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시내버스/목록
1. 급행버스
2. 좌석버스
3. 시내버스
3.1. 000번대 노선: 학생심야버스[5]
- 해당 문서 참조
3.2. 20~50번대 노선: 권역순환
3.3. 100번대 노선: 증평 · 내수 · 북이 방면
3.4. 200번대 노선: 보은 · 미원 · 낭성 · 가덕 방면
3.5. 300번대 노선: 문의 방면
3.6. 400번대 노선: 신탄진 · 부강 · 남이 · 현도 방면
3.7. 500번대 노선 : 조치원 · 오송 · 강내 방면
3.8. 600번대 노선 : 옥산 방면
3.9. 700번대 노선 : 진천 · 병천 · 오창 방면
3.10. 800번대 노선 : 시내순환
3.11. 900번대 노선 : 시내외곽
4. 공영버스
청주시 시내버스/공영버스 문서 참조.
5. 폐선된 노선
청주시 시내버스/폐선 문서 참조.
[1] 모든 노선이 밤 11시 10분에 각 기점지에서 출발하며 토요일과 휴일, 방학기간에는 미운행한다.[2] 1일 2회, 내수역에서 출발한다.[3] 청남대 행 16회, 문의 행 18회[4] 입장권 구입 후 성인 3,200원, 학생은 2,600원, 어린이 1,600원짜리 왕복승차권으로 승차 가능하며 청남대 휴관일은 운행하지 않는다. 교통카드 단말기가 있지만 교통카드 사용은 불가.[5] 모든 노선이 밤 11시 10분에 각 기점지에서 출발하며 토요일과 휴일, 방학기간에는 미운행한다.[6] 청주외고 건너편에 있는 정류장이다.[7] 흥덕고 앞에 있는 정류장이다.[8] 충북고 건너편에 있는 정류장이다.[9] 충북고 건너편에 있는 정류장이다.[A1] 첫 차와 두 번째 차는 사창사거리에서 출발한다.[A2] 첫 차와 두 번째 차는 사직사거리에서 출발한다.[B1] 첫 차와 두 번째 차, 세 번째 차는 강서지구에서 출발한다.[B2] 첫 차와 두 번째 차, 세 번째 차는 터미널에서 출발한다.[10] 동부종점행 첫 차는 영하리에서, 두 번째 차는 석성리에서 출발한다.[C] A B 수름재~내수 구간은 구도로로 운행한다.[11] 한국교통대 행 6회, 동부종점 행 5회[12] 수름재~내수, 북이~증평 구간은 구도로로 운행한다.[13] 수름재~내수 구간은 충청대로로 운행한다.[D] A B C D E F G H I J 편도 운행 노선이다.[14] 삼항리 행 1회, 오동육교 행 2회[15] 삼항리 행 6회, 청주대 예술대학 행 5회[16] 내암리(퉁점) 행 6회, 청주대 예술대학 행 7회[17] 회인면행 4회, 오동육교행 3회[18] 첫 차는 육거리에서 출발한다.[19] 석교육거리 행 12회, 송암리 행 11회[E] A B C D E F G H I J 중형차량 투입 노선이다.[F] A B C D 우진교통 단독 운행[20] 마구리 행 1회, 비하종점 행 2회[21] 동일운수 단독 운행[22] 부강 행 39회, 송절중 행 40회.[23] 시동리 행 2회, 봉명종점 행 3회[24] 충북공고 행 6회, 봉명종점 행 5회.[25] 충북공고 행 2회, 봉명종점 행 1회.[26] 1일 1회 산막리를 경유한다.[27] 저산삼거리 행 2회, 봉명종점 행 1회.[28] 정하동 행 첫 차(06:20)는 동막동에서 출발한다.[29] 사곡리행 2회, 동부종점행 1회[30] 연정리행 1회, 시내방향(정하동, 동부종점) 2회[31] 연정리 방향으로 운행 시 교원대 안으로는 들어가지 않으나, 정하동 및 동부종점 방향으로 운행 시에는 교원대를 들어갔다 나온다.[32] 아침 시간대에는 연정리에서 출발해, 정하동까지 운행하며, 저녁 시간대에는 동부종점에서 출발해 연정리까지 운행한다.[33] 515-1[34] 515-2[35] 위 노선은 515-1번이며 515-2번은 역순이다.[36] 오송읍 도시형 교통모델 노선으로 국책기관을 순환한다.[37] 공북리 행 6회, 정하동 행 5회[38] 공북리 행 1회, 분평종점 행 2회[39] 진천터미널발 첫 차, 두 번째 차, 세 번째 차(06:00, 06:10, 06:35)는 오창에서 출발한다.[40] 진천군 농어촌버스 업체인 진천여객과 공동 배차.[41] 오창지구대행 10회, 비하종점행 11회[42] 오창과학단지 행 22회, 분평종점 행 21회[43] 711번과 다른 점은 상당사거리를 경유하지 않고 무심동로-청원구청 앞을 경유한다.[44] 진천여객에서 단독 운행한다.[45] 진천터미널 행 14회, 청주역 행 13회[46] 화하1리 행 5회, 비하종점 행 6회[47] 비하종점 행 첫 차(08:20)는 청주역까지 운행한다.[48] 내수 행 7회, 비하종점 행 6회[49] 비하종점 발 첫 차(06:05)는 팔결리에서 출발한다.[50] 지게바위 행 5회, 비하종점 행 4회[51] 비하종점 발 두 번째 차(07:26)은 평동에서 출발한다.[52] 신평1리 행 4회, 비하종점 행 5회[53] 신평1리 발 첫차(07:30)은 청주역까지 운행한다.[54] 두릉리 행 1회, 비하종점 행 2회[55] 두릉 발 첫 차(07:00)는 성재리에서 출발한다.[56] 첫 차와 두 번째 차는 지하상가에서 출발한다.[57] 두 번째 차는 지하상가에서 출발한다.[58] 832번과 노선은 같으나 시계방향으로 순환한다.[59] 831번과 노선은 같으나 시계반대방향으로 운행한다.[60] 1일 4회, 정북동에서 출발한다.[61] 기점이 정북동이라 쓰여있긴 하지만, 1일 1회만 정북동에서 출발한다.[62] 정하동에서 출발해 수곡동을 순환한 다음, 정하동이 아닌 정북동까지 운행한다.[G] A B 첫 차는 사직2지구에서 출발한다.[63] 율량2지구 행 32회, 비하종점 행 31회.[64] 첫 차는 산남현진에버빌아파트에서 출발한다.[65] 주말ㆍ공휴일에는 운행하지 않는다.[66] 산성 구 도로 폐쇄로 산성→우회도로→동물원→약수터→동물원→명암로→용담동 순으로 운행하는 편도 노선이다.[67] 첫 차와 두 번째 차는 약수터에서 출발한다.[68] 산성 구 도로 폐쇄로 용담동 - 명암로 - 동물원 - 약수터 - 동물원 - 우회도로 - 산성 순으로 운행하는 편도 노선이다.[69] 마지막 차와 마지막 전 차는 약수터까지 운행한다.[H] A B 첫 차는 모충주공2단지에서 출발하고, 마지막 차는 모충주공2단지까지 운행한다.[70] 청주의료원행 7회, 인경리행 6회.[71] 인경리발 13:40분 차량은 연료 충전을 위해 청주의료원까지만 운행하며 15:40분에 청주의료원에서 중간 출발 차량이 있다.[72] 첫 차와 두 번째 차는 성모병원에서 출발하며, 막차는 성모병원까지 운행한다.[73] 첫차는 사천신동아아파트에서 출발한다.[74] 첫 차는 청주체육관에서 출발한다.[75] 정상마을 행 7회, 분평종점 행 8회[76] 청주대 예술대학 행 24회, 예비군훈련장 행 25회.[77] 첫 차는 원평동에서 출발한다.[78] 평동 행 9회, 동부종점 행 10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