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하얗게 불태워 버렸어
[image]
'''燃えたよ… 燃え尽きた… 真っ白にな…'''
'''불태웠어... 불태워 버렸어... 새하얗게...'''
1. 개요
유명한 권투만화인 내일의 죠에서 주인공 야부키 죠가 망가진 몸으로 호세 멘도사와 처절한 명승부를 펼친 후 녹초가 되어 뇌까리는 대사로 내일의 죠를 한 마디로 대표하는 초절 명대사다.
이 대사를 위한 밑 준비는 죠가 카를로스 리베라와 명승부를 펼친 이후 이미 준비되었다. '''번아웃 증후군'''처럼 목표를 잃고 하루하루를 공허하게 보내던 죠는 자신을 좋아하는 여성 하야시 노리코로부터 권투를 그만두길 권유받는다. 그때 죠는 이런 대답을 한다.
이 대사는 권투에 대한 죠의 애정과 신념을 그대로 담고 있으며, 이런 죠의 뜻을 이해한 후에야 저 명대사의 의미를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죠는 이 이전에도 리키이시 토오루나 카를로스를 보고 불태웠다는 표현을 썼다. 이들처럼 모든 걸 쏟아부은 후회없는 삶을 살고 싶다는 말이다. 이 말을 듣고 일반인인 하야시 노리코는 자신은 그런 세계를 이해할 수 없다며 죠를 포기한다."죠는 외롭지 않아? 같은 나이대의 청년들은 산으로, 바다로 연인과 함께 청춘을 즐기고 있는데..."
"표현이 좀 부족할지는 모르지만, 나는 의무감이나 의리만으로 권투를 하고 있는 건 아니야.
권투를 좋아하기 때문에 하고 있는 거야.
방금 노리코가 말하는 청춘을 즐기는 것하고는 조금 다를지 모르겠지만...
끓어오르는 환희 같은 건 지금까지 수도 없이 느끼며 살아왔어...
피범벅이 된 링 위에서!
지천에 널린 다른 녀석들처럼 픽픽거리며 불완전 연소 된 인생을 살아가고 있는게 아니야.
아주 짧은 순간일지언정 눈부실 정도로 새빨갛게 타오르지.
그리고... 그 후엔 '''새하얀 재만 남는 거지. 타다가 마는 일은 없어. 오로지 재만 남는 거야.'''"
참고로 만화판에서의 내일의 죠 마지막 장면은 그냥 죠가 하얗게 재가 남은 듯한 연출로 앉아있는 모습 뿐이고 실제로 이런 대사를 말하진 않는다. 새하얗게 재가 될 때까지 불타고 싶다는 말은 죠가 이전부터 되뇌던 말로써, 저 장면에선 그 소원대로 모든 것을 불태운 것을 함축적으로 보여준 것이다.
이 말을 하고 죠가 모든 걸 불태우고 탈진해서 사망했다는 루머가 돌았는데 작가가 살아있다는 말로 일축. 하지만 모든걸 쏟아붓고 선수로써의 생명은 정말 끝났다는 느낌은 지울 수 없는 말이다. 원래 엔딩의 원안은 시라키 저택에서 여생을 보내는 죠의 모습을 그릴 예정이었으나 치바 테츠야의 반대로 변경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아마도 죠의 선수 생명이 끝난 모습을 직접 묘사하고 싶진 않았기에[1] 열린 결말처럼 처리해놨더니 팬들이 멋대로 사망진단을 내려버려서 급히 수습하려고 발언한 것으로 보인다. 나중에 치바 테츠야가 이 원안을 그려서 올렸는데 편안하게 쉬고있는 모습이긴한데 선수 생활을 계속하는 것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데자키 오사무 감독의 애니메이션에서도 이 장면에선 꽤나 흥겨운 음악이 흐르며 절망적인 상태가 아님을 암시한다. 그런데 한국 더빙판에선 이 노래가 일본어라고 무음으로 처리하였기 때문에 굉장히 절망적인 상태로 보였고, 죽었다고 해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당시 한국에서 죠를 담당했던 이규화도 해당 장면에서 죠가 죽었다고 생각해서 하이텔 애니 동호회 모임에서 "모든 것을 불태우고 멋있게 죽는다"고 발언했다. 다른 관점으로는 정말로 죠가 죽었다면 죠가 즉신불이 된 게 아닌 이상 저렇게 허리를 펴고 앉아있을 수가 없다. 의자에서 쓰러져 바닥에 넘어졌을 것이다.
이 대사는 TV판에서 등장하는데, 의자에 앉아있는 위 장면이 아니라 최종 라운드 종료의 공이 울린 후 링 사이드로 돌아가기 전에 멍한 표정으로 마음속으로 하는 말이다. 의자에 앉아서 화면이 하얗게 바뀌는 모습에서는 , 삽입곡인 청춘의 종장~JOE…FOREVER~가 흐르면서 죠의 모습이 줌아웃된다.
바쿠만에서 내일의 죠가 주인공인 마시로 모리타카가 좋아하는 만화로 나온다. 만화를 소재로 한 만화답게 여러 만화의 오마쥬가 많이 나오는데, 이 명장면 또한 인용되었다. 마시로 모리타카가 동창회에 다녀온 후에 자신과는 다른 청춘을 즐기며 사는 친구들을 보며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타카기 아키토와 만난 모리타카는 보통 사람들과 다른 자신의 삶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같이 아시로기 무토콤비를 이루고 있는 타카기 아키토는 모리타카에게 이런 말을 해준다.
"우린 다른 애들하고 다르잖아... 중3 때부터 줄곧 만화만 파느라 거의 놀지도 못 했고.
난 미팅이나 노래방도 가본 적 없고.바다나 스키도 만화를 그리게 된 이후로는 전혀...."
"사이코(모리타카의 별명) 보통 사람들만큼 놀고 싶었어...?"
".. 아니. 놀았다면 지금의 난 없었을 거고, 지금도 충실한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해.
단지 다른 애들하곤 다르구나, 하고 느낀 것 뿐이야"
"그야말로 네가 좋아하는 '도전자 허리케인[2]
'이네""응, 나도 애들이랑 얘기할 때 죠와 노리의 대화가 떠올랐어."
"'모리타카는 외롭지 않아? 같은 나이대의 청년들은 산으로 바다로 연인과 함께 청춘을 구가하고 있는데...'"
"'방금 네가 말한 청춘을 구가한다는 것과는 좀 다를지 몰라도 불타는 듯한 충실감은 수도 없이 맛보며 살아왔어.
잉크투성이의 원고 위에서'"
"'지천에 널린 다른 녀석들처럼 픽픽거리며 불완전 연소하고 있는 게 아니야.
불과 짧은 순간이라 해도 눈부실 정도로 새빨갛게 타오르지.' 였던가?"
"'그리고 그 자리엔 새하얀 재만 남는다..."
2. 타 작품 속 활용
뭔가를 엄청난 것을 지르든가, 아니면 엄청난 걸 성공하거나, 엄청난 후폭풍을 각오하고 시작한 뒤에 나오는 패러디 연출 정도로 쓰인다.
- 붕붕드링크의 후유증으로 알려져있으며, 강력한 걸 먹으면 새하얗게 불태운 느낌을 느낄 수 있을...지도 모른다.
- 영화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에서 탄약 다 나간 화력담당 오토봇이 지르는 대사이기도 하다.
- 이런 영웅은 싫어 만화 속 등장인물 레이디가 주인공 나가의 일격을 자신의 특기로 저지하고나서 이것을 시전한 모습이 슬쩍 지나간다. 아마 주인공의 특기가 넘사벽으로 강하다는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작가의 의도인듯
- 용자왕 가오가이가 30화에서 탄환X를 사용하여 파스다를 쓰러뜨리고 난 뒤 시시오 가이의 모습이 위 장면과 유사하다. 탄환X를 사용하면 G스톤의 힘을 일정 시간 동안 극한까지 이끌어낼 수 있지만 이후 G스톤은 기능을 정지하므로, G스톤에 의지하여 생명을 이어가던 가이의 입장에서는 파스다를 타도하기 위해 정말로 모든 것을 하얗게 불태운 셈. 이렇게 가오가이가 끝! 인줄 알았으나...
- 포켓몬스터 금·은 버전에서 불탄탑 1층에 등장하는 불놀이꾼 트레이너 중 하나를 이기면 새하얗게 불태웠다며 게임 내 스프라이트가 하얀색으로 변한다.
- 천원돌파 그렌라간의 스포일러의 사망씬도 이의 오마쥬로 보인다.
- 단간론파 -희망의 학원과 절망의 고교생-의 스포일러의 사망씬 역시 이를 패러디하였다.
-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14화에서 마지 레드로 변신한 오즈 카이가 오즈 츠바사의 특훈으로 얻은 권투 마법으로 마수를 무찌른 후 자신을 만나러 온 짝사랑 상대 야마자키 유카를 안아 주었으나 하필 유카가 짝사랑하는 건 마지 레드였고... 덕분에 후일담에서 이 상태로 상심해있던 걸 남매들이 K.O. 패라며 놀린다.
-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 41화에서 신 단 쿠로토가 가샤트 제작에 너무 무리한 나머지 새하얗게 불타면서 여러번 게임 오버된다.
- 블렌드·S 애니에서 디노가 호시카와 마후유하고 가위 바위 보의 대결에서 패배 해서 바로 다음신에서 이걸 시전한다. 그후 사쿠라노미야 마이카가 실수로 재료를 잘못 넣은 파르페를 맛본뒤 이걸 또 시전한다.
- 바보와 시험과 소환수 애니 1기 7화에서 사카모토 유우지가 시전했다. 유우지는 키리시마 쇼우코와 함께 놀이공원으로 간 상황이었는데, 연애조작단의 작전으로 '웨딩 체험'이 걸린 퀴즈에서 일부러 오답을 내도 전부 정답으로 처리되자 자포자기하며 시전한다. 심지어 위에 나온 장면 그대로.
- 켄간 아슈라의 주인공 사망씬이 이와 오마주이다.
- 기사룡전대 류소우저 28화에서 전력으로 마이너소어를 박살내버린 키시류오 파키거루와 치비거루가 시전한다.
- 용왕님의 셰프가 되었습니다 200화의 일러에서 패러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