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드라마
1. 개요
1990년대 대히트했던 타케우치 나오코의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을 원작으로 한 10주년 기념 특촬물. 총 49화이며 토카이 지역의 JNN 계열국 주부니혼방송에서 2003년 10월 4일부터 2004년 9월 25일까지 방영하였다. 완결편 방영 이후 팬들을 위해 4년 후의 이야기를 다룬 <Special Act>와 아이노 미나코가 세일러 V가 되는 이야기를 다룬 <Act Zero>가 OVA로 발매되었다.[1] 1부 26화를 방영하고 2부로 넘어가기 전인 2004년 5월 2일에는 도쿄 유라쿠초 요미우리홀에서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키라리 슈퍼 라이브>가 성황리에 열리기도 했다.
제작진은 CP 시라쿠라 신이치로, 감독 타사키 류타, 각본 코바야시 야스코로, 본작 제작 전에는 가면라이더 류우키를 제작했던 팀이다.
2. 특징
'''여아 대상 특촬물.''' 특촬물은 흔히 슈퍼전대 시리즈나 가면라이더 시리즈 등의 남아 대상 특촬물을 떠올리기 쉽지만, 과거 미소녀가면 포와트린 등의 여아 대상도 많이 나왔다. 즉 세일러문 드라마 또한 여아 대상 특촬물의 일환으로 기획된건데, 기존의 원작/애니를 본 시청자들 사이에서 호불호가 많이 갈리지만 '''원작과 차별화된 스토리 라인 및 캐릭터 등의 작품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스토리는 구 애니메이션 1기의 다크 킹덤과의 대결을 기반으로 하되 세부적인 내용은 사실상 오리지널로 새롭게 구성했고, 캐릭터 또한 원작/애니의 기본적인 설정만 따왔을뿐 세세한 특징은 원작/애니와 다르다. 일례로 다크 킹덤과의 최종 결전은 원작/애니와 전혀 다르고 세일러 전사 개개인에 대한 오리지널 스토리가 있으며, 또한 원작/애니 공히 별다른 특징도 비중도 그저 그랬던 우사기의 엄마가 드라마에서는 은근히 비중이 높고 약방의 감초 역할을 하면서 개그 캐릭터로 급부상한다.
또한 원작/애니에선 딱히 부각되지 않았던 오사카 나루 - 미즈노 아미의 관계가 다뤄지고 원작/애니에서 아이돌 지망생 소녀였던 아이노 미나코가 초인기 아이돌로 등장한다든가, 원작/애니에서 초절정 꽃미남이었던 게임센터 알바생 모토키가 덜 떨어진 거북이 오덕인 노래방 알바생으로 등장하여 키노 마코토와 연애라인을 형성한다던가, 다크 킹덤의 사천왕이 자신들의 세뇌 사실을 깨닫고 내부분열이 일어나 자체 괴멸한다던가, 알고 보니 작품 내 악의 원흉이자 최종보스로 등극하는 캐릭터가 바로 근처에 있었다던가 등등의 여러 오리지널 스토리 및 설정 덕분에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던 것.
물론 원작자 타케우치 나오코의 요구를 받아들여서 세일러 마스를 진지한 캐릭터로 표현한다거나, 사천왕이 엔디미온의 부하였다던가 하는 부분 등을 살리기도 했다. 구작 애니메이션이 원작과는 다르게 일상 에피소드를 100% 개그화 시켜버린데다 이로 인해 세일러 전사들마저 죄다 개그 캐릭터로써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하는 등, 원작자 입장에서는 그닥 유쾌하지 않았던 탓에 드라마에 대해서는 원작자의 의중이 상당 부분 반영되었다.
한편으로는 변신 아이템이 원작과 많이 다른데, 예를 들면 원작 변장펜의 역할인 피처폰 텔레티아S로 상대를 찍으면 그 복장대로 입혀지고 무기도 다르다. 또한 주인공 우사기는 브로치와 립스틱으로 변신하고 다른 세일러 전사들은 팔찌로 변신한다.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린 것과는 달리 흥행에 성공하면서 상업적인 성과도 좋았다. 특히 원작/애니를 접했던 올드 팬들의 자녀들이 이 작품에 열광했는지, 방송 중이던 2003년 크리스마스 당시 앙케이트에서 세일러문 관련 상품의 선호도가 3위였고 일부 품목은 판매율 1위였다고.
방영 후에도 세일러 전사 주역 배우 다섯 명이서 연락하고 지내는 훈훈한 모습을 보여준다. 아래 사진은 2014년 9월.
[image]
윗줄 (왼쪽 : 키노 마코토 役 아자마 뮤, 오른쪽 : 미즈노 아미 役 하마 치사키)
아래줄(왼쪽 : 히노 레이 役 키타가와 케이코, 가운데 : 아이노 미나코 役 코마츠 아야카 오른쪽 : 츠키노 우사기 役 사와이 미유)
[image]
[image]
[image]
그외에도 주조연 배우, 스탭진들이 해마다 모임을 가지는 모습이 SNS에 올라오기도 한다.
3. 등장인물
3.1. 세일러 전사
세일러 전사 역은 패션 모델이나 그라비아 모델 중에서 오디션을 해서 뽑았다.
[image]
배우는 사와이 미유(沢井 美優)
실사판 드라마 전편을 봤을 때 처음부터 끝까지 연기력이 가장 안정적이었는데, 바보 같고 눈치 없는 우사기를 워낙 잘 소화한 덕분에 손발이 사라질 것 같은 특촬물 특유의 스토리 전개에도 불구하고 연기 자체는 독보적이었다. 특히 드라마 초기에는 전원 신인이다 보니 형언이 안 될 만큼 몰입 안 되는 연기력이 난무하는데, 그 와중에도 사와이 미유 혼자 잘 나갔다. 심지어 6화에서 아미, 레이와 함께 양아치 3인방을 상대로 농구 대결을 할 때는 직접 농구공을 드리블하고 슛해서 골까지 넣었는데 이는 사와이 미유가 한 때 농구 선발대회에 나간 경력이 있어서 가능했다고.....
배우는 사와이 미유(沢井 美優)
실사판 드라마 전편을 봤을 때 처음부터 끝까지 연기력이 가장 안정적이었는데, 바보 같고 눈치 없는 우사기를 워낙 잘 소화한 덕분에 손발이 사라질 것 같은 특촬물 특유의 스토리 전개에도 불구하고 연기 자체는 독보적이었다. 특히 드라마 초기에는 전원 신인이다 보니 형언이 안 될 만큼 몰입 안 되는 연기력이 난무하는데, 그 와중에도 사와이 미유 혼자 잘 나갔다. 심지어 6화에서 아미, 레이와 함께 양아치 3인방을 상대로 농구 대결을 할 때는 직접 농구공을 드리블하고 슛해서 골까지 넣었는데 이는 사와이 미유가 한 때 농구 선발대회에 나간 경력이 있어서 가능했다고.....
[image]
배우는 하마 치사키(浜 千咲)[2] , (유년기) 마츠모토 타마키(松元 環季).
흑화하기 전까지는 머큐리 존재 자체를 잊어먹을 만큼 답답하고 소극적이며 원작에서의 뛰어난 머리나 리더십도 일절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속만 터졌으나[3] , 갑자기 흑화한 후 엄청난 연기력으로 존재감을 뿜어낸다. 거의 대부분이 변신 후 화장+보정발이 더 잘 먹히기는 하지만 머큐리는 그 갭이 가장 크고 연기하는 캐릭터도 두드러지게 변모한다.
배우는 하마 치사키(浜 千咲)[2] , (유년기) 마츠모토 타마키(松元 環季).
흑화하기 전까지는 머큐리 존재 자체를 잊어먹을 만큼 답답하고 소극적이며 원작에서의 뛰어난 머리나 리더십도 일절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속만 터졌으나[3] , 갑자기 흑화한 후 엄청난 연기력으로 존재감을 뿜어낸다. 거의 대부분이 변신 후 화장+보정발이 더 잘 먹히기는 하지만 머큐리는 그 갭이 가장 크고 연기하는 캐릭터도 두드러지게 변모한다.
[image]
배우는 키타가와 케이코(北川 景子), (유년기) 타나카 메이(田中 明).
당시 연기력은 그럭저럭 하는 편. 캐릭터 자체가 타케우치 나오코의 요청으로 원작과 거의 변함이 없기 때문에 그다지 웃지도 않고 싸늘한 성격이라 표정 연기도 그다지 없고..... 주연 배우들이 죄다 신인인데다 우사기를 제외하면 군데군데 불안정한 연기가 나오는데, 그 와중에 거의 표정 변화 없이 찡그린 표정과 싸늘한 성격의 히노 레이는 상대적으로 연기력을 타지 않다보니 그런대로 안정적이었다.
원작에서는 스토리가 전개될수록 마스를 대체해줄 쿨뷰티계 캐릭터가 계속 나오느라 점점 묻히지만, 실사 드라마에서는 변신 전이나 변신 후나 거의 바뀌는 게 없을 정도로 키타가와 케이코의 마스크가 좋기 때문에 드라마에서는 상당한 인기를 누렸다.
배우는 키타가와 케이코(北川 景子), (유년기) 타나카 메이(田中 明).
당시 연기력은 그럭저럭 하는 편. 캐릭터 자체가 타케우치 나오코의 요청으로 원작과 거의 변함이 없기 때문에 그다지 웃지도 않고 싸늘한 성격이라 표정 연기도 그다지 없고..... 주연 배우들이 죄다 신인인데다 우사기를 제외하면 군데군데 불안정한 연기가 나오는데, 그 와중에 거의 표정 변화 없이 찡그린 표정과 싸늘한 성격의 히노 레이는 상대적으로 연기력을 타지 않다보니 그런대로 안정적이었다.
원작에서는 스토리가 전개될수록 마스를 대체해줄 쿨뷰티계 캐릭터가 계속 나오느라 점점 묻히지만, 실사 드라마에서는 변신 전이나 변신 후나 거의 바뀌는 게 없을 정도로 키타가와 케이코의 마스크가 좋기 때문에 드라마에서는 상당한 인기를 누렸다.
[image]
배우는 아자마 뮤(安座間 美優)[4] , (유년기)나루미 미쇼(鳴海 美翔)
원작이나 애니와는 다르게 비중이 확 줄어버렸다. 그나마 첫 등장 때는 꽤 임팩트 있는 모습이었고 이후로 이따금씩 주목할만한 장면을 만들어낸게 다행일 지경이며 쥬피터의 힘 자체는 많이 부각되지 못했지만 키노 마코토 특유의 큰 언니 같고 중성적이며 듬직한 성격은 더더욱 부각되었다. 턱시도 가면에게 유독 적대감을 드러내며 이 드라마에선 턱시도 가면의 정체를 우사기보다도 먼저 알아챈다.
배우는 아자마 뮤(安座間 美優)[4] , (유년기)나루미 미쇼(鳴海 美翔)
원작이나 애니와는 다르게 비중이 확 줄어버렸다. 그나마 첫 등장 때는 꽤 임팩트 있는 모습이었고 이후로 이따금씩 주목할만한 장면을 만들어낸게 다행일 지경이며 쥬피터의 힘 자체는 많이 부각되지 못했지만 키노 마코토 특유의 큰 언니 같고 중성적이며 듬직한 성격은 더더욱 부각되었다. 턱시도 가면에게 유독 적대감을 드러내며 이 드라마에선 턱시도 가면의 정체를 우사기보다도 먼저 알아챈다.
[image]
배우는 코마츠 아야카(小松 彩夏)[5]
평범한 학생이었던 원작/애니판과 달리 아이돌로 설정되어 있다. 원작에 있던 '프린세스 세레니티로 위장'한 설정을 잘 살려서 우사기의 카게무샤이자 내행성 전사들의 리더로 그려진다. 원작/애니에서 보여준 기행이나 덜렁대는 모습은 없고, 늘 진지한 모습으로만 나온다.
배우는 코마츠 아야카(小松 彩夏)[5]
평범한 학생이었던 원작/애니판과 달리 아이돌로 설정되어 있다. 원작에 있던 '프린세스 세레니티로 위장'한 설정을 잘 살려서 우사기의 카게무샤이자 내행성 전사들의 리더로 그려진다. 원작/애니에서 보여준 기행이나 덜렁대는 모습은 없고, 늘 진지한 모습으로만 나온다.
[image]
평소에는 고양이 인형으로 등장하며 성우는 구작 애니와 동일한 한 케이코. 25화에서 세일러문이 세레티니로 각성할 때 은수정 빛을 쬐면서 인간으로 변신이 가능해져 27화에서는 10살 전후의 소녀 모습으로 나온다. 이 때의 배우는 코이케 리나(小池 里奈).[6]
드라마 오리지널 캐스팅에 대한 비화도 참 골 때리는데, 원래 코이케 리나는 치비우사 역할이 하고 싶어서 아역 오디션에 지원해서 합격한 상태였지만 정작 드라마 스토리는 다크 킹덤과의 결전만을 다루는지라 치비우사가 나올 일이 없었기에 뜬금없이 루나를 인간화한 모습 + 세일러 루나를 맡게 된 것. (.....) 하지만 매우 귀여운 모습으로 어린이 시청자들 사이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고[7] 연기력도 처음부터 안정적일만큼 보통내기가 아니었다.
평소에는 고양이 인형으로 등장하며 성우는 구작 애니와 동일한 한 케이코. 25화에서 세일러문이 세레티니로 각성할 때 은수정 빛을 쬐면서 인간으로 변신이 가능해져 27화에서는 10살 전후의 소녀 모습으로 나온다. 이 때의 배우는 코이케 리나(小池 里奈).[6]
드라마 오리지널 캐스팅에 대한 비화도 참 골 때리는데, 원래 코이케 리나는 치비우사 역할이 하고 싶어서 아역 오디션에 지원해서 합격한 상태였지만 정작 드라마 스토리는 다크 킹덤과의 결전만을 다루는지라 치비우사가 나올 일이 없었기에 뜬금없이 루나를 인간화한 모습 + 세일러 루나를 맡게 된 것. (.....) 하지만 매우 귀여운 모습으로 어린이 시청자들 사이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고[7] 연기력도 처음부터 안정적일만큼 보통내기가 아니었다.
- 5명 전원의 변신 장면 + 흑화한 머큐리 + 루나 + 세일러 문 프린세스 버전
3.2. 다크 킹덤
[image]
배우는 스기모토 아야(杉本 彩)[8] .
촬영 중 인터뷰 영상을 보면 극중의 냉혹한 모습과는 다르게 매우 온화한 미소를 띠고 있다. 이 때 밝힌 바에 따르면, 본인이 세일러 문 팬이라서 캐스팅 제의가 들어왔을 때 매우 기뻤다고.
배우는 스기모토 아야(杉本 彩)[8] .
촬영 중 인터뷰 영상을 보면 극중의 냉혹한 모습과는 다르게 매우 온화한 미소를 띠고 있다. 이 때 밝힌 바에 따르면, 본인이 세일러 문 팬이라서 캐스팅 제의가 들어왔을 때 매우 기뻤다고.
- 쿠로키 미오(黒木ミオ)
[image]
배우는 앨리사 유리코 더브로우(Alisa Yuriko Durbrow)[12] .
드라마판 오리지널 캐릭터. 퀸 베릴의 분신. 직업은 아이돌로, 미나코를 시기하고 있으며 우사기가 다니는 쥬반중학교로 전학을 와서 우사기를 다른 친구들과 이간질한다. 퀸 베릴이 앤디미온을 좋아했다는 원작의 설정 구현을 위해 등장한 캐릭터로, 드라마상에서 마모루를 유혹하지만 실패. 퀸 메탈리아에게 당해 끔살당한다.
배우가 극중 캐릭터와는 달리 실제로는 여린 성격이었는데, 일례로 29화 촬영중 우사기와 대화하다가 치바 마모루에 대한 얘기를 우사기가 하자 아이스크림 콘을 부수는 장면에서 손 힘이 약하다보니 수차례 NG를 냈다가 겨우 성공했지만 컷 사인 직후 손이 아프다고 울자 우사기 역의 사와이 미유가 달래줬다고.
배우는 앨리사 유리코 더브로우(Alisa Yuriko Durbrow)[12] .
드라마판 오리지널 캐릭터. 퀸 베릴의 분신. 직업은 아이돌로, 미나코를 시기하고 있으며 우사기가 다니는 쥬반중학교로 전학을 와서 우사기를 다른 친구들과 이간질한다. 퀸 베릴이 앤디미온을 좋아했다는 원작의 설정 구현을 위해 등장한 캐릭터로, 드라마상에서 마모루를 유혹하지만 실패. 퀸 메탈리아에게 당해 끔살당한다.
배우가 극중 캐릭터와는 달리 실제로는 여린 성격이었는데, 일례로 29화 촬영중 우사기와 대화하다가 치바 마모루에 대한 얘기를 우사기가 하자 아이스크림 콘을 부수는 장면에서 손 힘이 약하다보니 수차례 NG를 냈다가 겨우 성공했지만 컷 사인 직후 손이 아프다고 울자 우사기 역의 사와이 미유가 달래줬다고.
3.3. 그 외
[image]
베우는 키카와다 마사야
잘 생긴 미청년으로 묘사된 원작과는 달리 거북이 덕후인 도짓코 속성으로 묘사된다. 원작에서는 마코토가 모토키를 좋아하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본작에서는 반대로 모토키가 마코토를 좋아하게 되며, Special Act에서는 청혼까지 하며 커플링이 완전히 성사된다.
베우는 키카와다 마사야
잘 생긴 미청년으로 묘사된 원작과는 달리 거북이 덕후인 도짓코 속성으로 묘사된다. 원작에서는 마코토가 모토키를 좋아하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본작에서는 반대로 모토키가 마코토를 좋아하게 되며, Special Act에서는 청혼까지 하며 커플링이 완전히 성사된다.
- 쿠사카 히나(日下陽菜)
[image]
배우는 마츠시타 모에코(松下 萌子)
마모루와 모토키의 친구. 드라마판 오리지널 캐릭터. 고아가 된 마모루를 히나의 부모님이 거두어 후원한 것으로 나온다. 마모루의 약혼녀였으나 마모루가 우사기를 좋아함을 알고 떠난다. 마모루와 우사기 간의 갈등을 고조시키기 위해 등장한 단역.
배우는 마츠시타 모에코(松下 萌子)
마모루와 모토키의 친구. 드라마판 오리지널 캐릭터. 고아가 된 마모루를 히나의 부모님이 거두어 후원한 것으로 나온다. 마모루의 약혼녀였으나 마모루가 우사기를 좋아함을 알고 떠난다. 마모루와 우사기 간의 갈등을 고조시키기 위해 등장한 단역.
- 츠키노 이쿠코
[image]
배우는 모리와카 카오리(森若 香織)[16]
우사기의 엄마. 원작과 애니에서는 거의 공기 수준이었고 초반에 그나마 나올 때는 평범하면서도 때론 엄격한 타입이었는데 드라마에서는 엄청나게 수다스럽고 사고방식이 독특한 못말리는 아줌마로 각색되었다. 덕분에 등장하는 장면마다 빵빵 터졌는데 어찌보면 드라마화의 최대 수혜자로 봐도 될 듯. 아따맘마의 엄마와 비슷해보이는데 독특한 요리 센스까지 똑같다! 저쪽에서는 재첩 된장국 끓이려다가 된장이 없다는 이유로 재첩 카레(...)를 만드는 기행을 벌였다면, 이쪽에서는 파란색 소스를 끼얹은[* 이따금씩 초록색 소스를 끼얹기도 하는데 이건 아보카도로 만든 소스였다.] 오므라이스 or 해삼이 튀어나오는 오므라이스 등을 만들었다. (...) 차이가 있다면 저쪽 자제분들이 기겁을 하는데 반해, 이쪽 자제분들은 그냥 그러려니 하고 먹는다는 것.
배우는 모리와카 카오리(森若 香織)[16]
우사기의 엄마. 원작과 애니에서는 거의 공기 수준이었고 초반에 그나마 나올 때는 평범하면서도 때론 엄격한 타입이었는데 드라마에서는 엄청나게 수다스럽고 사고방식이 독특한 못말리는 아줌마로 각색되었다. 덕분에 등장하는 장면마다 빵빵 터졌는데 어찌보면 드라마화의 최대 수혜자로 봐도 될 듯. 아따맘마의 엄마와 비슷해보이는데 독특한 요리 센스까지 똑같다! 저쪽에서는 재첩 된장국 끓이려다가 된장이 없다는 이유로 재첩 카레(...)를 만드는 기행을 벌였다면, 이쪽에서는 파란색 소스를 끼얹은[* 이따금씩 초록색 소스를 끼얹기도 하는데 이건 아보카도로 만든 소스였다.] 오므라이스 or 해삼이 튀어나오는 오므라이스 등을 만들었다. (...) 차이가 있다면 저쪽 자제분들이 기겁을 하는데 반해, 이쪽 자제분들은 그냥 그러려니 하고 먹는다는 것.
- 츠키노 신고
- 사쿠라다 하루나
- 미즈노 사에코(水野 冴子)
[image]
배우는 츠츠이 마리코(筒井 真理子)
미즈노 아미의 어머니. 의사이다. 아미의 어머니는 원작과 구작 애니메이션에서도 의사로 일하고 있다는 설정이 존재했지만 이름도 없었으며 원작에서는 단역 수준으로 등장했고 구작 애니메이션에서는 언급만 있었을 뿐 직접 등장하지는 않았는데, 드라마에서는 미즈노 사에코라는 이름이 붙어 등장했다. 원작에서도 아미의 어머니는 바쁘다는 설정이 있지만 드라마의 미즈노 사에코는 원작보다 더 바쁜지 딸과 직접 대면하는 일도 잘 없고 연락은 집의 화이트보드를 통해 이루어진다. 늦은 밤에 아미가 레이와 함께 돌아다니다 경찰에 잡힌 걸 계기로 아미가 학원도 잘 안 가고 방황하고 있음을 알게 되자 사에코는 오랜만에 아미와 직접 대화하며 전학을 권유하지만 아미는 공부보다 중요한 게 많고 소중한 친구들을 두고 떠날 수 없다며 사에코를 설득했고, 사에코 역시 딸의 의사를 존중해주었다.
배우는 츠츠이 마리코(筒井 真理子)
미즈노 아미의 어머니. 의사이다. 아미의 어머니는 원작과 구작 애니메이션에서도 의사로 일하고 있다는 설정이 존재했지만 이름도 없었으며 원작에서는 단역 수준으로 등장했고 구작 애니메이션에서는 언급만 있었을 뿐 직접 등장하지는 않았는데, 드라마에서는 미즈노 사에코라는 이름이 붙어 등장했다. 원작에서도 아미의 어머니는 바쁘다는 설정이 있지만 드라마의 미즈노 사에코는 원작보다 더 바쁜지 딸과 직접 대면하는 일도 잘 없고 연락은 집의 화이트보드를 통해 이루어진다. 늦은 밤에 아미가 레이와 함께 돌아다니다 경찰에 잡힌 걸 계기로 아미가 학원도 잘 안 가고 방황하고 있음을 알게 되자 사에코는 오랜만에 아미와 직접 대화하며 전학을 권유하지만 아미는 공부보다 중요한 게 많고 소중한 친구들을 두고 떠날 수 없다며 사에코를 설득했고, 사에코 역시 딸의 의사를 존중해주었다.
- 히노 타카시(火野 隆司)
[image]
배우는 마스 타케시(升 毅)
히노 레이의 아버지로 원작과 동일하게 정치인. 원작에서는 이름이 안 나왔지만 드라마에서는 히노 타카시라는 이름이 붙어 등장했는데, 33~34화에서 나온다. 원작처럼 일을 가정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다보니 레이와 거의 만나는 일이 없고 부인인 히노 리사가 죽었을 때 바쁘다고 병원에 오지도 않았다. 그래서 레이한테는 엄청난 원망을 받고 있으며, 심지어 이상적인 부모와 자식을 취재하는 인터뷰를 한답시고 반강제로 레이를 호텔 레스토랑에 부르는 등의 강압적인 태도를 보인다. 다만 34화에서 비서가 레이에게 무심코 말한 바에 따르면, 어떻게든 레이를 만나서 얘기할 구실을 이리저리 만드느라 그간 계속 레이를 불러낸 것이었다고....
배우는 마스 타케시(升 毅)
히노 레이의 아버지로 원작과 동일하게 정치인. 원작에서는 이름이 안 나왔지만 드라마에서는 히노 타카시라는 이름이 붙어 등장했는데, 33~34화에서 나온다. 원작처럼 일을 가정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다보니 레이와 거의 만나는 일이 없고 부인인 히노 리사가 죽었을 때 바쁘다고 병원에 오지도 않았다. 그래서 레이한테는 엄청난 원망을 받고 있으며, 심지어 이상적인 부모와 자식을 취재하는 인터뷰를 한답시고 반강제로 레이를 호텔 레스토랑에 부르는 등의 강압적인 태도를 보인다. 다만 34화에서 비서가 레이에게 무심코 말한 바에 따르면, 어떻게든 레이를 만나서 얘기할 구실을 이리저리 만드느라 그간 계속 레이를 불러낸 것이었다고....
4. 오프닝
5. 에피소드
6. 뒷이야기
- 2004년 5월 2일 공연한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키라리 슈퍼 라이브>는 드라마를 실제 무대로 옮겨서 공연하는 형태였는데, 드라마와 마찬가지로 일상물이 나오다가 다크 킹덤 사천왕들이 등장하여 이를 무찌른다는 내용이다. 그리고 중간중간에 세일러 전사들이 조를 짜서 노래를 공연. 아무래도 관객 앞이다보니 제4의 벽이 허물어져버렸는데, 특히 다크 킹덤 사천왕들이 이걸 제대로 써먹으면서 미친 존재감을 과시했다. 제다이트와 네프라이트가 관객석 한복판에서 관객들한테 대놓고 말을 걸지 않나, 무대 바로 앞 관객석에서는 쿤차이트가 츳코미를 곁들인 개드립을 시전하지 않나, 여튼 시작부터 범상치 않은 분위기를 연출해서 이 공연 최대의 개그 캐릭터가 되어버렸다. (.....)[18] 물론 그 덕분에 관객들에게 제법 호의적인 이미지를 심어주는데에는 성공한 듯.[19] 여담으로 드라마판 본편과 달리 프릴 형식으로 치마를 입었으며, 격투 씬에서는 살짝 박자가 어긋나버려서 사천왕들이 진짜로 요술봉에 물리적으로 맞는 참사가 벌어지기도 했다.(...)[20]
- 우사기의 아버지는 방영 내내 나오지 않다가 Special Act에서 우사기-마모루의 결혼식 때 등장. 감독인 타사키 류타가 연기했는데, 사실 대사가 없고 그냥 우는 역할로만 나왔었다.
- 드라마판 공식 영문표기는 Pretty Guardian Sailor Moon(PGSM)으로, 드라마 방영 이후 발간된 원작 신장판/신작 뮤지컬판에서도 드라마의 공식 표기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폰트도 드라마판과 비슷하게 변경했다. 하지만 PGSM이라 하면 대부분 드라마판으로 연결된다. 나중에 나온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Crystal도 같은 표기를 쓰지만, '크리스탈'이라는 부제 때문에 대부분 'Crystal'로 줄여 쓴다. Bishoujou Senshi Sailor Moon(BSSM)라고 한 뒤 Crystal라고 붙이기도 한다. 그 외에 원작 만화는 Bishoujou Senshi Sailor Moon(BSSM), 구애니판/구 뮤지컬판은 Pretty Soldier Sailor Moon(PSSM)[21] 으로 표기된다.[22]
[1] 그외 단편 몇 편도 존재. 대표적으로 '턱시도 가면의 탄생'[2] 하마 치사키는 소속사가 정해준 활동명이라 소속사 이전 후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본명이 이즈미 리카(泉里香)라서 Act. ZERO 프로필에 Rika 표기. 이후 A.K.A. Rika 를 사용하다가 이후 그냥 Rika Izumi 로 통한다. 그리고 다시 본명(泉里香)으로 가면라이더 가이무에서 카즈라바 아키라 역으로 출연. 참고로 가이무의 감독과 본작의 감독은 동일한 타사키 류타.[3] 거기다 배우의 다리가 짧아 교복차림을 하고 있으면 배경인물이나 얘나 차이가 없다.[4] '뮤'는 예명으로, 본명은 '아자마 미유'. 사와이 미유와 같은 발음, 같은 한자여서 처음 볼 때 서로 놀랐다고. 이후에도 계속 패션지 모델로 활동 중.[5] 본작 이후 "춤추는 대수사선 THE MOVIE2 레인보우 브릿지를 봉쇄하라!" 단역, "나는 여동생을 사랑한다" 조연, "연문일화 2004" 중 눈에 피는 꽃 주역 출연, 2013년에는 영화 "Miss Zombie"로 부산국제영화제 방문도 했다. 버저 비트 ~벼랑 끝의 히어로~에서 카나자와 시온 역할로 출연. 다만 대사도 비중도 적은 조연이었고, 정작 여주인공은 세일러 마스 역의 키타가와 케이코였다.[6] 1993년생으로 방송 당시 만 10~11세.[7] 후술할 슈퍼 키라리 라이브 공연 때 어린이들의 환호를 받았다.[8] 본작 이후 가면라이더 W FOREVER AtoZ/운명의 가이아 메모리와 가면라이더 이터널의 마리아 S 크란베리 역으로 출연.[9] 본작 이후 가면라이더 카부토에서 단역으로, 가면라이더 오즈의 가멜 역으로 출연. 데빌맨,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Ep.46 등에 단역 출연.[10] 가면라이더 블레이드에서 카나이와 가면라이더 오즈에서 가면라이더 버스인 다테 아키라의 친구 의사로 36, 37화 출연. 2020년 11월 13일 생을 마감했다.[11] 이후 가수와 디자이너로 활동 중[12] 미국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이며, 이 작품으로 데뷔했다. [13] DVD에 수록된 단편에 실린 변신 장면.[14] 본작 이후 가면라이더 히비키의 이부키 역으로 출연.[15] 실사판 출연 직전에는 세일러문 뮤지컬에서 세일러 머큐리 역을 맡기도 했었다. 그 인연으로 세일러 머큐리 역 오디션을 봤는데, 떨어진 대신 우사기의 친구 오사카 나루 역을 맡는다. 어머니가 필리핀 사람. 2008년 오치 마사토와 결혼 후 오치 치에코(越智千恵子)를 쓰고 있었으나, 2015년 이혼했다.[16] 1963년생. 1983년 GO-BANG'S 밴드의 보컬 겸 작곡/작사 담당으로 데뷔하였고 1994년에 해체된 후로는 솔로 가수 및 배우 등으로 활동중이다.[17] 후에 GARO 시리즈의 '외전 제로(絶狼)<ZERO>-BLACK BLOOD-'(이 작품과 세일러문 모두 코바야시 야스코가 각본.)에 출연했고 가면라이더 드라이브에서는 슛 로이뮤드로 출연했다. 세일러 문에 출연할 때의 아역 시절과는 생김새가 제법 다르다.
[image] [image][18] 심지어 극중에서 제일 냉혈한인 쿤차이트가 개드립의 99%를 책임졌다![19] 다만 어린이 관객들은 사천왕들의 개그를 이해하지도 못한 데다, 어떤 어린이는 네프라이트를 보고 울어버리는가 하면 세일러 루나를 쓰러뜨리는 장면에선 몇몇 어린이들이 엉엉 울기도(...).[20] 특히 세일러 루나와 쿤차이트가 서로 박자를 못 맞춰서 그만 쿤차이트의 팔에 요술봉이 충돌했는데, 진짜 제대로 맞았던 탓에 쿤차이트가 순간적으로 팔을 문지르며 아픈 티를 팍팍 냈다. 물론 관중석에서는 폭소가.....[21] 영어권 세일러 문 커뮤니티에서는 그냥 Sailor Moon이라고 하면 90년대 방영된 구 애니메이션판 세일러 문이나 주인공 세일러 문을 말하는 경우가 많다.[22] 세일러 전사의 '전사'에 해당하는 영문 표기가 좀 오락가락한다. 초기 미국 더빙판에서는 Scout를 썼지만, 일본에서 방영된 크리스탈에서는 공식적으로 Guardian을 쓰고, 한편 구 애니나 R 시즌 삽입곡인 La Soldier, S와 SuperS의 사이인 세일러문 Another Story의 영문표기법, SuperS에서 내행성 전사가 변신할 때는 Sailor Soldier라고 나왔다. 구작 뮤지컬 영어 자막에서도 Soldier가 나왔으니. 다만 본편 이후로 나오는 신장판, 크리스탈은 물론이고 Viz에서 구작 애니메이션 및 크리스탈 모두 새로 번역하면서 세일러 전사의 '전사'는 공식적으로 Guardian으로만 사용하게 되었다. 유튜브 등지에서는 비공식적으로 Senshi라고 표기하지만...
[image] [image][18] 심지어 극중에서 제일 냉혈한인 쿤차이트가 개드립의 99%를 책임졌다![19] 다만 어린이 관객들은 사천왕들의 개그를 이해하지도 못한 데다, 어떤 어린이는 네프라이트를 보고 울어버리는가 하면 세일러 루나를 쓰러뜨리는 장면에선 몇몇 어린이들이 엉엉 울기도(...).[20] 특히 세일러 루나와 쿤차이트가 서로 박자를 못 맞춰서 그만 쿤차이트의 팔에 요술봉이 충돌했는데, 진짜 제대로 맞았던 탓에 쿤차이트가 순간적으로 팔을 문지르며 아픈 티를 팍팍 냈다. 물론 관중석에서는 폭소가.....[21] 영어권 세일러 문 커뮤니티에서는 그냥 Sailor Moon이라고 하면 90년대 방영된 구 애니메이션판 세일러 문이나 주인공 세일러 문을 말하는 경우가 많다.[22] 세일러 전사의 '전사'에 해당하는 영문 표기가 좀 오락가락한다. 초기 미국 더빙판에서는 Scout를 썼지만, 일본에서 방영된 크리스탈에서는 공식적으로 Guardian을 쓰고, 한편 구 애니나 R 시즌 삽입곡인 La Soldier, S와 SuperS의 사이인 세일러문 Another Story의 영문표기법, SuperS에서 내행성 전사가 변신할 때는 Sailor Soldier라고 나왔다. 구작 뮤지컬 영어 자막에서도 Soldier가 나왔으니. 다만 본편 이후로 나오는 신장판, 크리스탈은 물론이고 Viz에서 구작 애니메이션 및 크리스탈 모두 새로 번역하면서 세일러 전사의 '전사'는 공식적으로 Guardian으로만 사용하게 되었다. 유튜브 등지에서는 비공식적으로 Senshi라고 표기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