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자(객가어)
Pha̍k-fa-sṳ (PFS) / 白話字 / 白话字
- 복사용
1. 개요
중국어의 방언인 객가어, 특히 대만 객가어를 적는 데 사용되는 로마자 표기법(병음)이다. 문자 그대로 백화(구어)를 적는 문자라는 뜻. 이름이 같은 민남어(대만어 포함)의 백화자(Pe̍h-ōe-jī·POJ)를 객가어에 맞게 수정한 것이다. 민남어의 백화자와 구분하기 위해 '''객어백화자'''(客語白話字/客语白话字)라고도 불린다.
오늘날 대만(중화민국)에서 객가어 발음 표기 시 거의 이 표기법이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객가어 위키백과#도 백화자로 된 문서와 한자로 된 문서를 함께 만드는 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한편 대만에서는 다른 표기법으로 대어통용병음이 쓰이고 있으며, 중화민국 교육부가 표준중국어 발음을 나타내는 한어병음을 객가어에 맞게 수정하여 교과서 등의 공식 발음 표기법으로 채택한 객가어병음방안이라는 것도 있다. 중국 대륙의 경우 광동성 정부 교육부에서 만든 객가화병음방안(客家話拼音方案/客家话拼音方案, Hakka Transliteration Scheme)이 존재하고 홍콩에서는 劉鎮發(Lau Chun-fat)이 고안한 객화병음(客話拼音/客话拼音, Hagfa Pingyim) 등이 있다.
2. 역사
스위스 바젤 선교회 소속 스웨덴 선교사 테오도르 함베리(Theodore Hamberg, 韓山明 또는 韓山文, 1819~1854)와 독일 선교사 루돌프 레흘러(Rudolf Christian Friedrich Lechler, 黎力基, 1820~1908) 등이 1847년 청나라에 입국한 뒤 영어·독일어·객가어 사전[5] 을 편찬하면서 객가어 백화자를 고안했다고 전해진다.
3. 표기법
대만의 백화자와 중국 대륙의 백화자가 미세하게 다른데 여기서는 대만의 백화자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중국 대륙의 백화자는 뒤에서 다루도록 한다.
이후 표기에서 \[ \] 안에 있는 문자는 국제음성기호이고, 주음부호는 대어방음부호[6] 이다.
3.1. 표기 문자
[1] 유니코드에서는 이 문자를 위한 단독 코드가 할당돼 있지 않아서 점이 있는 소문자 i(U+0069) 다음에 COMBINING RING ABOVE(U+030A)를 입력하여 나타낸다. 이게 유니코드 표준이지만 일부 폰트에서는 비정상적으로 렌더링될 수 있다. 소문자 i나 j에 문자 위에 붙이는 보조 부호가 결합할 경우 i나 j의 점을 지우는 게 정석인데 일부 폰트는 이 원칙을 지키지 않는다. 이런 폰트는 다음 글자를 사용할 것.[2] 유니코드에서 소문자 i의 점을 지운 글자 ı(U+0131) 다음에 COMBINING RING ABOVE(U+030A)를 입력한 문자. 사실 이건 정석대로 입력한 게 아니다. 하지만 일부 폰트에서는 i(U+0069)에 보조 부호를 결합하면 비정상적으로 렌더링될 수 있다. 소문자 i나 j에 문자 위에 붙이는 보조 부호가 결합할 경우 i나 j의 점을 지우는 게 정석인데 일부 폰트는 이 원칙을 지키지 않는다. 이런 폰트를 위해 i 대신 ı를 사용였다. 참고로 ı라는 문자는 터키어 등에서 사용되는 글자이다.[3] 유니코드에서는 이 문자를 위한 단독 코드가 할당돼 있지 않아서 점이 있는 소문자 i(U+0069) 다음에 COMBINING VERTICAL LINE ABOVE(U+030D)를 입력하여 나타낸다. 이게 유니코드 표준이지만 일부 폰트에서는 비정상적으로 렌더링될 수 있다. 소문자 i나 j에 문자 위에 붙이는 보조 부호가 결합할 경우 i나 j의 점을 지우는 게 정석인데 일부 폰트는 이 원칙을 지키지 않는다. 이런 폰트는 다음 글자를 사용할 것.[4] 유니코드에서 소문자 i의 점을 지운 글자 ı(U+0131) 다음에 COMBINING VERTICAL LINE ABOVE(U+030D)를 입력한 문자. 사실 이건 정석대로 입력한 게 아니다. 하지만 일부 폰트에서는 i(U+0069)에 보조 부호를 결합하면 비정상적으로 렌더링될 수 있다. 소문자 i나 j에 문자 위에 붙이는 보조 부호가 결합할 경우 i나 j의 점을 지우는 게 정석인데 일부 폰트는 이 원칙을 지키지 않는다. 이런 폰트를 위해 i 대신 ı를 사용였다. 참고로 ı라는 문자는 터키어 등에서 사용되는 글자이다.[5] 영어→독일어→객가어.[6] 대만어(대만 민남어)와 대만 객가어를 표기하기 위해 고안된 주음부호의 확장판.[7] 이 표에서는 편의상 첫 글자만 대문자로 적었다. 물론 두 번째 이후의 문자들도 전부 대문자로 적으려면 적을 수는 있다.
객가어에서 성조 부호를 뺀 기본 표기 문자 중에서 가장 특이한 문자가 Ṳ/ṳ이다. 한국어의 '으' 발음과 비슷한 음소를 표기하기 위해 만든 기호이다.
객가어 백화자에서는 민남어 백화자와 마찬가지로 무성 무기 파열음/파찰음을 영어에서 주로 무성 파열음/파찰음 기호로 사용되는 문자들을 할당하고, 무성 유기 파열음/파찰음을 무성 무기음 기호 뒤에 h를 이어 쓰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8] 그런데 객가어의 \[\ts\]~\[tɕ\] 음소에 ch를 할당하는 바람에 \[\tsʰ\]~\[tɕʰ\]는 다른 언어의 표기법에서 흔히 보기 어려운 chh가 할당되었다(...).[9]
3.2. 자음(consonants)과 반모음(semivowel)
[8]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중 한국어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이 이와 비슷하다. 한국어의 예일식 표기에서 한국어의 예삿소리(평음)를 영어에서 주로 무성 파열음/파찰음 기호로 사용되는 철자들을 할당하고, 거센소리(격음)을 예삿소리에 할당된 문자 뒤에 h를 더하는 형태로 표기한다. 다만 한국어의 예일식 표기에서 예삿소리 /ㅈ/을 (이질감을 감수하고) c로 적어 여기에 대응되는 거센소리 /ㅊ/는 ch로 적게 되었기에 백화자처럼 chh 같은 표기는 없다.[9] 참고로 북한의 로마자 표기법은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수정한 것인데, 원칙적으로 거센소리를 예삿소리 문자 뒤에 h를 덧붙이는 것으로 바꾸었다. 그런데 그럴 경우 ㅈ(무성 무기음) = ch, ㅈ(유성 무기음) = j, ㅊ(무성 유기음) = chh이 돼야 하는데 북한은 chh이 마음에 안 들었던 모양이다. 결국 ㅈ만은 유·무성 변이음을 무시해 j로 고정 표기하게 하고, ㅊ은 ㅈ과의 관계를 무시하고 ch라고 적게 하였다.[10] 원래의 주음부호에서는 무성 연구개 마찰음인 \[x\]을 나타내지만 대어방음부호에서는 무성 성문 마찰음인 \[h\]를 나타낸다. 어차피 중국어의 많은 방언에서 둘은 한 음소의 변이음이다.
그리고 치경음·후치경음이 i 모음 앞에 오면 치경구개음으로 바뀌는데, 치경구개음도 i 앞에서 오는 변이음이기 때문에 백화자에서는 자음 자체의 표기를 바꾸지 않고 단지 뒤에 i가 오는 것을 보고 구분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비슷하게 유성 연구개 비음 ng 뒤에 모음 i가 오면 유성 경구개 비음으로 바뀌는데, 이것도 변이음으로 보아 백화자에서는 자음 자체의 표기를 바꾸지 않고 단지 뒤에 i가 오는 것을 보고 구분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 대륙에서 쓰이는 객가어의 일부 하위 방언의 경우 유성 경구개 비음 뒤에 i가 아닌 모음이 올 수가 있어서 이 방언을 기준으로 하면 ng의 변이음이 아니라 독립된 별개의 음소로 간주된다. 그래서 중국 대륙의 객가어 백화자는 이 음소를 ny로 기재한다.[11]
y는 백화자가 준거한 객가어 하위 방언의 발음 체계에서 유성 경구개 접근음 \[j\]로 발음되기 때문에 영어에서 흔히 이 발음을 표기할 때 쓰는 y를 채택한 것이다. 그러나 객가어의 다른 하위 방언에서는 이 음운이 다르게 발음되기도 한다. 대만의 북사현 방언(北四縣腔)에서는 실제 큰 차이가 없는 \[i̯\]로 발음되고, 남사현 방언(南四縣腔)에서는 \[j\] 또는 \[ji̯\]나 \[i̯\] 등 다양하게 발음된다. 해륙 방언(海陸腔)에서는 흠좀무하게도 순수 자음인 \[ʒ\]로 발음된다.[12] 그래서 위 표에서 y가 발음에 따라 중복 표기돼 있다.
3.2.1. 운미(韻尾)로 쓰이는 자음(coda endings)
[11] 중국어 위키백과 客語白話字 항목의 설명에 따르면 산터우출판(汕头出版)에서 간행한 《客英词典(객영사전)》이 이런 표기를 사용한 책 중 하나라고 한다.[12] 국제음성기호와는 차이가 있지만 프랑스어의 j가 마침 이렇게 발음된다(다만 엄격히 말하자면 프랑스어의 j는 원순음화도 수반되어 \[ʒʷ\]가 정밀 전사 표기이지만, 프랑스어의 음운 체계상으로는 원순성의 유무가 음소의 변별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간략 전사 시 ʷ을 기재하지 않는다). 과거 객가어의 해륙방언이나 프랑스어에서 \[j\]로 발음되던 음소가 현대에 와서 \[ʒ\]로 바뀐 것이다.[13] 대어방음부호에는 ㄍ(한어병음: g,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k)를 작은 글씨로 쓴 문자가 쓰이는데 아직 유니코드에는 들어가지 않아 이 표에서는 부득이 ㄍ를 작은 글씨로 축소하여 적었다. 대어방음부호와 별개로 윤음부호(閏音符號)라는 확장 주음부호 체계가 존재하는데, 여기서는 해당 발음을 ㄎ(한어병음: k,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kʻ)를 작게 쓴 ㆶ를 사용한다. 다른 윤음부호들은 현재 유니코드에 수록되지 않았고 대어방음부호는 수록됐는데 유독 이 \[k̚\] 발음만 대어방음부호인 작은 ㄍ 대신 윤음부호인 ㆶ로 수록되었다. 유니코드 콘소시엄 실무진들의 실수로 보인다. 앞으로 유니코드 후속 버전에서 기존에 누락됐던 대어방음부호인 작은 ㄍ와, 윤음부호나 다른 확장 주음부호 체계의 문자들이 추가로 수록되어야 할 것이다.
3.3. 모음(vowels)
표준중국어의 한어병음 등과 달리 음절이 i, u로 시작할 경우 y, w로 교체하거나 y, w를 덧붙이는 규칙이 없다. 이 점은 민남어 백화자와 동일하다.
3.4. 성조(聲調, tones)
성조 부호는 성절음(음절 핵) 위에 보조 부호를 쓴다. 물론 소문자 i 위에 성조 부호를 적을 경우 i의 점을 지우고 그 자리에 부호를 덧붙인다. 아래 표에서 입성(入聲) 계열인 음입과 양입은 운미에 무성 무기 파열음 문자 중 하나(k, t, p)가 추가돼야 하며, 나머지 성조는 무성 무기 파열음 문자가 운미로 쓰이지 않아야 한다.
성조가 인접한 성조로 인해 발음이 변화하는 경우 변화한 성조를 무시하고 원래의 성조 그대로 표기하는 게 원칙이다. 다만 필요할 경우 변한 성조대로 적어서 음의 변화를 제시하는 것도 가능하긴 하다. 이 점은 중국어의 다른 많은 표기법들과 같다.
3.5. 띄어쓰기와 음절 구분(격음·隔音)
표준중국어의 한어병음 정사법 기본 규칙에서와 마찬가지로 단어 단위로 띄어쓰기를 한다. 그러나 한어병음과 달리 한 단어 내의 음절 경계에 '''항상''' 이음줄(-)을 기재한다. 이 점은 통용병음이나 웨이드-자일스 표기법과 동일하다.
3.6. 대만과 중국 대륙의 표기상 차이점
- 대만의 백화자에서는 \[ɲ\] 성모를 \[ŋ\](ng) 성모가 i 앞에 왔을 때 생기는 변이음으로 취급하여 \[ŋ\]과 동일하게 ng으로 적는다. 반면 중국 대륙의 백화자에서 다루는 객가어 하위 방언 중 일부의 경우 \[ɲ\] 성모가 다른 모음 앞에서도 존재할 수 있는 별개의 음소라서, ny로 표기하여 ng으로 표기되는 \[ŋ\]과 구분하고 있다.
- 대만의 백화자에서는 s로 적는 성모를 중국 대륙의 백화자에서는 sh로 표기한다.
- 대만의 백화자에서 ch, chh로 적는 성모를 중국 대륙의 백화자에서는 각각 ts, tsh로 표기한다.
- 중국 대륙의 백화자에서는 o 앞에 k, kh 성모가 오면 각각 kw, khw로 적어서 원순성을 강조한다. 하지만 대만에서는 그냥 k, kh로 적는다.[18]
- 성조를 나타내는 보조 부호(diacritics)가 다음과 같이 다르다.
4. 전산화
4.1. 입력기(IME)
Taiwanese Pack, FHL Taigi-Hakka IME 등의 IME도 존재한다.
4.2. 폰트
백화자에 사용되는 문자들을 완전하게 렌더링하는 유니코드 폰트가 제한돼 있다. 백화자 문자들을 완전하게 렌더링하는 무료 폰트로 Charis SIL, DejaVu 폰트, Doulos SIL, Linux Libertine, Taigi Unicode(파일 직접 다운로드 링크) 등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