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병철의 양아들
1. 설명
2007년 롯데 자이언츠 감독이었던 강병철의 비호 아래에 성적이 막장이더라도 자주 출전했던 선수들을 일컫는 말. 꼭 롯데에만 존재했던 건 아니고 강병철이 있던 팀(ex. SK 와이번스, 한화 이글스)에도 존재했고 간간이 회자되는 명칭이다. 대표적인 선수로는 이진영과 채종범.
2006~07년 롯데에서는 강영식, 김주찬, 이인구, 이원석, 강민호, 이승화등이 여기에 해당하며 강 감독의 롯데 재임 시절 전체로 소급할 경우 롯데의 영원한 주장 박정태를 비롯한 여러 명의 올드 플레이어들도 포함된다. 정확히 말하면 1980~90년대 롯데의 짧은 전성기를 이끌었던 선수들 대부분이 이에 해당한다.
이 용어가 대중적으로 퍼지게 만든 2006~07년의 양아들들은 대부분이 매번 찬스에선 찬물을, 수비에선 실책을, 위기 때는 방화를 저지르는 등, 롯데 팬들의 복장을 뒤엎어버리는 선수들로 강병철 감독은 엄청난 비난을 들으면서도 이들에게 지속적으로 기회를 부여했다. 그러했던 탓에 '강영식(?)', '강주찬', '강인구'등 강병철의 양아들이라는 식의 호칭이 붙었다. 강민호는 아예 성씨도 같다 보니 강병철의 '''친아들''', 내지는 '''친척'''이라는 소문이 파다했다.
실제 출장의 이유는 별거 없다. 다른 선수들에 비해 의욕적이고 성실했으며 확실한 자질을 갖춘 선수들이었기 때문이었다. 사실 강 감독은 이들 외에도 서정호, 김문호, 손용석 등 롯데의 젊은 야수들은 전부다 몇번씩 기회를 부여하며 테스트를 했는데 본인의 자질이나 성실성에 문제를 보인 이들은 떨어져 나가고 중용된게 위에 나온 양아들 들이었다. 가히 야구계의 아르센 벵거라고 할수 있을 정도로 어린 선수들을 좋아했다.
그러나 프로는 실력, 더 정확히 말하면 결과로 말하는 법이다. 간혹 신인이 나오자마자 리그를 씹어먹는 이런 경우도 있긴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극소수의 예외적인 사례일 뿐 대개의 경우 젊은 선수 하나 키우는 데는 몇 년의 세월이 걸린다. 그러나 당시 한창 비밀번호를 찍고 있었던 상황에서 다시 저만큼의 세월을 더 기다려주기엔 롯데 팬과 프런트는 너무 성급했다. 그렇게 강병철 감독은 롯데에서 잘렸으며, 그의 양아들들도 그저 강병철 감독의 양아들 내지는 만년 유망주 정도로 이대로 잊혀지는가 싶었다. 하지만...
새로운 감독이 부임한 2008시즌에 모든 것이 달라지게 된다. 강민호는 타격이 되는 포수의 면모를 보여주면서 베이징 올림픽을 시작으로 이만수-박경완을 잇는 역대급 포수로 성장했고, 강영식은 투수조련사 선동열조차 포기했다는 오명을 씻으면서 상시에 랜디영식 모드가 되었으며 롯데가 사상 처음 가져보는 필승계투진의 주축 멤버가 되었다.
김주찬은 2008 시즌 초반의 롯데 돌풍에 있어서 부상으로 한달간 빠지기 전까지 큰 역할을 했다가 후반기에 다시 큰 활약을 하면서 돌풍의 주역이 되었으며, 이인구는 기자들이 경직된 롯데 1군과 2군의 유동성을 말할때 반드시 언급될 정도로 2군에서 상당한 성적을 보여주다가, 정수근의 이탈로 삐걱거릴 뻔 한 롯데를 위기에서 구해내며 준플레이오프 까지 뛰어난 테이블 세터 로서 크게 활약했다. 로이스터 감독의 이대호 3루수 고정으로 출전 기회가 없었던 이원석은 두산 베어스로 가서 폭발했다. 그리고 삼성으로 팀을 옮기고 장타력까지 터졌다.
결과적으로, 강병철 감독의 양아들들, 특히 롯데시절에 자주 애용했던 선수들은 모두 포텐셜을 터뜨리거나 크게 성장해서 2008시즌 후반의 로이스터 매직, 나아가 2010년대 초반까지 이어진 5년 연속 PS 진출의 주축이 되었다. 강병철 감독의 눈은 정확했다. 자신이 감독일 때 활약을 못해줬을뿐이지.
2017 시즌 종료 후 '''강영식과 이우민이 은퇴하고 강민호는 삼성으로 떠나면서 강병철의 양아들들은 모두 롯데를 떠났다.'''
2. 강병철의 양아들 리스트
보통 양아들 소리를 듣는 선수들이 크게 성공하는 경우는 드문 편이지만, 강병철 감독은 그의 양아들 소리를 듣던 선수들이 나중에 팀전드나 크보전드급의 스타 플레이어로 성장한 경우가 다른 감독들에 비해서도 유독 많은 편이다. 실제로 볼드체로 표시된 선수들을 보면 하나같이 준수한 기록을 남겼음을 볼 수 있다. 심지어 성구회 멤버가 2명이다... 때문에 그의 감독 커리어가 사실상 종료된 2010년대의 시점에서 강병철 감독에 대한 평가는 그가 현역으로 활동하던 시절의 "단기전 승부사"가 아니라[1] "야수 리빌딩 전문가"로 굳어지는 분위기이다.
[1] 강병철은 KBO에서 2회 이상 우승한 감독 중 유일하게 모든 우승이 업셋 우승인 감독이며 KBO 역사에 한획을 그은 감독들인 김영덕(84, 92 2번), 김성근, 김응용을 모두 물리치고 우승해본 감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