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장(상훈)/중화민국

 



1. 개요
2. 군용훈장
2.1. 3군공통
2.1.1. 성사훈도
2.1.2. 국광훈장
2.1.3. 청천백일훈장
2.1.4. 보정훈장
2.1.5. 운휘훈장
2.1.6. 충용훈장
2.1.7. 충근훈장
2.2. 공군 전용
2.2.1. 대동훈장
2.2.2. 하도훈장
2.2.3. 낙서훈장
2.2.4. 건원훈장
2.2.5. 부흥영예훈장
2.3. 기념훈장
2.3.1. 항전승리훈장
2.3.2. 국민혁명군 출정 10주년 기념훈장


1. 개요


현재 대만 섬만을 실효지배하고 있는 중화민국의 훈장에 대해서 다룬다. 훈장이야 청나라 시절이나, 1912년 신해혁명으로 청조를 무너뜨리고 세워진 북양정부 시절에도 있었으나, 국민정부 이후 이전 시절의 훈장은 모두 폐지되었다.
대만의 훈장은 여느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민간인이 수훈하는 민간인용 훈장(文職勳章/문직훈장)과 군인이 수훈하는 군용훈장(軍職勳章/군직훈장)으로 나눠져 있다.

2. 군용훈장



2.1. 3군공통



2.1.1. 성사훈도


醒獅勳刀
형상
[image]
제정
1935년 11월 23일
폐지
2017년
성사훈도는 엄밀히 말하면 훈장이 아니라 예도지만 그 서훈기준이 "이미 최상급 훈장을 받은 상태이나 그 상태에서 표창을 '''더''' 받을 자격이 있는 장교", 즉, 망한 나라를 일으켜 세우거나 극 소수의 병력을 지휘하여 압도적인 수의 적을 격퇴하거나, 비열한 기습을 당한 상황에서 새로운 전략으로 전세를 뒤집거나 할 정도와 동급의 넘사벽급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나 수여'''됐을''' 정도로 훈격이 높기에 여타 훈장들과 같이 기재한다.
여담으로 성사훈도는 차이잉원 정부에서 폐지되었는데, 이 이유가 1935년 이후로 '''아무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2.1.2. 국광훈장


國光勳章
형상
[image]
제정
1943년 10월 10일
상위 훈장
'''없음(최상위)'''
하위 훈장
청천백일훈장
수여대상은 외침을 막고, 국가를 보위하는 특별한 전공을 가진 군인이며, 1937년 제정 이후 현재까지 '''5명'''에게만 수여되었다. 수훈자는 장제스, 나중에 공산당에 붙은 푸쭤이, 중화민국 공군 초대사령 저우지러유, 위다웨이, 허잉친이다. 이중, 허잉친이 수훈한 국광훈장은 국군역사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대만 법에서는 이 훈장의 수여조건을 세세하게 설명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적군 전부 또는 대부분을 섬멸하고, 적 주요거점 및 화포, 중요 보급품을 노획한 자.
2. 요충지를 굳건히 지켜 적의 뜻을 꺾어, 아군에 큰 도움을 준 자.
3. 적 요인을 사살하거나 포로로 잡은 자.
4. 적의 보급로를 끊거나, 식량과 무기를 뺏은 자 또는 그로인해 전세를 뒤집은 자.
5. 기뢰를 설치하여 적 군함을 격침하거나 큰 피해를 입혀 전투력을 상실케 한 자.
6. 적의 포위망을 뚫고 고전끝에 수송을 하여 목적을 이룬 자.
7. 적의 수비병력이 있는 항만이나 항구도시를 점령한 자.
8. 적 군함을 노획하거나 격침시킨 자.
9. 위험을 무릅쓰고 적을 실은 배를 침몰시킨 자.
10. 단일임무에서 적기 5대이상 격추, 지상에 있는 적기를 8대 이상 파괴한 자.
11. 적 항만을 봉쇄하는 임무를 완수한 자.
12. 항공폭격 임무 수행 중 적 요새, 중요 항만, 항공모함 및 주력함과 중요 군사설비를 명중시켜 침몰시키거나 파괴하여 적 전력에 영향을 주거나, 적 주요 수송로를 폭격하여 수송과 보급을 막아 아군의 승리에 큰 도움을 준 자.
13. 정확한 정찰로, 적 정보를 알아내어 적에게 중대한 피해를 입히고 아군의 희생을 막은 자.
14. 적기 5대 이상 또는 적 전차 8대 이상을 노획한 자.

미국명예 훈장, 소련전승훈장에 버금가는 엄청난 공을 세워야 받을 수 있는 훈장이다.

2.1.3. 청천백일훈장


青天白日勳章
형상
[image]
제정
1929년 5월 15일
상위 훈장
국광훈장
하위 훈장
보정훈장
국광훈장 다음가는 2번째로 높은 훈장으로, 훈장에는 중화민국중국 국민당의 상징인 청천백일이 들어가 있다. 수훈조건은 '''외국의 침략에 대항하여 국가 안보에 탁월한 공헌을 세운 자'''로 가장 최근 수훈자는 헬기 추락 사고로 목숨을 잃은 선이밍참모총장이다.
한편, 중일전쟁 당시 중국 방위에 도움을 준 조셉 스틸웰도 이 훈장을 받을 기회가 2번 있었으나 장제스와의 사이가 최악이였던지라 2번 모두 수훈을 거부했다.

2.1.4. 보정훈장


寶鼎勳章
전체 형상
[image]
약장
[image]
1등훈장
[image]
2등훈장
[image]
3등훈장
[image]
4등훈장
[image]
5등훈장
[image]
6등훈장
[image]
7등훈장
[image]
8등훈장
[image]
9등훈장
제정
1929년 5월 15일
상위 훈장
청천백일훈장
하위 훈장
운휘훈장
대만에서 3번째로 높은 훈장으로 위의 청천백일훈장과 같은 날 제정되었다. 수훈조건은 역시 외침을 막고 국가 안보에 큰 도움을 준 자로, 위의 훈장들과는 다르게 이 훈장부터 훈등이 나눠져 1~4등급은 장성급 장교, 3~6등급은 교관급 장교, 4~7등급은 위관급 장교, 6~9등급은 준위사병에게 수여된다.
이름의 이 말해주듯 훈장 속에도 정이 그려져 있다.

2.1.5. 운휘훈장


雲麾勳章
전체 형상
[image]
약장
[image]
1등훈장
[image]
2등훈장
[image]
3등훈장
[image]
4등훈장
[image]
5등훈장
[image]
6등훈장
[image]
7등훈장
[image]
8등훈장
[image]
9등훈장
제정
1935년 6월 15일
상위 훈장
보정훈장
하위 훈장
충용훈장
중요한 공격을 성공하거나 내란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운 군인에게 수여되며, 역시 바로 위의 보정훈장과 마찬가지로 9등급으로 나눠진다.

2.1.6. 충용훈장


忠勇勳章
전체 형상[1]
[image]
제정
1944년 9월 23일
상위 훈장
운휘훈장
하위 훈장
충근훈장
중일전쟁이 한창이던 시기에 제정되었으며, 서훈기준은 외침을 막으며 용맹스럽게 싸우며, 부상당하거나 위험에 처한 상황에서도 전투를 지휘하며 승리를 거둔 군인이다.

2.1.7. 충근훈장


忠勤勳章
전체 형상
[image]
제정
1944년 9월 23일
상위 훈장
충용훈장
하위 훈장
대동훈장
위의 충용훈장과 같은 날 제정된 훈장으로 서훈기준은 10년 이상 복무하거나 문무를 겸비하고 국가와 국민을 위하여 끝없이 공헌한 군인이다. 3군공통으로 수훈할 수 있는 훈장은 이 충근훈장이 마지막이며 이하의 대동훈장부터는 공군에게만 수여된다.

2.2. 공군 전용


특이하게 유독 공군에게만 수여되는 훈장이 제정되어 있다. 육군과 해군 전용훈장은 없다는 점에서 보기드문 사례.

2.2.1. 대동훈장


大同勳章
형상
정장
[image]
약장
[image]
제정
1945년 6월 14일
상위 훈장
충근훈장
하위 훈장
하도훈장
공중이나 지상에서 뛰어난 지휘를 하거나 작전을 적절하게 수행하여 공격에 성공하거나 전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 공군 고위 지휘관에게 수여되며, 과거에는 공군 창설 주역들에게 수여되었다. 정장의 형상은 십자가 위에 대만의 국화매화가 올라간 모양이다.

2.2.2. 하도훈장


河圖勳章
형상
정장
[image]
약장
[image]
제정
1945년 6월 14일
상위 훈장
대동훈장
하위 훈장
낙서훈장
위의 대동훈장이 수훈대상이 공군 '''고위 지휘관'''으로 한정된것에 반해 이 하도훈장부터 공군 전 장병으로 수훈대상이 넓어졌다. 수훈조건은 전투에서 아군에게 임무 수행을 통해 큰 승리를 안겨준 군인 또는 '''1800시간'''이상 비행 및 '''600회''' 이상 전투출격이다.
이름에 하도가 들어간 것처럼 훈장에도 태극팔괘의 효시가 되는 그림인 하도가 들어가 있다.

2.2.3. 낙서훈장


洛書勳章
형상
정장
[image]
약장
[image]
제정
1945년 6월 14일
상위 훈장
하도훈장
하위 훈장
건원훈장
바로 위급인 하도와 묶여 '''하도낙서'''라 불리며 역시 동양사상의 효시가 되는 그림인 낙서가 들어가 있다.
수훈조건은 작전에 참여하여 전황을 유리하게 이끈 자 또는 1500시간 이상 비행 또는 500회 이상 전투 출격이다.

2.2.4. 건원훈장


乾元勳章
형상
정장
[image]
약장
[image]
제정
1945년 6월 14일
상위 훈장
낙서훈장
하위 훈장
부흥영예훈장
2단계 위의 하도훈장과 바로 위의 낙서훈장과 더불어 동양적인 냄새가 물씬 풍기는 디자인을 하고 있는 훈장으로, 작전에 참여하여 중대한 승리를 안겨준 자 또는 1200시간 이상 비행 또는 400회 이상 전투 출격을 한 사람에게 수여된다.

2.2.5. 부흥영예훈장


復興榮譽勳章
형상
정장[2]
[image]
약장
[image]
1등훈장
[image]
2등훈장
[image]
3등훈장
제정
1937년 12월 3일
상위 훈장
충근훈장
하위 훈장
항전승리훈장
한참 위의 운휘훈장 이후로 간만에 여러 등급으로 나눠진 훈장으로 각 등급의 수훈조건은 1등급이 적기 9대 이상 연속 격추 또는 전투 출격 300회 이상 또는 900시간 비행이며, 2등급은 적기 6대, 전투출격 250회 이상, 750시간 이상 비행, 3등급이 적기 3대 이상, 전투출격 200회 이상, 600시간 이상 비행이다.

2.3. 기념훈장



2.3.1. 항전승리훈장


抗戰勝利勳章
형상
정장
[image]
약장
[image]
제정
1945년 6월 14일
상위 훈장
부흥영예훈장
하위 훈장
국민혁명군출정10주년기념훈장
사진에서 보다시피 '''총통 각하'''의 얼굴이 대문짝만하게 들어가 있는 훈장으로 중일전쟁 중 훈공을 세운 중화민국 관민 및 전쟁 수행에 도움을 준 외국인들에게 수여되었다.

2.3.2. 국민혁명군 출정 10주년 기념훈장


國民革命軍誓師十週年紀念勳章
형상
정장
[image]
약장
[image]
제정
1936년 7월 8일
상위 훈장
항전승리훈장
하위 훈장
육해공군기장
바로 위의 훈장과 더불어 장제스의 얼굴 그림이 새겨져 있으며, 제정일자와 훈장의 이름을 보면 알 수 있듯 국민혁명 10주년을 기념하여 제정되었으며, 전체적인 형상은 이 당시 중국과 활발한 군사교류를 나누던 나치 독일철십자 훈장의 영향을 진하게 받은 듯한 모양이다.
한편 위로 국광훈장부터 시작하여 이 국민혁명군 출정 10주년 기념훈장이 훈장으로서는 마지막이며, 아래부터는 기장(獎章/장장)이다.

[1] 사진 좌측이 충용훈장이며, 우측은 9등 운휘훈장이다.[2] 사진은 3등훈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