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콕 도시철도

 

방콕 도시철도 / Bangkok Metropolitan Subway
State Railway of Thailand Electrified Train / SRTET[1]
Bangkok Transit System / BTS SkyTrain[2]
Mass Rapid Transit Bangkok / รถไฟฟ้า กรุงเทพมหานครและปริมณฑล [3]
Suvarnabhumi Airport Rail Link (SARL) / รถไฟฟ้าเชื่อมท่าอากาศยานสุวรรณภูมิ [4]

1. 개요
2. 운영회사
3. 열차
4. 특징
5. 노선
6. 요금 체계
7. 안내방송
8. 역명 다국어 표기
9. 관련 문서


1. 개요


[image]
랩핑된 BTS
태국방콕 수도권 지역과 근교 지역을 운영하는 통근형 도시철도(Rapid Transit) 체계를 말한다.
1999년 푸미폰 전 국왕의 생일에 맞추어 처음 고가철도 형태의 도시철도가 개통되었다. 이 철도의 이름은 BTS라 하였다. 이때 BTS는 시내 각 지역을 커버하기는 했으나 아직 본격적 도시철도로 기능하기엔 많이 모자랐고, 방콕의 끔찍한 교통체증도 지속되었다.
이후 2004년 MRT가 운영하는 4호선도 개통되어 태국이 진정한 도시철도 시대로 들어간다. 이때부터 후알람퐁 역 등이 지하철로 이어지며 정체를 피해 지하철을 이용하는 방콕 시민이 많아진다. 그리고 수완나품 국제공항2006년 개항한 후 2008년에는 공항철도까지 개통되어 지금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현재 방콕의 도시철도는 BTS와 MRT 그리고 공항철도 3개의 회사로 나누어 운영되고있다.
같은 회사인 2호선과 3호선, 4호선과 6호선 간의 환승은 매우 편리하나, 다른 회사 간의 연계성은 좋지 않은데, 환승역에서도 환승통로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일본의 JR그룹과 사철의 관계처럼 새로운 티켓 또는 다른 브랜드의 교통카드를 사용해야 한다.
티머니 하나로 교통수단 환승이 자유로운 한국이나 옥토퍼스 카드 하나로 전 교통수단 이용이 가능한 홍콩 등에 살던 사람들이 보기엔 매우 복잡한 구조이다.
2016년 중순부터는 MANGMOOM[5]이라는 통합 교통카드의 출시를 앞두고 있다고 하지만 계속 연기되어 2019년까지 별 다른 소식은 없다.
개통된 노선은 5개가 있으며 BTS[6] 간의 환승역은 시암역 하나이다. 원래는 1층에 개찰구가 있고 2층에 상대식 복선철도가 있으나 특이하게도 시암역에서 만은 김포공항역처럼 개념환승을 위해 노선을 복층으로 운영하여 2층과 3층에 섬식 복선 철도가 다닌다.
다른 노선들의 환승역들은 모두 소프트환승이며, 3호선과 4호선 간의 환승역인 아속역은 그나마 환승통로 비슷하게 연속되는 에스컬레이터로 연계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개찰구를 두번 통과해야 되며 다른 교통카드를 써야 하는것은 함정
BTS의 별칭으로 스카이트레인(SkyTrain)을 사용한다. 그래서 종종 BTS 스카이트레인으로 불린다.
한편 MRT는 그런거 없다.

2. 운영회사


크게 3개로 나눌 수 있다.

2.1. 국유철도


전철화 과정에 있어 아직 개통되지 않았으나 국유철도라는 이유로 노선 번호를 1번으로 받을 예정이다. 이 경우 수도권 전철 1호선과 비슷해진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즉 서울 1호선도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 등 기존 국철을 복선전철화했고 노선번호가 1번이며 근교 지역인 수원역, 인천역, 의정부역, 동두천역 등으로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노선이 6갈래로 갈라지게 되어 있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처럼 노선을 2개로 분리할 가능성이 있으나 아직까지는 끄룽텝역에서 출발해 6갈래로 갈라지는 모든 노선이 같은 노선색으로 되어 있어[7] 현재 개통된 노선 중 제일 앞 번호는 2호선(실롬선)이다.

2.1.1. 공항철도


숫자로는 5호선에 해당하는 노선. 운영체는 SRT에 속해 국영 철도이다.

2.2. BTS


2호선과 3호선의 운영회사이며 이 쪽이 원조로 1999년 개통했다.
한국인들의 분류기준에 따르면 BTS는 고가 지상철, MRT는 지하철로 지칭했으나 운영주체가 MRT인 6호선이 전구간이 지상이라(...) 의미가 없어졌다.


2.3. MRT


4호선(블루), 6호선(퍼플)의 운영회사. 추후 7~12호선을 운영할 계획이 있다.
이전에는 4호선의 전구간이 지하여서 지하철이라고 하면 블루라인만을 떠올렸으나 이 회사가 운영하는 6호선의 전구간이 지상이다. 그래서 지하로만 운행하지는 않는다.

3. 열차


지멘스, 창춘 궤도객차, 도시바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4. 특징


BTS의 티켓은 MRT와 공항철도와는 달리 카드 형태로 나오며 카드 앞면에는 지하철 안전 관련 그림과 문구가 그려져 있다. 카드 뒷면에는 Sky Train 노선도가 그려져 있다. 티켓은 나갈 때 개찰구에서 회수되며, 재사용된다.
MRT의 티켓은 공항철도와 마찬가지로 토큰 형태로 나오는데 검은 색이다.
BTS는 역번호가 시암역(CEN)을 기준으로 동서남북으로 매겨져 있다.(EWSN)
반면 MRT는 역번호가 기점을 기준으로 매겨져 있으며, 4호선의 경우는 미래에 개통 될 구간을 생각해 10번부터 시작한다.

5. 노선


[image]
역에 따라서 짜오쁘라야 운하의 역들과 이어져 있기도 하다.
노선명
최초 개통연도
길이
역수
1호선(국철)[8]
공사중
미정
미정
2호선(실롬선)
1999년 12월 5일
14.5km
13
3호선(수쿰윗선)
1999년 12월 5일
22.25km
36
4호선(블루 라인)
2004년 7월 3일
48km
38
5호선(공항철도)
2010년 8월 23일
28.6km
8
6호선(퍼플 라인)
2016년 8월 6일
23km
16
7호선(오렌지 라인)
미정
6km
4
8호선(핑크 라인)
2021년 6월
14km
4
9호선(다크레드 라인)
미정
km
9
10호선(핑크 라인)
2022년
km
31
11호선(옐로 라인)
2022년
km
23
12호선(다크오렌지 라인)
2023년 4월
km
18

6. 요금 체계


일회용 티켓을 발권할 경우 최소 16바트에서 시작하며 거리에 따라 정해져 있는 도착지 역별 요금표에 맞는 표를 발권하여 이용하면 된다. 역이 많지 않아 모든 역에 대해서 해당 역까지 가는 요금이 나와 있다. 일회용 티켓으로는 BTS와 MRT간의 환승할인이 되지 않으며 환승을 할 경우 별도의 요금을 내야 한다.
시암이나 아속 같은 주요 번화 지역은 한참 동안 줄을 서서 표를 뽑아야 할 정도로 승객으로 넘쳐난다. 특히 모든 역의 모든 장소가 고가 위에 지어져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기다리면서 더워서 매우 짜증난다. 게다가 대부분의 역에서 티켓판매기에는 동전만 사용가능하고, 지폐사용이 가능한 기계가 있어 지폐를 넣어 뽑더라도 거스름돈은 죄다 동전으로 바뀌어 나와서 짜증이 더욱 난다. 거스름돈이 10바트짜리로 나오지 않고 5바트짜리로만 나오기도 한다. 티켓판매기에 지폐를 사용할 수 없는데 동전이 없는 경우에는 창구에서 티켓을 구매하거나 지폐를 동전으로 교환 할 수 있다.
혼잡한 구간을 주로 다니는 관광객이라면 미리 교통카드를 준비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BTS에서는 래빗카드의 사용이 가능하고, MRT를 타려면 별도의 MRT 카드를 사야 한다. 교통카드 충전은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현금을 지불하면 담당자가 충전해 주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교통카드에 신분증 등록이 의무화되어 여행객의 경우 최초 구매시에 여권을 지참해야 할 수 있으니 참고할 것.

7. 안내방송


สถานีต่อไป (역명) - Next Station (역명)
S̄t̄hānī t̀ur pị (역명)
싸타니(이) 떠(어) 빠이 (역명)
태국어 영어 순으로 방송하며, 정말 단순하게도 다음역. (역명) 이라고만 한다. 영어로도 정말 간결하게(...) Next Station, (역명) 이라고만 한다.

8. 역명 다국어 표기


역명 다국어 표기는 영어로만 되어있다. 일부 역은 태국어와 전혀 다른 역명이 붙어있다.

9. 관련 문서



[1] 1,5호선 운영[2] 2,3호선[3] 4,6,7,8,9,10,11,12호선[4] 5호선[5] 망뭄. 거미라는 뜻의 태국어이다.[6] 현 2호선과 3호선[7] 2019년 12월 기준으로 아속역 환승통로에 있는 노선도 출처.[8] 국철의 방콕시 부분을 전철화 하고 수도권 전철 1호선처럼 운영할 예정이다. 경의중앙선처럼 국철을 동서와 남북으로 나누어 각각 1호선, 2호선으로 명명될 가능성도 있는데, 그렇게 된다면 모든 노선의 번호가 한칸씩 밀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