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련
1. 개요
'''훈련'''(訓,練)은 기본자세나 동작 따위를 되풀이하여 익히는 행위나 가르쳐서 익히게 하는 행위를 뜻한다. 군대에서만 행해지는 행위는 아니지만 사실 대한민국에서 이 용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곳은 군대다 보니 보통 훈련이라고 하면 군대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한마디로 군대에서 하는 전쟁 연습인 셈이다. 당연히 죄다 힘들고 욕나오는 것들이지만 역사적으로 필요성을 입증했기에 하는 것들이다. 아래에서는 군사훈련과 관련용어를 분류해 놓았다.
2. 훈련 vs. 연습
일선 부대에서는 혼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잦지만, 훈련과 연습은 서로 다른 것을 지칭한다. 부대의 전개 등 실제 병력/장비가 동원되는 것이 훈련, 그런 것 없이 지휘부만 도상 또는 시뮬레이션으로 진행하는 것을 연습이라고 한다.
3. 군사훈련
군사훈련의 빈도와 강도는 해당 부대가 전투부대냐 기행부대냐에 따라 달라진다. 기행부대는 주특기 임무에 충실해야 하는 부대 특성상 전투부대에 비해 야전훈련이 간소화된 편이며, 혹한기나 유격 같은 공통된 훈련은 전투부대에 비해 강도가 약하고 기간이 더 짧은 편이다.
3.1. 일반적인 군사훈련
- 각개전투훈련
- 기초군사훈련
- 기지방호 훈련
- 독수리 훈련
- 사격 훈련
- 수류탄 투척 훈련
- 유격 훈련
- 을지훈련
- 전투준비태세
- 제식훈련
- 주특기훈련
- 행군
- 호국 훈련
- 혹서기 훈련[1]
- 혹한기 훈련[2]
- 화생방 훈련
- 무박훈련
- RCT
- 전투장비지휘검열
- 대대 전술 훈련
3.2. 전역 후 받는 훈련
3.3. 훈련 부대
- 육군사관학교
- 해군사관학교
- 공군사관학교
- 육군부사관학교
- 육군훈련소
- 해군기초군사교육단, 해병대 교육훈련단
- 공군기본군사훈련단
- 기초군사훈련부대
- KCTC
- 제3훈련비행단 [3]
- 제189비행교육대대, 제216비행교육대대 [4]
- 제29전술개발훈련비행전대
3.4. 기타용어
- 훈육장교
- 훈련부사관, 훈련교관
- 교관: 장교와 부사관의 구분이 없는 훈육간부들을 총칭한다.
- 예비군 지휘관: 장교, 부사관, 병이 군대에서 전역을 하게 되면 장교, 부사관, 병 구분없이 이들을 모두 통제하는 훈육간부들을 총칭한다.[5]
- 조교: 보통 병이 맡게 된다만, 가끔 규모가 큰 훈련소의 경우 부사관이 조교를 담당하기도 한다. 장교의 경우 무조건 교관을 담당하며 때문에 부사관 조교는 있을 수 있어도 장교 조교는 일절 없다.
- 사관생도: 사관학교 출신 장교후보생들을 총칭한다.
- 사관후보생: 비사관학교 출신 장교후보생들을 총칭한다.
- 부사관후보생
- 훈련병
[1] 단 혹서기 훈련은 어지간한 부대에서는 잘 하지 않는다. 열사병, 일사병 등으로 인한 환자들이 속출하기 때문. 대한민국 국방부에서도 혹서기 훈련을 하지 않는 이유가 혹한기 훈련보다도 더 위험한 훈련이기 때문이다.[2] 너무 추워서 잘 하지 않을 것 같지만 어지간한 육군부대에서는 거의 반드시 하게 되는 훈련이다. 물론 동상 등으로 인한 환자들이 속출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래도 혹서기 훈련보다도 덜 위험한 훈련이기 때문이고 혹서기 훈련보다도 중요한 훈련이기 때문에 대한민국 국방부에서도 혹한기 훈련을 지향한다.[3] KT-1항공기를 사용해 중등비행과정 훈련을 진행한다.[4] T-50항공기를 사용해 고등비행과정 훈련을 진행한다[5] 옛날에는 장교, 부사관, 병 이렇게 같이 예비군 훈련을 안 받고 따로 받았지만,(규모가 크고 시설이 좋은 예비군 부대는 예비군 장교들이 갔고, 규모가 보통이고 시설이 보통인 예비군 부대는 예비군 부사관들이 갔고, 규모가 작고 시설이 나쁜 예비군 부대는 예비군 병들이 갔다.) 2017년 기준 지금은 장교, 부사관, 병이 모두 통합하여 같이 예비군 훈련을 받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