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강서13
1. 노선 정보
2. 개요
부산광역시 강서구의 마을버스 노선. 총 운행거리는 53.2km로 마을버스 중에서는 기장3번과 더불어 운행 거리가 세번째로 길다.(기장3번은 54.0km) 또한 기점과 종점이 강서구가 아닌 사하구랑 북구라는 것이 특징이다. 줄여 말해 인 강서 노선이다.
영어로는 GS13번이라고 표시된다.
3. 역사
초기에는 번호만 다르고 노선, 운행회사까지 모두 똑같던 강서8번과 같이 운행했다. 운행차량은 두 노선 모두 91년식 무냉방 '''BS105'''[2] 다만 일반버스와 다르게 아래부분 라인에[3] 노란색을 입혀서 시내버스와 혼동되는 일은 적었다.
이후 2000년대 초반 BS105들은 인천 출신의 BS106 하이파워로 서서히 대차되고 이후 2000년대 중반부터 중형화가 시작되어 BM090이 투입되더니 이후 동래7번 출신의 글로벌 900이 투입되었으며, 현재에는 현대 그린시티가 주력 차종이다.
2014년 12월 27일부터 서부산유통단지와 서부산유통지구역을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2017년 5월에 팽나무로까지 연장될 예정(관련 공지사항)이었으나 반대 민원이 많아 보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4. 특징
'''강서구 마을버스 노선들 중에 인대가 8대로 가장 많으며 배차간격 또한 20분 정도로 가장 짧은 노선이다.''' 또한 이 노선은 하단교차로와 덕천교차로를 잇는 노선으로 기점과 종점이 강서구가 아닌 사하구와 북구라는 것이 특징이다.[4]
노선 형태를 보면 강서구를 종단하는 ㄷ자 모양을 띄고 있는데, 하단에서는 낙동강하구둑을 건너가고 구포에서는 구포대교를 건너간다. 덕천 방면은 을숙도를 넘어 명지새동네를 지나서 유턴한 후 명지시장을 경유한 뒤에 공항로를 따라 도중에 서부산유통지구와 김해국제공항을 경유하며 강서구청까지 쭉 운행한다. 따라서 공항로 연선 마을(덕두마을, 산소마을, 금호마을, 염막마을, 용두마을 등등..) 주민들의 거의 유일한 교통수단이기도 하다.[5][6] 맥도자연생태공원을 경유하는 버스이기 때문에 소풍철에는 이용객이 많아진다. 더불어 하단역 방면에서 김해국제공항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라서 김해국제공항 이용객들도 이 노선을 제법 이용하는 편이다.
초기에는 김해국제공항을 경유하지 않았으나 300번이 폐선되면서 대체 노선으로 강서11번과 같이 김해국제공항에 들어가게 되었다. 307번과 달리 2층에 올라가지 않고 1층 도착장에서 승하차하므로 출국을 위해 이 버스를 타는 승객은 참고할 것. 출국 승객은 도착장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2층으로 올라가서 탑승수속과 출국심사를 받으면 된다.
원래 국제공항행 노선은 좌석버스가 많은데(김포공항도 거의 좌석버스였다) 2000년대 들어서 입석형으로 많이 전환되었고 김해공항은 특이하게도 마을버스가 간선버스 역할까지 하고 있다. 나름 공항버스라 그런지 배차간격도 짧다.(환승대기시간이 60분이 아닌 몇 안 되는 강서구 마을버스)
반면에 구포 방면에서는 2011년 부산김해경전철의 개통으로 인해 공항으로 가려는 승객들이 제법 줄어든 모양. 307번이랑 노선이 100% 중복되기 때문이다. 김해국제공항에서는 이 노선이 하단역으로 유일하게 가 주기 때문에 하단방면 이용객들이 상당한 편이다.
기점인 덕천과 종점인 하단 모두 부산의 대표적인 부도심 번화가 지역이라서 중간에 낀 공항로 연선 마을주민들의 이용객 또한 상당한 편이며, RH에는 가축수송하기도 한다.
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노선 중에서 노선 길이가 53.2km로 세 번째로 긴 노선이다.(1등은 59km의 강서7-2번, 2등은 54km의 기장 3)
장거리 노선으로 잘 알려진 시내버스 15번과 반송~신라대학교를 운행하는 129-1번보다 운행거리가 약 0.2km 더 길고 금정공영차고지~부산대~명장동~서면~안창마을을 운행하는 29번과 운행거리가 같다.
하단과 구포에서 서로 반대 방면으로 가려고 이 버스를 타게 되면 팔자에도 없는 강서구와 김해국제공항 투어를 하게 되므로 126번을 이용해 주자.[7] 앞서 말한 두 버스는 낙동대로를 직통하여 가장 빠르게 두 지역을 연결한다.
덕두마을 일대에서는 이 버스를 타고자 할때 주의를 요하는데 구포, 하단 양방향의 정류장이 같은 곳에 위치한다. 차량 앞에도 "하단 방면"과 "구포 방면" 행선판을 항상 부착하고 운행하니 반드시 방향을 확인 후 탑승하도록 하자.
그리고 하단역에서 출발하는 막차의 경우 김해공항, 구포시장, 덕천교차로까지 못 간 덕두마을에서 운행을 종료하므로 이로 인한 낭패보는 일 없도록 하자.
회차의 경우 구포시장종점 정류장을 경유하여 P턴하는 것이 아닌 구포시장환승센터를 지나서 덕천교차로에서 우회전하여 46번, 160번, 169번이 정차하는 덕천교차로 정류장에서 회차하는 방식이다. 덕분에 구포시장과 덕천역 환승 수요를 제대로 흡수하고 있으며 시내버스 저리가라 할 정도로 이용객이 넘쳐난다.
4.1. 시각표
- 평일 시간표
- 휴일 시간표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 [image] 부산 도시철도 1호선: 하단역
- [image]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덕천역
- [image]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덕천역, 구포역, 강서구청역
- [image] 부산김해경전철: 서부산유통지구역, 공항역, 덕두역, 등구역
- 일반 철도역: 구포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
[1] 이 노선에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05년식 로얄미디 디젤 대차분 차량이다.[2] 전국적으로도 BS10'''5'''를 '''마을버스'''로 운행했던 노선은 이 노선이 거의 유일하다고 전해지고 있다. 더불어 부산 시내버스의 BS105는 1998년에 전부 대차되지만 이 노선의 차량은 2001년까지 다녔다.[3] 부산 마을버스 구도색은 일반버스 구도색에 윗쪽 라인에 노란색을 입힌 도색이다. 하지만 강서구의 대형 마을버스들은 대부분 아랫쪽에 노란색을 입혀서 운행했다.[4] 강서구의 다른 마을버스 노선들은 종점만 사하구나 북구며 출발하는 기점은 강서구이다.[5] 555번도 경유하지만 평일 출퇴근 시간 한정이고 1009번은 배차간격이 무려 45분.. 게다가 비싼 급행버스이기 때문에 수요층이 모두 강서13번으로 죄다 몰린다.[6] 금호마을의 경우 강서3번이 금호마을 내부를 경유하지만 배차간격이 1일 7회로 매우 좋지 못하며 군라, 신노전, 사취등 등 제도로 일대를 경유해 빙빙 돌아가는 선형이라 13번을 주로 이용하는 편이다.[7] 123번도 있으나 구포역에서 타게 되면 유턴하여 구포대교를 건너 김해방면으로 빠져나가므로 절대 구포역에서 타면 안된다. 123번은 하단에서 구포 갈 때만 이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