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민국 총통/명단

 



3. 호법정부
4.1. 광저우 국민정부~우한 국민정부
4.2. 난징 국민정부
5. 중화민국 헌법 제정 이후

[image]
역대 국가원수 [1]

1. 임시정부


이 시기의 직함은 '''임시대총통'''.
대수
이름
임기시작
임기종료
재임기간
정당/군벌
비고
'''초대'''
쑨원
1912.1.1
1912.3.10
70일
중국동맹회
난징에서 취임식을 거행
'''제2대'''
위안스카이
1912.3.10
1913.10.10
1년 214일
북양군벌
본래 난징에서 취임할 예정이었으나
톈진에서의 폭동으로 행정 수도를 베이징으로 이동

2. 북양정부


당시 중화민국 국가원수의 직함은 중화민국 대총통이다.[2] 펑위샹의 정변 이후 정식으로 대총통 직함을 쓴 사람은 없다. 차오쿤(曹錕) 밑에 기록된 사람들은 모두 정식 대총통은 아니고 국가원수 대행인데 편의상 기록한 것.
대수
이름
임기시작
임기종료
재임기간
정당/군벌
비고
'''초대'''
위안스카이
1913.10.10
1916.6.6
2년 240일
북양군벌
국회 선출. 홍헌제제 실패후 병사
계임
리위안훙
1916.6.7
1917.7.17
1년 40일
북양군벌
부총통 자격으로 계임.장쉰의 복벽으로 사임
계임
펑궈장
1917.7.17
1918.10.10
1년 85일
직예군벌
리위안훙에 의해 계임.
'''제2대'''
쉬스창
1918.10.10
1922.6.2
3년 236일
북양군벌
국회선출.공자의 77세손 쿵더청의 연성공 작위 세습을 승인.직예군벌의 압박과 정통성 문제로 하야.
계임
저우쯔지(周自齊)
1922.6.2
1922.6.11
9일
교통계

복임
리위안훙
1922.6.11
1923.6.13
1년 2일
북양군벌
구국회 복구를 선언하며 복임.직례군벌의 압박으로 하야
계임
가오링웨이(高凌霨)
1923.6.14
1923.10.10
118일


'''제3대'''
차오쿤
1923.10.10
1924.11.2
1년 23일
직예군벌
국회선출. 우페이푸가 옹립. 북경정변으로 축출.
계임
황푸(黃郛)
1924.11.2
1924.11.24
22일

펑위샹의 허수아비.
'''초대 임시 집정'''
돤치루이
1924.11.24
1926.4.20
1년 147일
안휘군벌
2차 직봉전쟁으로 추대, 펑위샹의 압박으로 하야.
대행
후웨이더
1926.4.20
1926.5.13
23일

외교관,국무총리 서리 자격으로 권한대행
대행
옌후이칭
1926.5.13
1926.6.22
40일

외교관
대행
두시구이(杜錫珪)
1926.6.22
1926.10.1
101일
직예군벌
대행
구웨이쥔
1926.10.1
1927.6.18
260일
외교관
국무총리 신분으로 국가원수 대행
'''초대 중화민국 육해군 대원수'''
장쭤린
1927.6.18
1928.6.2
350일
봉천군벌
돤치루이 이후 계속되던 대행 체제 종식, 국민당의 북벌로 축출

3. 호법정부


이 시기에는 국가원수 이름이 대원수, 수석총재, 비상대총통 등에서 왔다갔다한다.
대수
이름
임기시작
임기종료
정당/군벌
비고
대원수
쑨원
1917.9.1
1918.5.20
중화혁명당
호법정부 개조로 축출
수석총재
천춘쉬안
1918.6.19
1920.11
정학회
월계전쟁으로 축출
비상대총통
쑨원
1921.4.7
1923.3.2
중국 국민당
영풍함 사건으로 축출
대원수
쑨원
1923.3.2
1925.3.12
중국 국민당

대원수 대리
후한민
1925.3.12
1925.7.1
중국 국민당
국민정부 수립

4. 국민정부



4.1. 광저우 국민정부~우한 국민정부


중산함 사건으로 왕징웨이가 퇴진한 이후로는 뚜렷한 국가원수를 내세우기도 힘든 상태이다. 광저우 국민정부 시기에는 중집위 상무위원장, 연석회의 주석 등이 난립하며 4.12 상하이 쿠데타 직전에는 아예 정부위원제가 운영된다.
대수
이름
임기시작
임기종료
정당/군벌
비고
정부주석
왕징웨이
1925.7.1
1926.4.1
중국 국민당
중산함 사건으로 하야
중앙집행위원회 상무위원장
장제스
1926.5.22
1927.3.20
중국 국민당

연석회의주석
쉬첸
1926.12.13
1927.3.20
중국 국민당

국민정부 상무위원
왕징웨이, 쉬첸, 탄옌카이, 쑨커, 쑹쯔원
1927.3.20
1927.9.15
중국 국민당
영한합작으로 우한 국민정부 해체

4.2. 난징 국민정부


이 시기 중화민국은 국민당 일당독재 체제인 훈정(訓政)기간으로, 당시 중화민국 국가원수의 직함은 '''국민정부 주석'''이었다.
대수
이름
임기시작
임기종료
재임기간
정당
출신지[A]
학력
비고
1대
탄옌카이
1928. 2. 7
1928.10.10
247일
중국 국민당
후난성
청나라 진사

2대
장제스
1928.10.10
1931.12.15
3년 66일
중국 국민당
저장성
바오딩군관학교
1차 양광사변만주사변으로 하야
3대
린썬
1931.12.15
1943.8.1
11년 232일
중국 국민당
푸젠성
학령영화중학
교통사고로 임기 중 사망
4대
장제스
1943.8.1
1948.5.20
4년 294일
중국 국민당
저장성
바오딩군관학교

1925년 3월 20일 쑨원 사후, 1925년 7월 1일 국민정부 출범까지 후한민이 대원수 대리 자격으로 국가원수를 대행했으며 7월 1일부터는 왕징웨이가 국민정부 주석을 맡았지만 1926년 중산함 사건으로 사퇴하고 외유를 떠났다. 이후에는 장제스가 상무위원회 주석, 군사위원회 주석, 국민혁명군 총사령관 자리를 겸임하며 실질적으로 1인자였으며 1927년 4월 18일 난징 국민정부 수립 직후부터 1928년까지는 후한민이 정치회의 주석을 맡으면서 국가원수 직에 있었다.

5. 중화민국 헌법 제정 이후


일반적으로 헌정이 시작된 이 시점부터 중화민국 총통의 대수를 센다. 리덩후이와 천수이볜, 차이잉원을 제외한 나머지의 출신지는 전부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 영토.
대수
이름
임기시작
임기종료
재임기간
정당
출신지[A]
학력
비고
1대
장제스
1948.5.20
1949.1.21
8개월
중국 국민당
저장성
바오딩군관학교[3]
국공내전의 전세 악화로 인해 자진 하야.
대행
리쭝런
1949.1.21
1950.3.1
1년 2개월
중국 국민당
광시좡족자치구
광서육군속성학교
국부천대 이후로 귀국 거부로 인해 장제스가 복직하여 대행에서 축출.
복귀
장제스
1950.3.1
1954.5.20
4년 2개월
중국 국민당
저장 성
바오딩군관학교

2대
1954.5.20
1960.5.20
6년
3대
1960.5.20
1966.5.20
6년
4대
1966.5.20
1972.5.20
6년
5대
1972.5.20
1975.4.5
2년 10개월
대행
옌자간
1975.4.6
1978.5.20
3년 1개월
중국 국민당
장쑤성
상해
성요한대학

6대
장징궈
1978.5.20
1984.5.20
6년
중국 국민당
저장성
소련 모스크바
손중산대학교

7대
1984.5.20
1988.1.13
3년 8개월
대행
리덩후이
1988.1.13
1990.5.20
2년 4개월
중국 국민당
신베이
국립타이완대학
(코넬 대학교 박사)
첫 대만 출신 총통
타이베이 시장 출신 첫 총통
8대
1990.5.20
1996.5.20
6년
9대
1996.5.20
2000.5.20
4년
직선제 개헌 후 3선
(이후 총통은 중임만 가능)
10대
천수이볜
2000.5.20
2004.5.20
4년
민주진보당
타이난
국립타이완대학
첫 정권교체
11대
2004.5.20
2008.5.20
4년
12대
마잉주
2008.5.20
2012.5.20
4년
중국 국민당
홍콩 특별행정구
(본적지 후난성)
국립타이완대학
(하버드 대학교 박사)
중국 국민당 정권 복귀
13대
2012.5.20
2016.5.20
4년
14대
차이잉원
2016.5.20
2020.5.20

민주진보당
타이베이
(본적지 타이완 성)
국립타이완대학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박사)
첫 여성 총통
민주진보당의 2번째 집권
15대
2020.5.20

재임중
민주화 이후 당선된 민선 총통인 리덩후이, 천수이볜, 마잉주, 차이잉원은 전부 다 국립타이완대학 출신이며 그 중 리덩후이(농업경제학과)를 뺀 셋은 대만대학 법학과 선후배 출신으로 20년 동안 정권을 독식 하는 전통을 이어가는 중이다.(...) 리덩후이와 천수이볜, 마잉주 모두 타이베이 시장직을 지낸 경력이 있는데 차이잉원은 타이베이 시장을 한 경력이 없어서 이 기록은 깨졌다.
[1] 호법정부와 국민정부 초기 (우한과 광저우 시기)의 인물은 서술되어있지않다.[2] 계임된 대총통은 대수를 따지지 않으며 공식적인 대총통 선거에서 당선된 위안스카이, 쉬스창, 차오쿤만 대수로 따진다.[A] A B 현재의 성급 행정구역 기준[3] 일본육군사관학교 21기 입학 예정이었으나 신해혁명에 참여하기로 결심해 입학을 포기하고 귀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