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1. 개요
2. 상세
2.1. 문화적 특징
2.2. 매체에서
3. 관련 질병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


/ Foot
인간의 몸 부위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해 있으며, 엄청난 체중을 지탱하는 기관. 고된 일을 눈에 띄지 않게 해 주는 고마운 부분이다. 기본적으로 과 구조 자체는 거의 같으나, 2족 보행에 알맞도록 진화가 이루어져 있다. 대표적인 것이 손바닥에서는 일부러 눌러 보지 않는 이상 눈에 잘 띄지 않는 발바닥의 오목한 부분. 이 아치형 구조로 체중을 지탱하고, 충격을 완화해주는 역할을 한다. 발뒤꿈치 또한 마찬가지. 생물체를 통틀어서는 상당히 특이한 진화에 속한다.

2. 상세


일찍이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사람의 발을 가리켜 ‘인간 공학상 최대의 걸작이자 최고의 예술품’이라고 말했다. 그 이유는 발의 구조와 기능만 봐도 알 수 있다. 인체는 약 206개의 로 구성돼 있는데 그중 발에만 양쪽 합쳐 52개의 뼈가 있다. 몸 전체 뼈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이뿐만 아니라 발에는 몸에서 가장 굵고 강한 근육이 발달해 있다. 또 우리 몸 중에서 인대가 가장 많이 밀집되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한쪽 발은 뼈 26개, 관절 33개, 근육 64개, 인대 56개로 이뤄져 있다. [1] 근육은 발의 움직임 전반에 걸쳐 작용하며 인대는 격렬한 긴장과 비틀림을 견딘다. 또 발 관절들을 결합시켜 주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각 관절의 기능을 유지시켜 준다.
이뿐만 아니다. 발에는 수많은 혈관이 흐르고 있다.[2]이 때문에 발은 ‘제2의 심장’으로 불린다. 심장이 혈액을 방출하면 혈액은 온몸을 돌아다니면서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다 다시 심장으로 돌아온다. 매일 각각의 발을 통해 60∼100L의 혈액을 운반한다. 그러나 발은 심장에서 가장 멀기 때문에 이런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발에서부터 혈액순환 장애가 나타나고 붓기 시작한다.[3] 발은 심장에서 보낸 혈액을 받아 다시 온몸으로 보내는 펌프 작용을 하는 셈이다.
실제 발은 1km를 걸을 때마다 12t의 압력으로 피를 심장으로 다시 뿜어준다. 많이 걸으면 혈액순환이 잘 된다는 말도 이 때문에 그런 것이다.[4]
또한 발은 인간의 직립보행을 가능하게 하고 두 손을 자유롭게 해 인류 문명을 시작하게 한 일등공신이다. 몸의 2%밖에 되지 않는 발바닥 면적이 나머지 98%를 지탱한다는 것이 어떻게 가능할까. 물체가 지구의 인력에 의해 지상에서 안정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3개의 각(角)이 필요하다. 그런데 사람은 다른 동물과 달리 두 다리로 곧게 서서 걸어 다닐 수 있으며 두 다리로 단숨에 100m를 달리는 능력도 갖추고 있다.
이는 발의 공이 매우 크다. 발에 있는 많은 뼈, 힘줄, 신경세포는 몸의 주춧돌 역할을 하며 서 있을 때 넘어지지 않게 균형을 잡아준다. 또 충격을 흡수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한다. 복잡한 구조로 이뤄져 섬세한 기능까지 담당하는 발은 작은 고장으로도 몸 전체 건강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고대 중국 의학서적 ‘황제내경’에는 ‘모든 병은 발에서부터 시작되고, 피곤하면 발이 먼저 쇠약해지며, 건강을 유지하려면 발부터 보호하고, 발을 보호하면 늙지 않는다’고 적혀있다.
아무래도 온몸의 힘이 집중되는 곳이다 보니 사족보행 동물들에 비해 다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그 중 하나가 염좌인데,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발목터널 증후군과 같은 꽤나 난감한 질환에 걸릴 수도 있다.
발은 신체의 모든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엄지발가락은 머리, 발 옆면은 어깨, 무릎, 둔부 등 신체 외부, 발 안쪽은 척추와 신경이 이어져 있기에 제대로 발마사지를 받으면 피로 회복에 꽤나 도움받을 수 있다. 그리고 발바닥에는 뻣뻣한 인대가 있어서 그것이 생체 스프링 역할을 하기도 하는데, 그것은 흔히 족저근막이라 불린다.
발을 자주 씻지 않거나 거의 씻지 않게 될 경우엔 발냄새가 나는 것도 모자라 여러 가지 피부병이 생겨나기 쉬워지며, 제대로 씻어주고 닦아주지 않게 되면 피로 회복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그러니까 제발 발에서 때가 밀려나올 정도로 안 씻고 사는 수준은 피하자. 대부분의 발 관련 질환은 잘 씻지 않아서 생기는 일이므로.
과 마찬가지로 잃어버리면 남의 도움 없이는 화장실도 못 가거나 온 힘을 다해서 움직여야 하는 중요 신체 부위이다. 일반적으로 '''더러운''' 이미지를 많이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오히려 손보다 훨씬 깨끗하다. 손이 오만 세균 덩어리를 만지고 다니는 동안에 발은 가만히 신발 속에만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적절한 습도와 적절한 온도가 유지되는 곳인 만큼 곰팡이('''무좀균''')의 온상이 되기 십상이니, 결국 평소 잘 씻어주는 게 가장 중요하다. 또한 발 입장에서 하이힐 같은 굽 높은 신발을 싫어하므로 알아서 잘 대해주어야 할 것이다.

2.1. 문화적 특징


근래에 들어서는 드문 풍습이지만 우리나라의 결혼 풍습 중엔 신랑 발을 묶어서 북어로 발바닥을 때리는 풍습이 있는데, 이것도 신랑의 피로를 풀어주고 첫날밤을 정력적으로 보내라는 의미였다고 한다. 한편으로는 결혼한 신랑에 대한 신고식 겸 놀려먹기를 해서 즐겁게 놀기 위한 의미도 있었다. 신랑의 친구들이 북어로 발바닥을 때리면 장모나 장인이 이를 말리는 척하며 친구들에게 술과 음식을 대접하는 형식. 함진아비들이 신부 식구들에게 장난을 치는 것과 유사하다. 그런데 가끔 너무 두들겨 패서 신랑이 첫날밤도 제대로 못 치르고 냉찜질을 해야 했거나, 결혼이 깨져 버리는 불상사가 발생하기도 했다. 발바닥을 때리려면 사람을 엎어놓거나 반쯤 거꾸로 든 모양새부터 만들고 시작해야 하는 만큼 사람에 따라 굉장히 모욕적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기에 장난이랍시고 일방적으로 해서는 안될 행동이다.
미술을 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그리기 어려운 것으로 과 1위를 다툰다. 특히 아마추어들 사이에서는 얼굴에 가깝고 인물의 감정 표현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억지로라도 그리게 되는 손과 달리 발은 전신을 그리지 않으면 자주 무시되는 부분이고, 신발이나 양말 등에 가려지는 경우가 많아 제대로 연습하지 않으면 발이 굉장히 어색하게 나오는 경우가 흔하다. 여기에 전신화를 그릴 때 아예 발 앞에 사물을 그려서 어색한 발을 감추는게 습관이 돼서 시간이 지나 나머지 부분의 그림체는 점점 발전하는데 발만 여전히 못 그리는 경우도 있다. 발을 못 그리기로 유명한 사람은 데드풀의 창조자로 알려진 롭 라이펠드[5]. 그런가 하면 발을 정교하게 묘사할 경우 페티시가 있는 것으로 오인당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피터 정[6].

2.2. 매체에서


캐릭터의 시선에서 게임을 진행하는 FPS에서는 그림자와 더불어 가장 잘 생략되는 요소 중 하나. 웬만한 FPS는 아래를 보면 아무것도 없이 둥둥 떠있는 듯한 느낌이 종종 든다. 물론 일부 꼼꼼한 게임은 예외. 에일리언 vs 프레데터 3의 에일리언의 경우 단순히 발이 보이는 정도가 아니라 화면을 급하게 바꿀 경우 아직 움직이지 않은 꼬리가 화면에 잡히고, 벽에 매달릴 경우 그 벽의 모양에 알맞게 벽을 잡고 있는 손 모양도 변하는 섬세함을 보여준다. 가령 기둥 끝에 매달렸으면 기둥 모서리를 잡고 일반 벽에서는 그냥 손바닥을 펴는 등...

3. 관련 질병


신체의 중요 부위 중 하나인 만큼 걸리면 일상생활에 지장이 가거나 심하면 깁스~수술까지 바라봐야하는 질환도 많다. 아래는 일상에서 주로 발에 생기는 질병을 기재.
  • 염좌 - 소위 '삐었다' 라고 표현되는 그 질환. 가장 빈도가 잦고 인지도도 높은 질환.
  • 족저근막염 - 너무 오래 서거나 달리는 것, 비만 등으로 족저근막이 손상되어 생긴다.
  • 부주상골증후군 - 족저근막염이 발 뒤쪽이라면 얘는 발 중앙[7]에 발생하는 질병. 부주상골이라는 없어도 되는 뼈가 하나 더 생겨서(...)[8] 주상골 옆에 쓸데없이 뼛조각처럼 붙어있다가 발목이 접질릴 때 본격적으로 통증을 일으킨다. 평상시엔 사실 별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통증이 커지거나 걸음에 지장이 갈 경우 깁스~수술로 부주상골 제거를 해야 하기도 한다. 해당 질환의 보유자들은 발목이 높은 부츠 등을 신는 것이 추천되지 않는다.
  • 내성발톱 - 발의 발톱(특히 엄지발톱)에 생기는 질환.
  • 티눈 - 압력을 많이 받는 발바닥에 주로 생긴다.
  • 무지외반증/버선발기형 - 하이힐처럼 앞이 좊은 구두를 자주 신을 때 발모양이 변형되어 생긴다.
  • 쥐(증상) - 하반신에 일어나는 경우가 잦아, 특히 발에 쥐난 현상을 한 번이라도 겪어본 사람들은 많다.
  • 수족냉증 - 신체 말단부위인 손과 발이 차가운 질환.
  • 동상 - 신체 말단부인 발에도 잘 생긴다.
  • 당뇨병 - 문제가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부위는 발이 아니나, 증상이 악화되면서 발의 괴사 등을 부를 수도 있다.

4. 여담


  • 사람은 죽으면 영안실에 시체가 잠시 안치 된다. 그러면 흰천에 뒤덮인 시체의 다른 부위의 몸은 안보이지만 발은 보인다.
보는 사람에 따라 혐짤일 수도 있으니 링크 처리[* 해당 사진은 홍콩 혹은 중국에서 자살한 젊은 여성의 시신이다. 검시를 할 때 찍힌 사진이라고 한다. 발에 시반이 있으니 목을 메 자살한 걸로 추장된다. 그리고 다른 자살과 달리 몸이 거의 훼손되지 않은 관계로 자살로 추정된다.][9]
파키스탄 쪽에서는 고인의 발가락을 천으로 묶는다 한다. 링크[[https://namu.wiki/w/%ED%8C%8C%EC%9D%BC:9307E5E2-81FC-4B2E-A3B3-BA41FD19F2E1.jpg|링크]]
  • 이렇게 매우 중요한 기관이지만 손보다 비주얼이 투박하고(?) 정교함이 떨어지기 때문인지 미묘하게 취급이 안 좋은데, 무언가를 못하는 걸 발로 한다고 표현한다. 발컨, 발연기, 발번역, 발적화 등등...
  • 엄지발가락은 나머지 발가락들보다 관절 수가 하나 적다. 이 점은 엄지손가락과 마찬가지.
  • 여담으로, 보통 성인 남성의 발 크기는 신발 기준 250~290mm, 성인 여성의 발 크기는 신발 기준 230~260mm이고, 이는 손목부터 팔꿈치까지의 길이와 비슷하다. 발의 크기를 이용할 때 사용되는 기준은 발볼의 넓이나 발의 모양에 따라 실제 발 크기와 딱 맞을 수도 있고 이보다 작거나 클 수도 있다. 장신[10]이나 비만인 사람들이 보통 발도 같이 크다. [11]물론 발이 300mm인 남성이나 270mm가 넘는 여성도 존재하며, 미국이나 독일 등지에서는 자주 보인다. 반대로 동양인은 발의 길이가 길기보단 발볼이 넓어 수치보다 더 큰 신발을 신어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 그리고 남자의 발이 여자의 발보다 크지만 여자 중에서도 발이 큰 사람들은 남자발만하다. 예를 들어 발 사이즈가 260mm 되는 여성들도 있다. 링크, 링크 드물게도 270mm 대 이상의 발 사이즈를 가진 아시아인 여성도 있다.링크[[https://namu.wiki/w/%ED%8C%8C%EC%9D%BC:F9E852FB-0141-43A9-9CD6-DDDEF5E61F8D.jpg|링크]][12] 아시아인 여성 발 평균 크기는 이정도다.링크1[13]링크2[14]링크3링크4 링크5
  • 이동수단을 표현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전철, 버스 등의 대중교통을 '시민의 발'로 표현하곤 한다.

  • 길이의 단위인 피트는 발의 길이에서 유래했다. 'ft' 라고 표기하며 1ft는 0.3048m(30.48cm)이다.

5. 관련 문서


  • 내성발톱
  • 맨발
  • 발냄새
  • 발톱
  • 신발
  • 양말
  • 왕발
  • 족저근막
  • 전족
  • 평발
  • 무좀
  • 육구(발볼록살)[15]
  • 족욕
  • 발가락


[1] 즉, 양쪽 발을 합치면 총 뼈의 개수가 52개, 관절 66개, 근육 128개, 인대 112개가 된다.[2] 바로 이 이유 때문에 발바닥이 분홍색이다. 하지만 발바닥 색깔은 사람마다 조금식 체도하고 색이 다르다.[3] 1형 당뇨병 환자들이 혈액 순환이 잘 안 돼서 발부터 썩기 시작하는 건 심장에서 제일 멀리 떨어져 있어 피가 산소운반을 해주지 못하기 때문.[4] 다만 너무 무리해서 오래 걸으면 발바닥물집이 잡혀서 오히려 역효과를 보게 된다. 기초군사훈련에서 행군할 때 물집 잡힌 경험을 많이 해 본 것처럼..[5] 데드풀 실사 영화에서 데드풀에게 발을 못 그린다고 까였다(...)[6] "이온 플럭스"로 잘 알려져 있다.[7] 발 안쪽 아치형의 중앙 부분.[8] 있는 사람들에 한정이다. 복불복이어서 선천적으로 타고 태어나는 사람과 없는 사람이 나뉘며 타고 태어나는 사람들은 1할 정도이다.[9] 사진은 홍콩 혹은 중국의 어느 장례식장의 영안실에서 찍힌 사진으로 추정. 마스크를 낀 사람은 장례지도자로 추정[10] 2미터가 넘는 더스틴 니퍼트는 신발 사이즈가 320mm이고 196cm 수영선수 이언소프가 350mm이며 216cm의 샤킬오닐이 400mm이다 로버트 워들로47cm이다[11] 키에 비해 발이 큰 경우인데 키 167인 반면 발은 285mm라고[12] 다만 해당 여성들 다 키가 평균 이상이니 발이 큰 것이다.[13] 해당 사진의 여성의 발은 225 정도고 키는 157 정도라고 한다.[14] 해당 여성의 발은 220 정도고 키는 155 라고 한다.[15] 사람에게는 없고, 고양이 등의 일부 식육목에 존재하는 신체조직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