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1. 개요
2.1. 검찰에서
2.1.1. 출신 인물
3. 상품기획
3.1. 출판기획
5. 영상 산업
6. 공연 기획, 문화콘텐츠 기획
7. IT서비스 기획
9. 품질기획
10. 생산기획
11. 재무전략
12. 메뉴 기획
13. 컨벤션기획


1. 개요


어떠한 일을 계획(planning)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조직관리에서 쓰이는 용어이다.

2. 공공기관, 공기업에서


공무원에 있어서 기획은 매우 요직이다. 고위직 공무원들은 명령과 지시를 내리고 하위직 공무원들을 지휘·통제하는 것이 기획이다. 다만 그만큼 요직이다보니 일의 강도가 매우 높아 과로사가 가장 많은 직렬과 동시에 남초 현상이 매우 강한 공무원 직렬이기도 하다. 당장 예를 들어 기획재정부 등이 있다. 비단 우리나라 공무원들뿐 아니라 전세계 공무원들도 기획 직렬은 요직으로 인정한다.

2.1. 검찰에서



법무부대검찰청에서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검사를 보통 기획통이라고 부른다.

2.1.1. 출신 인물


  • 금태섭: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
  •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1]
  • 최교일: 자유한국당 국회의원 #
  • 안태근: 전 법무부 검찰국장
  • 권익환: 전 서울남부지방검찰청 검사장
  • 강남일: 전 대검찰청 차장검사, 대전고등검찰청 검사장
  • 정병두: 전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장
  • 신경식: 전 수원지방검찰청 검사장
  • 송찬엽: 전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
  • 안상돈: 전 서울북부지방검찰청 검사장
  • 심우정: 법무부 기획조정실장
  • 김희관: 전 법무연수원장
  • 조성욱: 전 대전고등검찰청 검사장
  • 봉욱: 전 대검찰청 차장검사
  • 진경준: 전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
  • 변찬우: 전 대검찰청 강력부장
  • 정수봉: 전 광주지방검찰청 차장검사
  • 권정훈: 전 대전지방검찰청 차장검사
  • 전현준: 전 대구지방검찰청 검사장
  • 김주현: 전 대검찰청 차장검사
  • 김수남: 전 검찰총장[2]
  • 이창재: 전 법무부차관
  • 김진모: 전 서울남부지방검찰청 검사장
  • 조남관: 대검찰청 차장검사
  • 장호중: 전 부산지방검찰청 검사장
  • 조상철: 서울고등검찰청 검사장
  • 국민수: 전 서울고등검찰청 검사장
  • 한상대: 전 검찰총장
  • 박균택: 전 법무연수원장
  • 신유철: 전 서울서부지방검찰청 검사장
  • 장영수: 대구고등검찰청 검사장
  • 권순정: 전주지방검찰청 차장검사
  • 윤장석: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
  • 석동현: 전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
  • 오세인: 전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3]
  • 권순범: 부산지방검찰청 검사장
  • 황철규: 전 부산고등검찰청 검사장
  • 정인창: 전 부산지방검찰청 검사장
  • 문성우: 전 대검찰청 차장검사
  • 길태기: 전 대검찰청 차장검사
  • 이금로: 전 수원고등검찰청 검사장
  • 김우현: 전 수원고등검찰청 검사장
  • 김후곤: 서울북부지방검찰청 검사장
  • 백종수: 전 부산지방검찰청 검사장
  • 김현웅: 전 법무부장관
  • 강경필: 전 대검찰청 공판송무부장
  • 홍승욱: 전 서울동부지방검찰청 차장검사, 대전지방검찰청 천안지청장
  • 김남우: 전 서울동부지방검찰청 차장검사
  • 고기영: 전 법무부차관
  • 송정호: 전 법무부장관
  • 이정수: 법무부 검찰국장
  • 곽상욱: 전 대검찰청 형사부장, 전 감사원 감사위원
  • 문영호: 전 수원지방검찰청 검사장
  • 이정수: 전 대검찰청 차장검사
  • 성상헌: 부산지방검찰청 제2차장검사
  • 홍경식: 전 청와대 민정수석
  • 김호철: 전 대구고등검찰청 검사장
  • 이승구: 전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
  • 신자용: 전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제1차장검사, 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장
  • 조종태: 대검찰청 기획조정부장
  • 문홍성: 수원지방검찰청 검사장
  • 변필건: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형사1부장
  • 이준식: 인천지방검찰청 부천지청장
  • 박세현: 서울고등검찰청 검사
  • 이창수: 대검찰청 대변인
  • 박민표: 전 대검찰청 강력부장

3. 상품기획


기업의 마케팅 전략을 세우고 상품의 마케팅을 총괄하는 직무의 일종. 식품, 패션업계에서는 MD라고 한다. 자동차 제조사에도 존재하는 직무.
제조사의 생산 부서에서 제조한 상품을 어떻게 유통사에 넘기느냐를 관리한다. 유통사에서는 제조사에 컴플레인을 넣고, 제조사의 상사들은 매출을 관리하고 판촉이나 재고관리를 할 것을 지시한다.
이들은 트렌드에 맞는 상품을 발굴하는 것이 주 업무다. 그래서 시장조사를 살펴보는 등의 활동도 하지만 소비자를 대면하는 유통업체에 직접 다녀보거나 현장 점원들에게 질문하는 등의 방식으로도 정보를 수집한다.

3.1. 출판기획


출판사의 직무로, 출판물을 기획하는 점은 일반적인 상품기획과 같지만 홍보물 제작, 편집 에디팅, 교열/교정 등도 이들이 담당한다는 점이 다르다.

4. 전략기획


기업의 경영전략을 세우는 직무의 일종. 전략기획 문서로. 아웃소싱할 경우 전략컨설팅이 이 역할을 맡는다.

5. 영상 산업


영상산업에서 기획은 전략기획 직무와는 다르다. 주로 캐릭터 디자인, 시나리오의 시각화, 캐스팅, 예산서와 작업 스케줄 작성 등을 말한다. 프리프로덕션(Preproduction)이라고 하기도 한다. 이런걸 하는 사람을 기획자라고 부른다. 머리속의 생각을 시각화하기 위한 작업으로 스토리보드(콘티)가 기본이 된다.

6. 공연 기획, 문화콘텐츠 기획


공연을 할 때 무대를 제작, 설치하고 홍보를 담당한다. 예술경영 지원인력으로서 해당 단체의 예술인들이 하지 못하는 홍보, 마케팅, 총무 업무를 이들이 다 맡게 된다. 그래서 사무처리 컴퓨터 프로그램 활용능력이 필수적이다.
장점은 다양한 아티스트를 만날 수 있다는 것.
단점은 워낙에 하고 싶은 사람이 많은 데 비해 자리가 극히 제한되어 있다는 것. 이 때문에 경쟁력을 얻으려고 예술경영 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가 많다.
하고 싶은 사람이 많은 만큼 실수 한 번 하면 나락으로 떨어진다. 이쪽 업계가 좁은 만큼 소문이 순식간에 퍼져서 재기가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공연 기획자는 꿈을 꾸는 직업이다. 본인이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보람도 느끼고, 돈도 벌 수 있다.

7. IT서비스 기획



7.1. UI/UX 기획


UI, UX 디자인 문서로.

7.2. 게임 기획자


게임 개발자의 일종이다. 내용은 게임 기획자 문서로.

8. 광고기획


마케팅 관련 업계의 일종으로, 기업체의 마케팅 부서가 마케팅 전략을 세우면 광고기획사는 그 전략에 맞는 광고의 줄거리를 짜고 광고를 인쇄하거나 촬영하는 등의 업무를 맡는다.
창작물에 나오는 질풍기획 역시 광고기획사다.

9. 품질기획


품질관리 문서로. 특성상 대졸로 바로 뽑지는 않고 적어도 4년 이상의 생산관리 경력이 필요하다. 외주를 줄 경우 오퍼레이션 컨설팅에 속한다.

10. 생산기획


생산관리 문서로. 특성상 대졸로 바로 뽑지는 않고 적어도 4년 이상의 생산관리 경력이 필요하다. 외주를 줄 경우 오퍼레이션 컨설팅에 속한다.

11. 재무전략


학술적으로는 경영전략의 하부전략으로서 전체적 전략 및 사업전략을 지원하기 위한 자산의 효율적 사용방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업의 자본조달, 배당, 투자에 관한 전략을 말한다. 물론 재무전략 교과서들 역시 이쪽 방향에서 접근하고 있다. 자본조달에 대해서는 투자은행, IPO 등의 문서를 참고할 것. 투자에 대해서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리스크, 자산운용사, 국제경영론, 해외직접투자 등의 문서를 참고할 것.
통상적으로 채용에서 재무전략이라 하면 재무전략기획 양쪽에 전문성을 지닌 부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M&A 재무전략 전문가 채용은 M&A에 대한 재무적, 전략기획적 이해가 필요하다.
정부의 경우 기획재정부나 각 부처의 예산실이 재무전략의 역할을 담당한다.

12. 메뉴 기획


주로 요식업 프랜차이즈 업체나 대규모 급식업체, 편의점 도시락 업체에서 뽑는 직무다. 맛있는 메뉴를 개발한다. 특성상 요리사식품영양학과 출신들이 주로 들어간다. 하지만 전문대졸 이상이면 학력과 상관이 없고 요리를 할 줄 아는 사람이 많기에 전반적으로 급여가 낮은 편이고, 대기업에서도 전졸 직급으로 채용하기 때문에 급여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13. 컨벤션기획


의전(protocol), 국제회의 기획에 관련된 분야. 대체로 총무 부서의 업무.


[1] 기획통인 동시에 공안통으로도 분류된다.[2] 특수통, 공안통으로도 분류된다.[3] 공안통으로 분류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