ハレ晴レユカイ
'''맑게 맑게 유쾌하게'''
(ハレ晴レユカイ, Hare Hare Yukai)
풀버전으로 재편집된 영상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1기(2006년)의 엔딩곡이다.
작곡 타시로 토모카즈, 작사 하타 아키.
노래는 히라노 아야(스즈미야 하루히 역), 치하라 미노리(나가토 유키 역), 고토 유코(아사히나 미쿠루 역).
해당 애니메이션이 엄청난 인기를 얻으면서 덩달아 이 곡도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는데, 특히 엔딩 장면에 나온 춤이 시너지 효과를 제대로 일으켰다. 일명 '''하루히 댄스'''. 마침 이 작품이 방영되던 시기에 등장한 UCC 열풍과 맞물려 전세계에서 이 춤을 추거나 패러디한 영상을 쉽게 찾아 볼 수 있었다.
안무 제작자는 시리즈 연출가이자 엔딩 콘티를 담당하였던 야마모토 유타카. 평소에도 아이돌 그룹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베리즈코보[1] 등 당시 일본내 유명 아이돌 그룹의 안무영상을 보고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다만, 당시엔 베낀거 아니라고 박박 우기다 욕을 배부르게 먹었다.
==# 가사 #==
'''TV사이즈 굵게 표기'''
DVD/BD에 수록된 풀버전 댄스 영상의 원본.
3D 버전. 덧붙여서 SOS단원들의 복장이 판타지스러운건, 이게 원래 게임 영상특전이었기 때문이다. 그것도 SOS단원들을 이용해 판타지 계통 게임을 만들 수 있는 시스템이 도입된 게임의 특전이다.
스즈미야 하루히의 격주 中 '''실사''' 버전
극장판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이 한국에 개봉했을 때, 당시 신인이었던 걸스데이가 홍보 차 하루히 댄스를 선보였다. 댄스가 저 위의 풀버전과 뭔가 다르다고 느끼겠지만, 이게 실제로 3분짜리 풀버전 댄스가 맞다. 바로 아래 있는 스즈미야 하루히의 격동에 수록된 풀버전 댄스를 참조할 것.
Wii 게임 '''스즈미야 하루히의 격동'''에 수록된 풀버전 댄스. 바로 위에 있는 걸스데이의 댄스의 원본이다.
라마즈P가 보컬로이드로 커버한 영상. 사용한 보컬로이드는 하츠네 미쿠, 카가미네 린, 메구리네 루카.
버추얼 유튜버 키즈나 아이가 그리움(?)을 언급하며 춤을 췄다. 노래도 직접 부른 것은 덤.
전 블로거 리나가 부른 비공식 더빙판
'''EXPERT FULL COMBO 영상'''
'''HARD FULL COMBO 영상'''
일본판에 업데이트되기 전인 2018년 2월 말 한국 서비스 패치 받는 파일에서 발견되고 #, 같은 날 잠시 뒤 일본판도 마찬가지로 이름만 정해놓은 재킷이 발견되며 떡밥이 있었는데, 2018년 3월 9일에 방송된 1주년 기념방송에서 고마워, 1주년! 커버 악곡 추가 캠페인!으로 나올 예정이라고 발표되었고 2018년 3월 10일 수록되었다.
커버 보컬은 츠루마키 코코로, 미타케 란, 마루야마 아야.
길이는 CHUNITHM에 수록될 때와 비슷한 정도라 혼의 루프란이나 Secret Base보다 약간 짧아서 상당히 긴 편이며, 노트는 1000개가 약간 안 되는 정도라 로스트 원의 호곡이 26레벨 최초로 1000개 돌파전까진 26레벨중 1위 였다.
God knows...를 부른 사람과 동일해서 이 곡 또한 마찬가지로 일본 외의 서비스에는 수록되지 않았다.
컷팅은 애니 버전에다 1절에서 잘린 부분이 약간 추가되었다. 그래서 もってけ!セーラーふく처럼 수록곡 중에 짧은편. 이펙터 명의는 cosMo@暴走P에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의 1권~4권 제목을 섞은 것.
MXM 손배치 포함 PUC 영상
일반적으로 해당 레벨대에서 쉬운 편인 애니송들과는 달리 17레벨 상위권의 만만치 않은 채보로, 비비드 웨이브 시점 애니송 보스곡 자리에 있다.
BPM이 훨씬 낮긴 하지만 Everlasting Message GRV의 양 FX+BT 동시치기 패턴이 그대로 등장하고, 그 외에도 까다로운 FX 복합 동시치기가 지속적으로 몰아친다. 바쁜 손이동을 요구하는 원핸드 패턴이 꽤 많으며, 특히 하이라이트의 직각노브+원핸드 패턴에 주의. 후반에는 왼손으로 양쪽 FX를 잡은 채 오른손으로 BT-A의 노트를 처리해야하는 교차노트 패턴까지 등장한다. 이렇듯 17레벨에서 보기 힘든 패턴이 많아 초견살 요소도 어느 정도 있는 편.
(ハレ晴レユカイ, Hare Hare Yukai)
1. 개요
풀버전으로 재편집된 영상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1기(2006년)의 엔딩곡이다.
작곡 타시로 토모카즈, 작사 하타 아키.
노래는 히라노 아야(스즈미야 하루히 역), 치하라 미노리(나가토 유키 역), 고토 유코(아사히나 미쿠루 역).
해당 애니메이션이 엄청난 인기를 얻으면서 덩달아 이 곡도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는데, 특히 엔딩 장면에 나온 춤이 시너지 효과를 제대로 일으켰다. 일명 '''하루히 댄스'''. 마침 이 작품이 방영되던 시기에 등장한 UCC 열풍과 맞물려 전세계에서 이 춤을 추거나 패러디한 영상을 쉽게 찾아 볼 수 있었다.
안무 제작자는 시리즈 연출가이자 엔딩 콘티를 담당하였던 야마모토 유타카. 평소에도 아이돌 그룹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베리즈코보[1] 등 당시 일본내 유명 아이돌 그룹의 안무영상을 보고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다만, 당시엔 베낀거 아니라고 박박 우기다 욕을 배부르게 먹었다.
==# 가사 #==
'''TV사이즈 굵게 표기'''
2. 관련 영상
DVD/BD에 수록된 풀버전 댄스 영상의 원본.
3D 버전. 덧붙여서 SOS단원들의 복장이 판타지스러운건, 이게 원래 게임 영상특전이었기 때문이다. 그것도 SOS단원들을 이용해 판타지 계통 게임을 만들 수 있는 시스템이 도입된 게임의 특전이다.
스즈미야 하루히의 격주 中 '''실사''' 버전
극장판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이 한국에 개봉했을 때, 당시 신인이었던 걸스데이가 홍보 차 하루히 댄스를 선보였다. 댄스가 저 위의 풀버전과 뭔가 다르다고 느끼겠지만, 이게 실제로 3분짜리 풀버전 댄스가 맞다. 바로 아래 있는 스즈미야 하루히의 격동에 수록된 풀버전 댄스를 참조할 것.
Wii 게임 '''스즈미야 하루히의 격동'''에 수록된 풀버전 댄스. 바로 위에 있는 걸스데이의 댄스의 원본이다.
라마즈P가 보컬로이드로 커버한 영상. 사용한 보컬로이드는 하츠네 미쿠, 카가미네 린, 메구리네 루카.
버추얼 유튜버 키즈나 아이가 그리움(?)을 언급하며 춤을 췄다. 노래도 직접 부른 것은 덤.
전 블로거 리나가 부른 비공식 더빙판
3. 리듬 게임 수록
3.1. CHUNITHM 시리즈
- 칭호
- 2인 1미스: "禁則事項です♪" (금칙사항이에요♪)
- EXPERT 이상 풀콤보: "ただの人間には興味ありません。この中に宇宙人、未来人、異世界人、超能力者がいたら、あたしのところに来なさい。以上。" (평범한 인간에게는 흥미 없습니다. 이 중에 우주인, 미래인, 이세계인, 초능력자가 있다면, 저에게로 오십시오. 이상.)[3]
- 풀체인: "SOS団" (SOS단)
3.2.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EXPERT FULL COMBO 영상'''
'''HARD FULL COMBO 영상'''
일본판에 업데이트되기 전인 2018년 2월 말 한국 서비스 패치 받는 파일에서 발견되고 #, 같은 날 잠시 뒤 일본판도 마찬가지로 이름만 정해놓은 재킷이 발견되며 떡밥이 있었는데, 2018년 3월 9일에 방송된 1주년 기념방송에서 고마워, 1주년! 커버 악곡 추가 캠페인!으로 나올 예정이라고 발표되었고 2018년 3월 10일 수록되었다.
커버 보컬은 츠루마키 코코로, 미타케 란, 마루야마 아야.
길이는 CHUNITHM에 수록될 때와 비슷한 정도라 혼의 루프란이나 Secret Base보다 약간 짧아서 상당히 긴 편이며, 노트는 1000개가 약간 안 되는 정도라 로스트 원의 호곡이 26레벨 최초로 1000개 돌파전까진 26레벨중 1위 였다.
God knows...를 부른 사람과 동일해서 이 곡 또한 마찬가지로 일본 외의 서비스에는 수록되지 않았다.
3.3. 사운드 볼텍스
컷팅은 애니 버전에다 1절에서 잘린 부분이 약간 추가되었다. 그래서 もってけ!セーラーふく처럼 수록곡 중에 짧은편. 이펙터 명의는 cosMo@暴走P에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의 1권~4권 제목을 섞은 것.
MXM 손배치 포함 PUC 영상
일반적으로 해당 레벨대에서 쉬운 편인 애니송들과는 달리 17레벨 상위권의 만만치 않은 채보로, 비비드 웨이브 시점 애니송 보스곡 자리에 있다.
BPM이 훨씬 낮긴 하지만 Everlasting Message GRV의 양 FX+BT 동시치기 패턴이 그대로 등장하고, 그 외에도 까다로운 FX 복합 동시치기가 지속적으로 몰아친다. 바쁜 손이동을 요구하는 원핸드 패턴이 꽤 많으며, 특히 하이라이트의 직각노브+원핸드 패턴에 주의. 후반에는 왼손으로 양쪽 FX를 잡은 채 오른손으로 BT-A의 노트를 처리해야하는 교차노트 패턴까지 등장한다. 이렇듯 17레벨에서 보기 힘든 패턴이 많아 초견살 요소도 어느 정도 있는 편.
4. 여담
- 2020년 4월 26일에 코로나19로 인한 집 머물기 운동 일환으로 하루히의 성우 히라노 아야가 집에서 잠옷 차림으로 직접 춤을 추는 영상을 트윗에 올렸다. 그리고 얼마 안 지나 쿈의 성우 스기타 토모카즈가 리트윗을 하며 자긴 안 춘다고 말하고서도 결국은 추는 영상을 올린다. # 또, #시라이시 미노루도 합류했다. 여담이지만 일주일 뒤에 히라노 아야의 소속사 동료이자 전 SKE48 멤버인 마츠이 레나도 이 춤을 추는 영상을 올렸다.
- 플라티나 재즈가 편곡한 재즈 버전
- 엔딩 크레딧에서 쿈이 루돌프 코스프레를 하고 전골(나베)를 먹는 장면이 잠깐 나오는데,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의 후일담을 그려낸 일종의 이스터 에그이다.
소실에서 바뀐 미래로 날아간 쿈은 이래저래 고군분투한 끝에 원래세계로 돌아와 병원 침대에서 깨어나게 되는데, 코이즈미 이츠키의 말에 따르면 (본래 시간대의) 쿈은 SOS단 내에서 기획한 크리스마스 파티 준비를 하던 날 저녁 계단에서 굴러 떨어져서 3일 동안이나 의식불명 상태에 있었다고 한다. 당시 사고를 직접 목격한 하루히는 큰 충격을 받고 병원에서 숙식을 해결하며 쿈의 옆을 지켰는데, 쿈이 깨어났다는 사실을 확인하자 부원들을 걱정시킨 벌로 루돌프 분장하고 개인기를 선보이라는 장난스러운 벌칙을 제시했다. 즉, 엔딩장면은 이 벌칙수행 과정을 보여주는 것. 참고로 이 부분은 원작에서도 묘사되지 않은 부분이다.
참고로 소실 애니메이션이 2010년에 나왔다는 것을 감안하면 2006년부터 소실의 미디어화를 염두에 두고 있었던 듯 하다.
참고로 소실 애니메이션이 2010년에 나왔다는 것을 감안하면 2006년부터 소실의 미디어화를 염두에 두고 있었던 듯 하다.
- 나가토 유키짱의 소실/애니메이션 오프닝은 이 곡을 오마주했다. 멜로디 진행과 효과음은 물론, 가사까지 비슷하다.[4] , 특히 첫 소절의 なぞなぞ~부분은 아예 똑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