 향상과 '''복지제도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사회적으로는 소수자[3] 권리 보호나 환경 보호 등을 추구한다.* 좌파는 기존 체제가 불평등의 원인을 제공한다고 믿기 때문에, 기존 체제의 '''확실한 변화'''를 선호한다. 불평등의 원인이 '''계급(자본가-노동자)'''에서 온다고 보는 사회주의에서 이런 '''진보'''적인 성향을 보인다. 사회주의는 생산수단의 사회적 소유를 추구하며, 노동보호, 토지공유제, 협동조합 등의 정책을 선호하다.
흔히, 좌파나 우파 내에서는 좀 급진적이다 싶은 상대 스펙트럼에 대하여 극단 프레임을 씌우는 경우가 많다. 극우나 극좌라는 단어가 부정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부정적 프레임을 씌우기 위해서이다. 그러므로, 적어도 '''자유와 민주주의에 기반한 질서'''의 파괴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면, 극단으로 보는 것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 극좌는 사회경제적 평등을 이상으로 여기며, 이를 위하여 '''기존 질서의 파괴'''를 추구한다. 이상의 실현을 위하여, 공산주의와 무정부주의는 '''현대 자유민주주의에 기반한 자본주의 질서의 파괴'''를 추구한다.[4]
* 극우는 구(舊) 질서의 수호를 이상으로 여기며, 이를 위하여 '''신(new) 질서의 파괴'''를 추구한다. 이상의 실현을 위하여 파시즘은 집단의 정체성을 위협하는 '''다른 집단의 파괴'''를 추구하고, 근본주의는 경전의 윤리를 위협하는 '''다양성의 파괴'''를 추구한다.
2.2. 정치적 스펙트럼 판정 모형
2.3. 기타 모형
권위-민주와 국가-시장을 기준으로 삼는 정치적 스펙트럼말고도 다른 기준을 사용하는 스펙트럼이 많다. 환경의 생태주의, 종교의 세속주의, 평화의 반전주의, 지방분권의 중앙 집권화와 지방 분권화 등등. 왜냐하면 정치는 기본적으로 사회에 있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야 한다는 합의를 이루는 과정이기에 이슈마다 다른 정치적 스펙트럼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