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잡대/일본

 


1. 개요
2. 배경
3. F랭크의 수준
3.1. 교육
3.2. 취업
4. 지방대?
5. 이모저모
6. 관련 사이트


1. 개요


일본에서는 F랭크 대학(Fランク大学, 흔히 F랭(Fラン 또는 F欄)으로 줄여쓴다)이라는 말이 한국의 지잡대와 비슷한 뉘앙스로 사용된다. 일본의 대학 순위를 A~D, F로 분류해서 최하위인 F랭크에 속하는 대학을 지칭한다.
원래 일본 3대 입시학원 체인 중 하나인 가와이주쿠(河合塾)[1]의 배치표에서 유래한 것으로 동사의 등록상표이기도 하다. 본래 F랭크 또는 BF랭크라고 표시했으며 BF의 경우 Border Free, 즉 입학하는데 아무런 장벽이 없는 학교를 뜻한다.

2. 배경


일본은 한국처럼 수도권에 명문 대학들이 몰리지는 않았지만 대학 서열화는 한국보다 더 심하고, 졸업 후 철가방 드는 지잡대생도 한국만큼 심각하다. 오히려 한국보다 열악한 부분도 많다. 대학이 있는 곳보단 랭킹으로 서열이 결정되어 되레 수도권 소재 듣보잡 사립대학이 한국의 시골 지잡대 포지션이다. 특히 4년제 대학이 700개교가 넘기 때문에 지잡대 역시 한국보다 월등히 많으며 등록금만 꼬박꼬박 내다가 졸업할 학기가 되면 실업자를 양성해낸다는 점은 한국과 전혀 다르지 않다.
또한 평준화가 없고 철저하게 서열화되어 '''중학교'''/고교 입시부터가 이미 치열하고 중요하다. 일본의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을 보다보면 '명문고' 라고 하는 곳에 들어가기 위해 열심히 공부한다던지, 명문고 출신을 자랑한다던지 하는 장면이 심심찮게 나온다. 일례로 드라마 여왕의 교실에서는 주인공 칸다 카즈미네 반의 담임 선생인 아쿠츠 마야가 '너희들이 공립 중학교를 못 나오면 앞으로 생활이 어려울 것'이라면서 닦달하는 장면이 괜히 나온 게 아니다. 일본 수도권은 보통 상위~중위권이 공립중학교를 가고, 사립일 경우 최상위권은 명문 사립대학의 부속중, 명문 사립중학교에 가고 또 하위권이 사립중학교를 간다. 대도시권이 아닌 지방의 경우 보통 공립고가 최상위권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소케이 부속고교 같은 명문사립대 부속고가 지방에 적으며, 대도시권과는 달리 지역 공립고교가 지역사회, 특히 국공립대학, 기업과 밀착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나마 나은 점이라면 사교육률이 한국에 비해 낮다는 점 정도. 앞서 중/고 입학 단계에서 치열한 입시 경쟁을 벌이기 때문에 소위 난관학교의 진학 코스가 사교육 노릇을 하는 것이다.[2] 다만 세계적인 기준에서 본다면 대학을 자체적으로 줄세울 수 있는 전국 단위 사교육 기관이 존재하는 일본 또한 사교육이 크게 발달한 나라임에 분명하다.

3. F랭크의 수준



3.1. 교육


F랭크 대학의 경우 기초교양, 전공과목에서도 중·고등학교, '''심하면 소학교 때나 배울 것'''을 가르치는 경우도 흔하다. 실제로 일부 대학의 실라버스를 읽어 보면, 공대에서 '''사칙연산''' 배우고 영어 교양과목에서도 '''알파벳 읽는 거''' 배우는 걸 보고 충격을 받는 경우가 많다[3].

「必修でbe動詞」のFラン大卒 就職したら「メールも書けない」

学力が極めて低くても入学できてしまう「Fラン(ク)大学」のカリキュラムが低レベルだということは、以前からネットで指摘されていた。

'''학습 능력이 극히 낮아도 입학이 가능한 F 랭크 대학의 교과 과정의 낮은 수준은 이전부터 인터넷에서 지적되고 있었다.'''

都内のある大学の英語授業で「be動詞の使い方」などを教えていたことに対し、文科省が「大学教育にふさわしい水準に改めるよう求めた」という。

'''도내의 한 대학교 영어 수업에서 'be 동사 사용' 등을 가르치고 데 대해 문부 과학성이 '대학 교육에 적합한 수준으로 고칠 것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

この大学以外でも「アルファベットの書き方・読み方」など、最近では小学校で習うような内容に1時間をかけているところもある。

'''이 대학 외에도 알파벳 쓰기 · 읽기 등 최근 초등학교에서 배우는 같은 내용으로 1시간을 소비하는 곳도 있다.'''


3.2. 취업


[image]
'97퍼센트 취직실적이 교육의 증거입니다'라고 붙여놓은 일본의 대학 홍보.
일본도 한국처럼 지잡대들이 자기네 대학을 '''취업사관학교'''로서 홍보한다. 저 97%의 취업율을 강조하는 게 그래서 그런 것이다. 참고로 저 97퍼센트의 상당수는 택배 직하장에서 박스나 나르거나 공사판에서 하루살이로 버티는 신세다.[4] 한국 지잡대의 광고와 판박이인 게 재밌는 점. 학교 광고에 취업율 운운하는 건 '''직업전문학교에서나 하는 짓'''이다. 그러니까 명색이 대학이라는 놈들이 아무나 입학이 가능한 직업훈련소와 같은 짓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저 광고에 나온 대학은 실제로 편차치 40대(한국으로 치면 5등급 이하) 정도 입결의 대학으로 F랭크 취급이지만, 위치는 도쿄 23구와 시가지가 바로 이어져 있는 지바현 우라야스시에 있어 이 문서 이름처럼 지방대는 아니다. 한국에 비유하자면 서울 인근의 광명시나 부천시에 지잡대 수준의 대학교가 자리 잡고 있다고 보면 될 듯. 즉, 한국으로 치면 수잡대 정도로 보면 되겠다. 더 심하게는 도쿄도내에 편차치가 30대까지 떨어지는 대학이 다수 있는데, 이홍하 계열 대학이 서울 시내에 있다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5][6]

4. 지방대?


한국과 달리 명문대학들이 도쿄에 몰려 있다거나, 수준 낮은 대학은 죄다 지방대라거나 하진 않는다. 한국의 수능 점수나 등급컷에 해당하는 일본의 센터시험 점수와 편차치, 그리고 논문 등의 연구 실적을 보면 평균적으로 도쿄대학이나 교토대학을 중심으로 거점국립대학교 이상에 구제국대학과 상위권 국립대학은 최상위권 사립대학인 소케이조치를 능가하는 게 현실이다.
물론 수도인 도쿄에도 함량 미달 대학이 널려있다뿐이지, 수준낮은 지방대, 즉, 레알 지잡대가 드문게 아니다. 실제로 일본도 대도시에는 대학 부지의 확보가 어렵다는 점때문에 대부분의 대학이 대도시 밖에 있으며, 그래서 실은 한국 이상으로 문자 그대로의 지잡대가 널리고 널렸다. 한국 또한 출산이 80년대 이래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수도권의 부실대학이 생겨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5. 이모저모


  • 상기한 바와 같이 'F랭크' 분류를 고안한 입시학원 가와이주쿠에서 상표등록 해놨다(...). F랭크 대학이라는 분류의 유래가 가와이주쿠의 배치표에서 대학을 랭크별로 분류를 한 것에서 유래했는데, 여기서 F랭크의 뜻은 Free, 즉, 컷을 산정할 수 없어 돈만 내면 갈 수 있는 대학을 뜻했고 이게 굳어진 것. 이외에 보더 프리(Border Free, ボーダー フリー)의 준말인 BF라는 표현도 사용된다. 다만 현재는 가와이주쿠가 공개적으로 랭크를 사용하지는 않으며, 모집단위별로 편차치와 추정 합격률을 발표하는 정도이다. BF는 이 때 정원미달로 커트라인이 형성되지 않는 전형에 쓴다.
  • 대학 명칭에 상업, 공업, ~학원, 특히 근래는 '국제' 같은 키워드가 들어 있는 대학이 많다. 이는 명칭에 이런저런 수식어가 많이 붙는 대학은 실제로 규모와 역사가 일천하고 대학 수준에 걸맞는 교육 포트폴리오를 갖추지 못하기 쉽기 때문으로, 일본 전역에 서로 시너지 효과도 나지 않는 소수 학과, 심하게는 달랑 학과 하나를 보유한 소규모 대학[7]이 널려있다. 이런 대학들이 흔히 사립재단의 부속학교로서 '~학원대학', 또는 '~국제대학' 식의 이름을 붙이는 것이다. 물론 대학명에 수식어가 붙는 대학이 모두 F랭크는 아니다. 우선 도쿄농공대학이나 오타루상과대학같은 국립대학은 애초부터 논외이며, 특히 동경일공의 하나인 도쿄공업대학은 구 제국대학과 동급의 최상위권으로 대접받는다[8]. ~학원대학 중에서도 관동의 아오야마가쿠인대학(青山学院大学)이나 관서의 칸사이가쿠인대학(関西学院大学)은 사립 명문으로 잘 알려진 대학이다. 또한사립 중에서도 소수나마 도쿄이과대학이나 시바우라공업대학처럼 일정한 규모를 갖추고 전문화에 성공한 대학은 명문 대접을 받는다. 수준 차이는 있을지언정 한국의 포항공과대학교에 비유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과 마찬가지로 의과대학은 어디에 소재하고 어떤 수식어가 붙었느냐에 관계없이 최상위의 입결을 자랑한다. 물론 같은 의대생들끼리는 그 와중에도 '어디는 명문이고 어디는 지잡대다'는 식으로 또 서열을 매기곤 하지만, 일반적인 수험생들이 봤을때는 제아무리 지잡 의대라도 들어가기는 하늘의 별따기나 다를 바 없다[9].
  • 사실 상위권 사립대학(소케이조치, MARCH, 칸칸도리츠)은 문과 중심[10]이라 이과 중심인 구제국대학과 상위권 국립대학들에게 연구력에서 밀리는 거지, 일명 아웃풋, 수도권 명문 메리트로 대학 자체가 국립대학들에게 일방적으로 밀리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한국인들이 도쿄대학, 와세다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을 한국의 SKY에 대응시키는 것도 아주 오해는 아닌 것이, 정치판이나, 법조계, 방송국 등지로의 취업에서는 이 세 대학들이 넘사벽 수준의 아웃풋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역대 일본 총리들 중에 이 세 대학들 출신이 아닌 사람이 몇 명이나 되는지를 보자. 되려 세이케이대학을 나온 아베 신조가 특이한 것이다.[11] 다만 저 세 대학들이 모두 문과 계열에서 강세를 보이는 대학이라서 법조계나 정계에서 아웃풋이 좋은 것을 감안할 필요는 있다. 무엇보다 간과하지 말하야 할 것은 사립대학의 학부생 수가 국립대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것이다. 와세다대학의 경우 문과계열 학부생 수로 따질 때 도쿄대학 약 5천명, 교토대학, 히토쓰바시대학이 각각 4천명대인 것에 비해 와세다대는 무려 3만명 이상이다. 애초에 인원수가 많으니, 각종 아웃풋 수치에서 '와세다'라는 이름이 존재감을 나타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게이오기주쿠대학이나 다른 명문 사립대학은 와세다만큼은 아님에도 국립대학보다 수가 매우 많은 것은 사실이다. 노벨문학상 떡밥이 도는 무라카미 하루키가 와세다 출신인데 하루키가 대학 졸업 후에 방송 작가의 꿈을 안고 방송국 입사시험에 응시했다가 면접에서 낙방했는데, 그 이유가 우리 방송국은 와세다 가지곤 어림도 없다는 것이었다(!!!). 1970년대의 와세다는 들어가기에 어렵지는 않은 수준이었지만, 그래도 한국으로 치면 인서울 중상위권 수준의 입결을 자랑하는 곳이었는데도 이런 차별을 받았던 것이다. 한국으로 치면, 방송국 측에서 SKY만 받겠다고 인서울 중상위 이상의 대학 졸업자를 퇴짜놓은 셈이다.
  • F랭크 대학에도 유학생들이 있으며, 요즘은 인구 감소로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 수가 줄어들자 유학생 유치에 열을 올리는 대학이 많아진 점은 대한민국의 대다수 지방 사립대들이 처한 상황과 다르지 않다. 입학 시험은 간단한 일본어 작문 시험이나 면접만 보는 사실상 형식적인 시험 뿐인 곳이 많다. 이런 대학을 졸업해봐야 일본에서 좋은 회사에 취업할 가능성도 희박하며 당연히 귀국해서도 알아주지 않으니 열심히 공부해서 명문대 가길 권한다. 애초에 일본의 대학들은 유학생 전형이 따로 있어 일본어에 자신 있다면 일류 명문대라도 일본인 학생들에 비해 입학 난이도가 크게 낮은 편이다.
  • 일본제국시절 제국대학의 경우, 시설은 물론이거니와 제국대학 출신(帝大出身)들에게 특혜를 주었는데, 법학부 졸업자에게는 고등문관시험의 1차 시험을 면제해주었다. 단 일본에 있는 제국대학에 한함. 즉 경성제국대학, 타이베이제국대학 제외. 반면에 만주에 있었던 건국대학에는 면제 혜택을 주었다. 제국대학 문서 참조. 그 외의 국립대학들에 대해서도 출신자들에게 많은 혜택을 주었고, 이러한 이유 때문에 우수한 성적의 수험생들이 수십년간 국립대학에 몰려서, 명문 대학의 자리를 확고히 하여 버렸다. 이런 점이 일본의 국립대학의 위상을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1918년까지만 해도 일본의 대학은 도쿄제국대학을 위시한 5개 제국대학만이 전부였다. 와세다, 게이오기주쿠 같은 유서 깊은 사학들도 1918년 대학령 개정 이후에야 대학으로 인가를 받았다. 일본 정부는 대학을 국가의 수요에 응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도구 정도로 인식했다. (중략) 문학부 졸업자에게는 무시험검정에 의해 소학교에서 대학까지 어느 곳에서든 교원이 될 수 있는 자격증을 줬다. 민간기업에서도 제국대학 출신자에게는 동일한 노동을 하는 사립대학 출신자보다 봉급을 더 주는 것이 관례였다. 국가는 제국대학 출신자에게 각종 특혜를 주고, 제국대학 출신자는 국가의 충직한 신민이 되는 완벽한 공생관계였다.

- 신동아 2005년 12월호

  • 한국에서도 80년대까지만해도 국립대학 사범대 졸업생에게는 사실상 100% 교사임용을 보장했다. 교사가 크게 부족하던 때라서 가능했다. 반면 사립대학 사범대 졸업생들은 순위고사를 거쳐서 상위권에 든 경우에만 교사임용을 바라 볼 수 있었던 되었던 것처럼 차별적 상황이 있었다[12]. 그래서 이 시절 지방 국립대 사범계열의 입학점수는 서울지역 상위권 사립대 입학점수를 능가했다. 결국 제도의 문제.

6. 관련 사이트


  • yourepedia[13]의 F랭크 대학 항목 페이지
  • 일본어 백괴사전의 문서 페이지


[1] 1955년 일본의 교육자 가와이 에이지에 의해 설립된 입시학원. 여기서 일본 3대 입시학원 체인에 속하는 다른 두 개는 요요기제미날(요제미, 代々木ゼミナール)와 슨다이예비학교(駿台予備学校)를 가리킨다.[2] 매년 도쿄대 입시에서 수위를 다투는 도쿄 가이세이고교나 고베 나다고교의 경우 재학생 중 30~40%가 현역으로 도쿄대에 합격한다. 이 정도면 한국의 특목고를 능가하는 수준으로 굴러간다는 뜻.[3] 이 점은 한국도 크게 다르지 않다. 한국의 지잡대 문제가 일본지잡대에서도 그대로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4] 해당 대학 사이트에 의하면 취업자 중 풀타임 잡이 아닌 비율은 5%도 되지 않는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자체 집계라는 데 한계가 있다. 그나마 저 대학과 같이 고용 형태별 통계 수치를 공개하는 쪽은 자신이 있는 쪽이고, 대부분의 대학은 대략적인 채용기업 리스트가 공개되는 정도이다.[5] 한국에서는 대학 신설 요건이 완화된 시기에 이미 서울에 개발 가능한 부지가 거의 남지 않아 서울시내에 부실대학이 생길 여유가 없었으며 그나마도 수도권 규제로 신설이 어려웠다. 그나마 있는 소규모 대학은 모두 신학교이다.[6] 참고로 해당 광고에 나온 대학 출신 유명인으로 아이돌 그룹 Snow Man와타나베 쇼타, 미야다테 료타가 있다. 둘은 같은 중, 고등학교를 나온 절친이라고 하는데 대학도 같이 갔으며 전공도 경제학으로 동일했다.[7] 한국에도 신설 대학이나 전문계를 중심으로 소규모 대학이 많다. 다만 일본의 경우 정체불명의 '교양학부' 단독인 대학이나 기타 실용성이 애매한 학과만 갖춘 소규모 대학이 많은 게 문제.[8] 도쿄공업대학한국으로 치면 KAIST 같은 과학기술원정도의 위상을 가지는 곳이다. 그래서 교토대학 이학부와 함께 이공계를 지망하는 수험생들에게는 꿈의 대학으로 불린다.[9] 정확히 말하면 한국과는 좀 다른게 일본 지잡 사립 의대의 경우 소케이 이공계열 정도까지 컷이 내려간다. 한국과는 다르게 사립의대의 경우 학비가 1년에 3~4천만, 6년간 적게는 2억에서 많게는 5억까지 어마어마하게 들고 사립 이공계를 나와도 취업에서 크게 어려움이 없는 현 일본 취업상황때문이다. 물론 소케이가 이공계열이 문과보다 많이 낮다곤 해도 여전히 공부 꽤 한 학생들이 가는 곳이다. 치대랑 약대의 경우는 흔히 말하는 F랭크 대학에서는 걍 일반 학과 취급. 심지어 F랭크 대학 내에서도 입결 하위권을 차지하기도 한다.[10] 소케이조치+MARCH 상위 8개 대학의 문이과비 평균이 대략 8:2 ~ 7:3정도로 문과 편중이 심하다. 구제국대학은 오히려 3:7수준으로 반대.[11] 사실 세이케이대학은 일본인들 사이에선 한국으로 굳이 따지자면 경기도권에 있는 이름 들어본 사립대 정도의 인식이지 단국대,인하대처럼 인서울에 맞먹는다 정도는 결코 아니다. '도쿄대학, 와세다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의 셋 중의 어느 하나가 아니다'를 논할 게 아니라, 이런 대학에서도 총리를 배출했다는 게 특이하게 여겨진 것이다. 다만 아베의 낮은 학벌이 커버될 정도로 그의 집안 배경이 세습정치인 출신으로서도 장난이 아니라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물론 외국 대학이건 국내 대학이건 간에 특정 대학을 지잡대라고 지칭하는 게 몰지각한 일이고, 당연히 '아베 신조가 지잡대 출신이어서 저런다'는 소리는 개소리다. 행복의 과학 우익교주도 도쿄대학 출신이고 옴진리교 소속 도쿄 지하철에 사린가스를 살포한 테러리스트도 엘리트대학 출신이다.아베말고도 많은 엘리트대학출신 우익 정치가들도 많이 포함되어 일본 최대 우익 집단인 일본회의에 많이 활동하고 있다.[12] 1991년에 이 제도는 헌법재판소에서 위헌판결을 받고 폐지되었다.[13] 위키백과의 운영지침에 불만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만든 사이트. 일본어로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