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창교통

 


樊倉運輸/Bunchang Transport Co. Ltd
1. 개요
2. 운행 중인 노선
3. 폐선된 노선
4. 과거 운행 노선
5. 여담
6. 현재 보유차량
7. 과거 보유차량


1. 개요


서울 마을버스 업체로, 본사 위치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덕릉로60길 257(월계2동 800)이다.
원래는 '''도봉구 마을버스 운수업체'''였으나, 2004년 서울시내버스 개편 무렵 같은 도봉권 업체인 승한운수와 합쳐지면서 '''시내버스 업체'''가 되었다. 하지만 2016년 3월 20일에 다시 '''노원구 마을버스 업체'''로 전환했다. 그래서 기존에 번창운수에서 근무한 기사들은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북부운수, 메트로버스 등지로 흩어졌고[1] 대부분의 운전기사를 다시 새로 뽑았다. 기존에 근무하시던 기사들도 극소수로 몇 분 계신다.
이래 봬도 역사가 상당히 오래되었다. 80년대 초반에 설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50번 마을버스(현재의 노원14번)로 운영하기 시작했다.[2] 당시 노선은 염광학교 ~ 창골(현재 창동대우아파트)[3]로만 이루어졌고 당시 시골이였던 창골이[4] 90년도에 창동주공아파트 신도시개발로 창동역으로 연장하였고 93년에 월계동 아파트개발로 염광학교에서 인덕대, 청백아파트단지로 연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2004년 7월 마을버스 50번에서 시내버스 1157번으로 형간전환 되었고, 이듬해인 2005년 8월에는 창동역에서 선덕학원 구간이 연장되어 지금의 노선이 되었다. 이후 2016년 3월에는 시내버스에서 마을버스로 전환되어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번창운수의 '번창'은 번창(繁昌)하다의 뜻이 아니고 강북구 번동(樊洞) + 도봉구 창동(倉洞)의 앞글자에서 딴 것이다. 이는 두 동네 이름이 외자라서 가능한 일. 설립 당시에는 '창동마을버스'였지만 90년대 중반에 '번창운수'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20년에는 사명을 '번창교통'으로 변경.
2017년까지는 차량에 LED를 안 달고 있었지만 2018년에 전 차량 전면과 차내 LED를 부착했고, 시내버스 시절 차내 LED가 설치되어 출고된 차량도 마을버스에서 쓰는 전광판으로 교체되었다.
차량대수가 43대에 이르지만, 이렇다할 차고지가 없어서 운행이 끝나면 창동역 동측의 공영주차장과 본사의 정비소, 본사 옆 모 고깃집 주차장에다 박차를 한다. 사실 대기점이 청백아파트인데, 초안산로가 녹천역 방향으로 연장되기 전에는 차를 주차장처럼 주차해놨으나, 지금은 월계역 방향으로 일렬종대 주차한다. 그 사이에 1130번이 낄 때도 많다.
이용객의 입장으로는, '''요금 싼 시내버스''' 느낌이 든다. 노선 길이며 배차며 스티킹 형식이며.
이 회사에서 운행하는 2개의 노선 모두 마을버스 치곤 노선이 크고 아름답다. 특히 시내버스로 운행할 적에 노선 2개를 합치고 늘려놓은(...) 노원 15번.
요즘들어 배차간격이 잘 지켜지지 않는 듯 하다. 14번에선 2대가 붙어서 지나간 후, 11분 뒤에 차가 오는 경우도 있을 정도.
개편 후 시내버스로 운행 할 당시에는 한동안 자일대우상용차가 주력이었으나 2010년 1160번(현.노원15번)에 그린시티가 투입 된 것을 시작으로 현대버스로 하나 둘씩 바꾸기 시작하더니, 2019년 현재는 43대 중 41대가 현대 차량이다.

2. 운행 중인 노선



2.1. 노원14번(구 1157)


  • 첫차: 05 : 30 (월계동) / 05 : 57 (세그루)
  • 막차: 00 : 00 (월계동) / 00 : 26 (세그루)
  • 배차간격: 04 ~ 07 (평일) / 05 ~ 10 (토요일) / 06 ~ 10 (일요일, 공휴일)
  • 차량: 20대 운행 (평일) / 17대 운행 (토요일) / 14대 운행 (일요일, 공휴일)

2.2. 노원15번(구 1161)


  • 첫차: 05 : 00 (월계동) / 05 : 47 (우이동)
  • 막차: 23 : 30 (월계동) / 00 : 33 (우이동)
  • 배차: 05 ~ 08 (평일) / 06 ~ 09 (토요일) / 07 ~ 11 (일요일, 공휴일)
  • 양방향 경유 구간 탑승방법
  • 창동역 동측
    • 월계동(청백단지) 방향 - 창동역동측[노원방향](10559) 정류장 [1120번, 1129번, 1142번 정차 정류소](창동역 출구 기준 우측)
    • 덕성여대(우이동) 방향 - 창동역동측[도봉방향](10266) 정류장 [도봉구 마을버스, 1119번 정차 정류소](창동역 출구 기준 좌측, 플랫폼아트61 앞쪽)

3. 폐선된 노선




4. 과거 운행 노선


  • 마을버스(1982~2004)
    • 50번(1기): 염광여자고등학교[5] - 신창중학교 - 신우주택 - 세인아파트 - 과연약국 - 녹십자약국 -신창교 - 한성운수(서울) - 번동사거리 - 창동서울탁주 - 신창, 창동시장 - 신창교회 - 창골 - 창골차고지[6]
    • 50번(2기): 염광여자고등학교 - 신창중학교 - 신우주택 - 세인아파트 - 과연약국 - 녹십자약국 -신창교 - 한성운수(서울) - 번동사거리 - 창동서울탁주 - 신창, 창동시장 - 신창교회 - 창동주공4단지(창골) - 창일중학교(창골차고지) - 창동역서측 →상아아파트→창동주공1단지→창동역서측[7]
    • 50번(3기): 인덕대학교 - 월계공단 - 염광여자고등학교 - 신창중학교 - 신우주택 - 세인아파트 - 과연약국 - 녹십자약국 -신창교 - 북부수도사업소 - 번동사거리 - 창동서울탁주 - 신창, 창동시장 - 외환은행 창동지점(신창교회) - 창동주공4단지- 창일중학교(차고지) - 창동역서측 → 상아아파트→창동주공1단지→창동역서측 [8]
    • 50번(4기): 청백아파트1단지 - 인덕대학교 - 월계공단 - 염광여자고등학교 - 신창중학교 - 신우주택 - 세인아파트 - 과연약국 - 녹십자약국 -신창교 - 북부수도사업소 - 번동사거리 - 창동서울탁주 - 신창, 창동시장 - 외환은행 창동지점(신창교회) - 창동주공4단지- 창일중학교(차고지) - 창동역서측 → 상아아파트→창동주공1단지→창동역서측 [9]
    • 50번(5기): 청백아파트1단지 - 대우아파트 - 청백아파트 - 인덕대학교 - 월계공단 - 염광여자고등학교 - 신창중학교 - 유원극동아파트 - 신우주택 - 초안아파트 - 세인아파트 - 과연약국 - 녹십자약국 -신창교 - 북부수도사업소 - 번동사거리 - 창동서울탁주 - 신창, 창동시장 - 외환은행 창동지점 - 신창아파트 - 도봉정보문화센터 - 창동주공4단지 - 창일중학교 - 창동역서측 → 상아아파트→창동주공1단지→창동역서측[10]
  • 도시형버스(2004~2016)
    • 1157번(1기): 청백아파트1단지 - 대우아파트 - 청백아파트 - 인덕대학교 - 월계공단 - 염광고등학교 - 신창중학교 - 유원극동아파트 - 쌍용스윗닷홈아파트 - 초안아파트 - 한승미메이드아파트 - 염광아트빌 - 북서울농협 창동지점 - 신화초등학교 - 북부수도사업소 - 번동사거리 - 창동서울탁주 - 신창, 창동시장 - 외환은행 창동지점 - 창림초등학교, 신창아파트 - 도봉문화정보도서관 - (→ 녹천역 →) - 창일중학교 - 창동역서측 → 상아아파트→창동주공1단지→창동역서측 [11]
    • 1157번(2기): 청백아파트1단지 - 대우아파트 - 청백아파트 - 인덕대학교 - 월계공단 - 염광고등학교 - 신창중학교 - 유원극동아파트 - 쌍용스윗닷홈아파트 - 초안아파트 - 한승미메이드아파트 - 염광아트빌 - 북서울농협 창동지점 - 신화초등학교 - 북부수도사업소 - 번동사거리 - 창동서울탁주 - 신창, 창동시장 - 외환은행 창동지점 - 창림초등학교, 신창아파트 - 도봉문화정보도서관 - (→ 녹천역 →) - 창일중학교 - 창동역서측 → 상아아파트 → 도봉구보건소 → 쌍문동 현대, 한양, 성원아파트 → 세그루학원(회차) → 둘리뮤지엄 → 옛고을길입구 → 정의여자중학교, 정의여자고등학교창동고등학교창동역서측 [12]
    • 1161번: 청백아파트1단지 - 대우아파트 - 청백아파트 3, 4단지 - 염광중학교, 월계중학교 - 염광고등학교 - 월계공단 - 월계주공 1, 2단지 - 인덕대학교 - [→ [[월계역(서울)|월계역]] →] - 월계헬스케어센터 - 하계극동, 시영아파트 - 하계우성, 장미아파트 - 하계역 - 중계역 - 상계백병원 - [→ [[노원구]]청(노해로) / [[노원역]] 8번출구 ← [[노원구]]청(노해로75길) ←] - 창동역동측 - 창동농협물류센터 - 창동동아청솔아파트 - 자운고등학교 - 창동쌍용아파트 - 창동아이파크 - 북한산아이파크 - [← 정병원 ←] - 방학사거리 - 신한은행 방학지점 - 국민은행 방학지점 - 방학동 신동아아파트 - 신동아타워 - 연산군, 정의공주묘 - [← 한국사회봉사회 ←] - 우이동도선사입구 - 우이동성원아파트, 동아운수차고지 - 동아운수 우이동영업소, 진성빌라사거리 - [← 북서울교회 ←] - 서라벌중학교, 우이동대우아파트 - 덕성여자대학교(회차)[13]

5. 여담


시내버스로 다니던 시절 다른 회사와 달리 전/후방 노선번호판이나 버스 옆면의 숫자 표기 시 고딕체가 아니라 명조체를 사용했었다. 지금은 마을버스 노선으로 바뀌어 명조체 숫자도 이젠 옛말이 되었지만, 옆면의 경유지 안내판의 디자인이 80년대를 연상시키게 바뀌었다. 뒷면의 커다란 사명 "번창운수" 표기는 덤.[14] 마을버스라 버스티브이로 갈아탈줄 알았지만 양진텔레콤 신형을 아직도 쓰고 있다. [15]
믿기 어렵겠지만 초창기에는 자동안내방송 시스템이 없었다. 이것은 타지역 마을버스도 마찬가지였으며 2002년경부터 자동안내방송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아울러 교통카드 단말기도 2002년부터 도입되었으며 이전까지만 해도 요금은 현금만 받았었다.
설립당시엔 노원14번(당시 50번 마을버스) 밖에 없었으며 노원15번은 역사에서 언급했듯이 2004년 대개편 당시 승한운수와 합치면서 편입된 노선이다.

6. 현재 보유차량



6.1. 현대자동차



6.2. 자일상용차



7. 과거 보유차량



7.1. 현대자동차


  • 현대 카운티 디젤[16]
  • 현대 에어로타운 디젤[17]
  • 현대 글로벌900 디젤

7.2. 자일상용차


  • 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18]
  • 대우 BS090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7.3. 기아자동차


  • 기아 AM805 콤비 디젤[19]
  • 기아 AM808 디젤[20]
  • 기아 AM818 코스모스 디젤[21]
  • 기아 AM828 뉴 코스모스 디젤[22]
  • 기아 KM828 뉴 코스모스 디젤[23]

[1] 형간으로 인한 봉급의 차이가 유력했다. 마을버스 봉급과 시내버스(지선버스)의 봉급은 확실히 차이가 난다. 당연히 시내버스가 봉급을 더 받으니 흩어질 수 밖에(...)[2] 노원15번은 한참 후 뒤늦게 개통된 캐이스[3] 당시엔 차고지가 창골에 위치했었으며 기종점이였다. 창동역 연장 후에는 주로 창골 차고지에서 운전기사 교대를 했었다. 지금은 월계동으로 이전하여 이 자리에 개인 카센터가 사업하고 있다. 당시 염광학교는 삼화상운 차고지 맞은편 월계초등학교 부지(개교 전 까지만)에서 회차만 했었다.[4] 믿기 어렵겠지만 80년대 까지만 해도 창동은 비닐하우스에 비포장 도로였던 깡시골 이였고, 공장과 대형창고가 많았었다. 그때 까지만 해도 노선을 지나던 창동주공4단지는 황량한 비닐하우스밭 천지였다.[5] 여고였다가 남녀공학으로 바뀌었다.[6] 설립일 부터 1989년 까지 운행하였다. 참고로 창동아파트단지 개발전 이였으며 당시의 주변은 비포장도로에 비닐하우스가 있는 깡시골과 다름없었다. 차고지는 창골에 위치했고 염광여자고등학교는 회차점이었다.[7] 1990년 경에 창동아파트 단지가 개발되면서 지금의 창동구간 노선으로 대폭 변경되었다. 이 때도 차고지는 창일중학교에 위치했으며 운전기사만 교대하였다.[8] 1993년 월계초등학교 개교 및 월계아파트단지가 개발되면서 인덕대학교 쪽으로 노선을 연장하였다.[9] 1997년 청백아파트단지가 개발되면서 노선을 연장하였다.이 때부터 일부 차량을 청백아파트 단지에 주박을 하기 시작했다.[10] 노선에 큰 변화는 없지만 일부 정류소를 증설하였다. 버스개편 후 1157번으로 운행했었다.[11] 2004년 7월 버스개편 때 지선버스로 승격하여 운행 하였다. 이례적으로 마을버스에서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 하였다.[12] 2005년 8월에 쌍문동 구간이 연장되면서 지금의 노선에 이르렀다. 2016년 2월에 마을버스 노원14번으로 역형간전환 하였다.[13] 2004년 7월 버스개편 때승한운수와 합치면서 신설된 노선이다. 초기에는 카운티 차종으로 운행 하였지만 가스연료의무화로 의해 더이상 디젤차량을 운행할 수 없게되자 중대형버스로 대차하게 되었다. 2016년 2월에 마을버스 노원15번으로 형간전환 하였다.[14] 일부 그린시티 차량에 한해서이다.[15] 그냥 마을버스랑 단말기 바뀐거 빼고 바뀐게 없다.[16] 1160번에서 운행하다 그린시티로 대차. 이 차량들은 1161번을 거쳐 노원15번에서 운행중.[17] 역시 1160번에서 운행하다 그린시티로 대차. 이 차량들은 1161번을 거쳐 노원15번에서 운행중.[18] 대부분 2000년대 중반에 도입되어서 대차시기는 많이 남았는데 당시 서울시내버스가 천연가스로 의무화가 되어버리면서 지방권 운수업체에 매각했으며, 이 중 4대를 안동버스에서 매입하여 운행했었다.[19] 설립당시 운행차종 이였으나 증차분 목적으로 소수 존재했었다. 초기형1기(가로형 후미등)와 초기형2기(새로형 후미등) 둘다 보유했으며 1991년에 AM818 코스모스로 조기대차되었다.[20] 설립당시 주력 운행차종 이였으며 1992년에 AM818 코스모스로 전부 대차되었다.[21] AM805 콤비와 AM808의 대체 차종이며 1991년에 대차하기 시작한 전문밖에 없는 무냉방 모델이였다. 1999년에 AM828 뉴 코스모스로 전부 대차 되었다.[22] 기아 AM818의 대체 차종이며 1996년에 1대 증차도입을 시작으로 1997년에 대차하기 시작한 냉방형에 전/중문형 모델이였다. 버스개편후 2006년 경에 대우 로얄미디 디젤로 대차되었다.[23] 2002년에 증차목적으로 추가도입된 차종이며 헤드램프와 리어램프가 변경된 모델이였다. 대차시기가 많이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천연가스 의무화로 의해 2008년경에 조기대차되어 사실상 기아모델의 최후 차량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