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여객
1. 개요
경기도 평택시에서 시내버스 사업을 하는 버스 회사로, 안성시 버스회사인 백성운수의 계열사이다.
또한 평택 서부지역(고덕, 안중, 포승, 현덕, 청북 등)에서 '''없어서는 안될 회사'''로, 당시 성호여객 시절 파업을 했을때 순식간에 평택시 서부지역엔 헬게이트가 열리기도 했다.
2. 역사
본래 성호여객자동차공사라는 상호로 평택 ~ 안중 구간의 시내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하여 왔다. 이후 2004년을 시외버스 부분만 서해고속으로 분리하여 시내버스 사업만 하다가 2005년 8월 24일에 최종 부도처리되었으며, 한동안 노사분규와 파행운행을 겪다가[2] 2007년 초 오산시 버스 회사인 시원운수[3] 에서 인수하여 시원교통이 되었지만, 그것도 얼마못가 안성시 버스 회사인 백성운수로 인계되어 평택여객으로 상호를 바꾸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동시기 시외사업부인 서해고속은 KD 운송그룹에서 사들인다.
현재는 주로 평택 시내와 평택 서부 지역을 오가는 노선들과 평택 서부 지역을 돌아다니는 노선들을 운행하고 있다.[4] 평택의 나머지 두 회사와 공동 배차를 하는 100번, 100-1번, 100-2번과 999번이 있다. 평택여객 중 시외로 나가는 버스는 평택 버스 100-2번 딱 하나. 그것도 공동배차 이다. 예전에 700번을 백성운수에게서 인계받으면서 시세를 확장하긴 했는데, 저 노선이 워낙 존재감이 없어서 그다지 크게 영향은 없었고(...) 그래서인지 2017년 중반 결국 폐선되었다.
3. 특징
- 평택 서부지역(고덕, 안중, 포승, 현덕, 청북 등)의 지역을 대표로 맡고 있으며 총 보유댓수는 91대이다.
- 한때 대우버스를 주로 출고했던 적[5] 이 있었으나 2009년 이후로는 출고하지 않고있다.
4. 차고지
죽백동영업소와 안중 본사 2곳이 있으며, 320번 같은 차량 대수가 적으면서 기점이 안중이거나 안중에 가까우면 안중 소속이고, 그 반대로 기점이 죽백동이면 죽백동 소속이다.[6] 80번, 98번, 810번 같은 노선은 차고지가 반으로 나뉘어져있다. 본래는 저 두노선 모두 죽백동차고지 차량의 비중이 높았는데, 2016년 6월 1일 노선개편이후 증차가 되면서 안중차고지 비중이 꽤 높아졌다가 2017년 4월 1일(810번), 2017년 4월 13일(80, 98번)에 시간표가 변경되면서 죽백동과 안중차고지 비중이 동일해졌다.[7]
하지만 두곳 다 차량을 중정비를 할 수 있는 시설이 없는지 차량 중정비의 경우, 안성에 있는 계열사인 백성운수 차고지(안성종합버스터미널)까지 원정을 가서 맡는다.
죽백동 영업소 차량은 CNG로, 안중 영업소 차량은 디젤로 운행한다. 그 이유는 죽백동 영업소에서 주박하는 차량들은 용이동에서 CNG 충전소가 있기에, 다만 안중에는 근처에 CNG 충전소가 없어 디젤 차량으로 운행한다.[8]
5. 면허 체계
- 경기 72 아 20##호
6. 보유차량
6.1. 현재 보유차량
6.1.1. 현대자동차
- 현대 뉴 카운티 디젤
- 현대 그린시티 디젤
- 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그린시티 F/L 디젤
- 현대 그린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디젤
6.2. 과거 보유차량
6.2.1. 현대자동차
- 현대 글로벌900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HD160 디젤
- 현대 HD170 디젤
- 현대 FB485 디젤
- 현대 RB520 디젤
- 현대 RB520L 디젤
- 현대 RB585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540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에어로 600 디젤
- 현대 에어로 이코노미 디젤
- 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D 디젤
- 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S 디젤
6.2.2. 자일대우상용차
- 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F/L 디젤
- 대우 BF101 디젤
- 대우 BV113 디젤
- 대우 BV113Q 디젤
- 대우 BV113R 디젤
- 대우 BV113S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F/L 디젤
- 대우 BC211M 로얄하이시티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10CN 로얄논스텝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BH115Q 디젤
- 대우 BH115H 로얄익스프레스 디젤
6.2.3. 기아자동차
6.2.4. 쌍용자동차
6.2.5. 한국화이바
7. 운행 노선
7.1. 시내버스
7.2. 평택시 3사 공동배차[19] 노선
7.3. 일반좌석버스
8. 논란
8.1. 재생타이어 사용
이 회사도 일부 경기도 업체[21] 처럼 재생타이어를 쓴다는 논란이 있다. 기사
8.2. 열악한 근무 환경
2018년 1월부터 현재는 그나마 나아진 편이지만, 2017년 이전에는 기사들의 근로 환경이 열악했다. 협진여객, 서울고속은 하루 16시간 이상 씩 격일제 근무를 하였지만, 평택여객은 하루 16시간 이상 씩 5일에 3일을 연속으로 일하고, 2일을 쉬는 형태였다.[22] 하지만 실제로는 '''3~5일'''을 연속으로 일하고[23] 1~2일을 쉬었다.[24] 그 원인은 인력 부족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 일이 번번히 일어나게 되다보니 KBS 9시 뉴스에서도 보도되었다. 2017년 중반에 채용공고 효과로 인해 인력이 증가하여 2017년 12월부터 하루 일하고 하루 쉬는 '''격일제 근무'''를 시행하였다. 이렇게 되자 한 달에 20일 이상 일하게 될 것을 15일을 일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후 2019년 3월부터 기사 충원이 확보되어 격일제 근무에서 1일 2교대 근무로 근무환경이 많이 개선되었다.[25]
9. 여담
- 노선 개편 목록
- 2011년 10월 1일 - 평택에서 출발하여 오성면/청북면 순환하는 90, 90-1, 90-2, 90-3, 90-4번 폐선되어 아래 노선들이 신설되었다.
- 2015년 7월 20일 - 청북신도시 교통 편의를 위해 청북신도시를 경유하는 버스 노선들이 신설되었다.
- 2016년 6월 1일 - 평택과 안중/포승간을 잇는 노선들이 통폐합되어 일반좌석버스 노선들이 형간전환 및 폐지되었다.
- 2016년 12월 1일 - 청북신도시 교통 편의를 위해 청북신도시를 경유하는 버스 노선들이 개편되었다.
- 2017년 12월 18일 - 안중 지선 노선들이 개편되었다.
- 80번이나 98번은 수요가 굉장히 많다. 출퇴근시간에는 포승(해군기지, 평택항)에서부터 앞문까지 꽉차 안중이나 오성면에 타려고 하는 사람들은 탈수 없게 된다(주말, 공휴일에는 평일보다 수요가 더 많다!) 대책은 차량증차와 배차간격을 줄여야 한다. 이 대책으로 2019년 12월 23일부터 급행 노선인 8000번이 개통한다.
[1] 서울고속, 협진여객, 평택여객 3사 공동배차[2] 이때 안중에는 같은 평택 회사인 협진여객이나 서울고속은 물론이고, 조암의 경진여객이나 안성의 백성운수까지 임시차를 보내서 운행했다.[3] 당시 같은 계열사였던 한별교통(현 구성운수)/한비운수를 용인시의 마을버스로 시작해서 막장으로 치닫고 경영난을 겪어 오산시 시내버스 업체였던 창운여객을 인수하여 사세확장을 했지만 무리한 사업확장으로 인한 리스크가 누적한 탓에 2008년 부도처리되어 현재는 뿔뿔히 흩어져 남남이되었다. 링크[4] 사실 안중만 하더라도 평택시내(평택역 기준)에서 안성시나 오산시와 맞먹는 수준으로 멀다.[5] 구형 슈퍼에어로시티가 대차 될 시기[6] 단 98-1번, 80-1번은 예외이다. 저 두 노선은 안중차고지 차량들이 운행하는 죽백동 막차로, 아마 차고지 입고를 위해 안중터미널에서 끊는것으로 보인다.[7] 80번은 각 5대, 98번은 각 7대, 810번은 각 3대 씩 동일하다.[8] 다만 일부 안중영업소 차량들도 CNG 차량으로 운행한다. 그 차량들은 죽백동을 가는 노선들이며, 용이동에서 가스를 충전한다.[9] '회'로 표시한 것은 일 운행 횟수이다.[10] 안중방면[11] 원정리방면[12] 원정리방면[13] 안중방면[14] 안중방면[15] 원정리방면[16] 종점은 광덕이지만 84-3번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들은 순환운행[17] 덕목5리 안까지 들어간다.[18] 85번과는 반대로 순환[19] 서울고속, 협진여객, 평택여객 3사 공동배차[20] '회'로 표시한 것은 일 운행 횟수이다.[A] 공휴일에는 12회로 운행.[21] 기사에 나온 업체는 과천시 G여객, 양주시 Y교통·J여객, 안성시 B운수, 양평군 K고속, 수원시 N여객, 안양시 S운수·B운수, 평택시 H여객·S고속·P여객, 부천시 S 여객이 있다.[22] 사실상 복격일제(2일 연속 근무 1일 휴무)와 다름이 없다.[23] 어떨 때는 6일을 연속으로 나왔다.[24] 거의 한 달에 20~23일에 300시간 이상 근무하였다. 대부분 회사들은 15일에 225시간 일은 한다.[25] 덤으로 몇 개월 후 서울고속(경기)도 1일 2교대로 전환하였다.[26] 현재는 폐선됨.[27] 예로들면 2016년 12월 1일부터 소형버스인 현대 카운티로 격하된 81-1번과 폐선된 92번 버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