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운동/역사

 




1. 개요


노동운동의 역사를 나라별 및 지역별로 나누어 소개하는 문서이다.
참고로 이 문서에서 소개될 노동운동의 역사는 대부분이 근대 이후이다. 왜냐하면 본격적인 노동운동의 시작은 자본주의산업혁명이 도래한 19세기부터이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 들어서 비로소 노동자자본가의 계급이 형성되었고 이들 간의 갈등이 본격화되면서 노동운동이 발호하였다. 노동운동은 공장이 세워지고 노사관계가 확립된 모든 지역으로 파급되어 노동자 혹은 지식인, 학생 등에 의해 이루어졌다. 또한 노동자들에 의해 노동조합이 건설되어 노동운동의 조직성과 활동성이 커졌다. 여기에 대해 국가와 자본은 극렬한 탄압을 가했고, 노동자들은 여기에 대응하여 치열한 노동운동을 벌여야 했다. 그러므로 노동운동의 역사는 "'''노동자들의 조직과 투쟁, 그리고 국가와 자본의 탄압과 그에 대한 저항'''"으로 요약할 수 있다.

2. 대한민국




2.1. 구한말 ~ 일제강점기


[image]
[image]
을밀대에서 농성 중인 노동운동가 강주룡
원산 총파업 당시 집결한 한인노동자들

(황해도 웅진군 암기농장의) 여공의 생활은 실로 참담합니다. 임금은 불과 이십전 내지 사십전입니다. 아침에 출근이 좀 늦으면 오전씩 벌금을 받고, 점심 시간에 좀 늦으면 십전, 코를 한번 잘못 풀어도 오전 내지 십전, 너무 곤하여 잠깐 조는데도 으레 십오전씩... 어떠한 때에는 임금보다 벌금이 많게 되어... 더 심하면 구타까지도 능사로 하여 온다 합니다.

동아일보 1927년 10월 21일자

우리는 결속력으로 대항할 것이요, 결코 완력으로써 맹동하지 말 것. 방금 우리는 금주기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쟁의를 핑계로 음주하지 말 것. 우리는 항상 규율을 정연하게 하여 진용을 문란하게 하지 말 것. 식료품, 기타 생활비를 가급적 절약하여 지구전에 대비할 것. 일시 명동으로 인하여 무의미한 희생을 않도록 할 것.

원산 총파업 당시의 행동 지침


2.2. 해방 이후 ~ 1950년대


[image]
[image]
1945년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창립대회
1946년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창립대회

2.3. 1960년대 ~ 1970년대


[image]
교원노조의 합법화 투쟁
[image]
[image]
[image]
전태일
전태일의 분신자살 (재연 장면)
영정을 껴안고 우는 어머니

평화시장 내의 피복가공 공장은 4백여 개나 되는데, 이들 대부분의 작업장은 건평 2평 정도에 재봉틀 등 기계와 함께 15명씩을 한데 넣고 작업을 해 움직일 틈이 없을 정도로 작업장은 비좁다. 더구나 작업장은 1층을 아래위 둘로 나눠 천장의 높이가 겨우 1.6m 정도밖에 안돼 허리를 펼 수 없을 정도인데 이와 같이 좁고 낮은 방에 작업을 위해 너무 밝은 조명을 해 이들 대부분은 밝은 햇빛 아래서는 눈을 똑바로 뜰 수 없다고... (중략) 이 밖에도 이들은 옷감에서 나는 먼지가 가득 찬 방안에서 하루 종일 일해 폐결핵, 신경성 위장병까지 앓고 있어 성장기에 있는 소녀들의 건강을 크게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향신문 1970년 10월 7일자

'''근로기준법을 보장하라!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 내 죽음을 헛되이 말라!'''

전태일이 분신자살하면서 외친 구호

[image]
[image]
동일방직 똥물 사건의 피해 여성
YH 사건 당시 신민당사에서 농성하는 여성노동자

'''"우리는 똥을 먹고 살 수 없다!"'''

동일방직 여성노동자들의 외침

"100억 불 수출을 달성했다고 거리는 들떠 있는데 저희들은 왜 이렇게 외로워야만 합니까. 다들 잘 살게 되었다는데, '''모두들 경제가 성장했다고들 하는데 저희들은 왜 이렇게 배가 고픕니까'''... 알 수가 없습니다... 저희들은 누구를 위해 일해 왔으며 또 일해야 합니까?

1978년 원풍모방 노동자 장남수의 한탄


2.4. 1980년대


[image]
[image]
사북사건 당시 거리에 운집한 광부들과 가족들
구로동맹파업 당시 사무실을 점거한 노동자들

4월 21일부터 4일 간에 걸쳤던 사북 광산노동자들과 주민들의 대규모 항쟁은 그들의 삶과 생활을 위협하고 있던 노동조건의 개선, 최저 생활비 보장, 직업병 등에 대한 구제책 마련, 노조 민주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의 실현 등을 보지 못한 채 일시적인 사건수습 차원에서 끝을 맺었다.... 그러나 광산노동자들의 목숨과 맞바꾸고 있는 열악한 노동조건과 살인적 임금구조가 개선되지 않는 한, 노동자들의 최소한의 생존 요구인 노동조합민주화와 이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및 노동정책의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사북항쟁은 계속될 노동자 항쟁에 서막에 불과'''할 것이다.

황인오, 「사북사태 진상보고서」 맺음 中

[image]
[image]
시위 중 최루탄에 의해 사망한 노동자 이석규의 장례식
[image]
현대그룹 계열사 소속 노동자들의 봉기
1989년 세계노동절 100주년 한국노동자대회

2.5. 1990년대


[image]
[image]
1990년 전국노동조합협의회 회원들의 행진
1991년 의문사한 노동자 박창수의 시신을 탈취하는 백골단
[image]
[image]
1995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창립대회
1996년 노동법 날치기 당시 총파업 보도기사

2.6. 2000년대 이후



3. 중국



4. 일본



5. 미국


[image]
[image]
헤이마켓 사건 기록화
러들로 학살 직후의 광부 천막촌

우리도 이제 노동일은 않을테야 / 일해 봐도 보람도 없는 그런 일은 않을 테야 / 겨우 연명할 만큼 주면서 생각할 틈조차 안 주다니 / 진절머리 난다네 / 우리도 햇빛을 보고 싶다네 / 꽃내음도 맡아보고 싶다네 / 하나님이 내려주신 축복인데 우린들 아니 볼 수 없다네 / 우리는 여덟 시간만 일하려네 / 조선소에서 공장에서 그리고 점포에서 / 우리는 힘을 길러왔다네 / '''이제 우리는 여덟 시간만 일하세''' / '''여덟 시간은 휴식하고''' / '''남은 여덟 시간으로 하고 싶은 일을 해 보세'''

1886년 5월 1일, 노동자들이 시가행진 때 부른 노래

만약 그대가 우리를 처형함으로써 노동운동을 쓸어 없앨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렇다면 우리의 목을 가져가라! 가난과 불행과 힘겨운 노동으로 짓밟히고 있는 수백만 노동자의 운동을 없애겠다면 말이다. 그렇다. 당신은 하나의 불꽃을 짓밟아 버릴 수 있다. 그러나 당신의 앞에서 뒤에서, '''사면팔방에서 불꽃은 꺼질 줄 모르고 들불처럼 타오르고 있다.''' 그렇다. 그것은 들불이다. 당신이라도 이 들불을 끌 수 없으리라.

헤이마켓 사건으로 사형 선고를 받은 어거스트 스파이즈(August Spies)의 최후 진술


6. 영국


[image]
[image]
러다이트 운동 기록화
1888년의 성냥공장 노동자들
[image]
[image]
영국 광부 파업 당시 대치하는 시위대와 경찰
파업 광부들과 성소수자들과의 연대투쟁
그 외 차티스트 운동도 영국 노동사, 아니 세계 노동운동사의 중요한 사건이다.

7. 프랑스


[image]
거리에서 바리케이트를 쌓는 파리코뮌

8. 독일


[image]
1920년, 극우파 군인의 쿠데타에 항거하는 총파업 시위대

9. 동유럽


[image]
폴란드 연대노조]의 자유화 운동

10. 서유럽



11. 남유럽



12. 북유럽



13. 북아메리카



14. 라틴아메리카



15. 동아시아



16. 서아시아



17. 남아시아



18. 중앙아시아



19. 북아프리카



20.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