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전선/RF
[clearfix]
1. 개요
소녀전선의 병과 중 하나로 낮은 체력, 극히 높은 화력, 높은 명중, 낮은 회피, 낮은 사속을 보유한 병과. 보통 RF를 대강 읽은 랖으로 지칭한다.
'''모든 전술인형을 통틀어 화력스탯 상위 41명이 모두 RF'''[4] 일 정도로 평균적으로 화력이 높은 편이다. 또한 RF는 사정거리 내에 들어온 적 중 후방을 우선 타격한다.
2. 상세
명칭에서 볼 수 있듯이 SR(스나이퍼 라이플)이 아니고 RF(라이플)이다. 전투소총, 볼트액션 소총, 저격소총, 지정사수소총 등 AR(돌격소총)이 아닌 소총과 대물저격총까지 포함하는 폭넓은 병종이다. 단, IWS 2000은 탄환 특성 상 총열에 강선(rifling)이 없기 때문에 소총(rifle)이 아닌데도 RF 분류에 포함되며 반자동 사격만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소총(Auto Rifle)'이 아닌 RFB는 반대로 AR 병종에 속하는 것을 봤을 때 일반적인 총기 외형도 어느 정도는 반영했다.
사속의 경우 실제 볼트액션 소총이나 저격소총들이 자동소총에 비해 사격 속도가 떨어지는 점을 충실히 반영했다. 뻑하면 사속 최대치 제한에 걸려 사속 버프가 제한적으로 활용되는 AR 병종과 비교하면, RF들은 기본 사속이 낮아 사속 한계치에 걸릴 일이 거의 없으며 따라서 사속 버프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더 높다.
스킬에 따라 크게 자버프계와 죽창계로 나뉜다. 자버프계는 말그대로 스킬을 발동하여 자신의 화력/사속/명중 등을 올리는 개념이고, 죽창계는 저격 스킬을 보유하여 특정 적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는 방식이다. 소전 초기에는 주로 자버프계는 만능형, 죽창계는 특수목적 용도로 굴린다는 인식이 있었고, 요정의 추가로 자버프 RF들의 한계치가 많이 올라가 죽창계 RF들이 거의 몰락 직전까지 갔던 적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메타는 거기에 맞는 상위 스펙의 적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인식이 달라졌다. 2019년 즈음부터 고장갑, 고체력의 적들이 쏟아지고 죽창계에도 좋은 스킬을 가진 인형들이 속속 나오면서 죽창계 RF들도 랭킹전 메타에 이름을 다시 올리기 시작했다. 포도카노는 죽창계 RF들의 인식을 바꾸게 해준 핵심 인형으로, M4A1이 AR이 아닌 무언가로 불리는 것처럼 포도카노노 죽창RF이 아닌 별도의 병종이라는 드립이 공공연하게 나올 정도다. 2020년에 들어서는 단일 타겟 중심의 고화력 병종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한양조나 KSVK 같이 물량전 특화 RF들이 활약하는 메타까지 찾아왔다.
AR과 더불어 기초적인 딜러이지만, AR이 밸런스 위주의 다목적형 딜러라면, RF는 치명타 위주의 누커형 딜러다. 단, AR과 달리 '''RF 병종은 야시장비를 장착할 수 없다'''. 따라서 야간전에선 명중률이 한자리로 떨어지게 되므로 고명중라이플에 명중버프를 끼얹거나 필중패시브를 가진 라이플을 편제하는게 아니라면 고회피의 적은 피하고 장갑병 위주로 상대를 할 수 밖에 없다. 다만 장갑병이 조금이나마 회피를 달고 쏟아져 나온다면, 명중 버프와 적 회피 감소 스킬을 때려부어서 약간이라도 Miss를 줄일 필요가 있다. 이벤트 랭킹전 혼돈폐막이 여기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사례.
광학장비의 경우 다른 부속은 DPS 증가에 큰 메리트가 없어서 사실상 옵티컬로 장비가 고정되고, 따라서 높은 치명타 확률을 항상 보유하게 된다. 여기에 인형 장비인 슈트가 치명타 대미지를 최대 25%까지 증폭해 줘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과거 치명타 대미지 증가 효율이 낮았을 때는 크게 체감되지 않았지만, 패치 후에는 이 증가 효율이 3배로 뛰어올라 현재는 확실히 체감할 수 있다.
여담으로 1회 공식 인기 투표를 보면 모신나강을 제외한 4~5성 라이플이 전부 상위권을 차지한 기현상을 볼 수 있었다. 10위권 안에서 4성 이상의 라이플이 아닌 경우는 M1 개런드와 톰슨, AK 47 정도이며, 그 아래의 득표수는 거의 거기서 거기 수준. 이후 영혼계약 시스템 도입에 맞춰서 가장 계약하고 싶은 전술인형 인기투표에서도 5성 라이플 전원과 스프링필드가 여전히 상위권이었다.
3. 육성과 운용
3.1. RF병종의 육성
RF병종은 초반부터 활약이가능한 AR병종과 달리 초반전역에서 운용과 동시에 육성을 하면 아래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 RF 병종은 한 발 한 발의 피해량이 높은대신 사속이 느리기때문에 HG 병종의 서포트를 받아서 사속을 올리거나 AR병종에 섞어서 편제하고 후열의 체력이 약하지만 화력이 강한 딜러를 제거하는 방식이 기본 운용이지만 초반 지역에서는 전열의 적이 약하고 장갑도 없거나 얇아서 빨리 제거되기 때문에 굳이 RF병종이 필요하지 않다.
- 딜링에 관련된 장비는 50레벨에 모두 장착할수 있는 AR병종과 RF는 달리 80레벨이 돼야 전부 장착이 가능한 관계로 80레벨 이전에는 AR대비 피해량도 낮게 나오므로 후열 제거 용도로 사속 자버프를 가진 RF나 기본사속이 빠른 M14를 투입하여 후열 예거를 상대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초반 부터 RF를 제대에 투입할 실용성도 떨어진다.
- 마찬가지로 RF를 지탱해주는 권총들은 80레벨이 되어야 외골격을 장착해서 생존능력이 늘어나므로 그 이전에 RF+HG 제대 운용은 권총의 큰 피해를 강요한다.
- 후방부터 쏘기때문에 체력이 낮은 적을 노리는 경우가 잦아서 딸피의 적에게 공격을 하게 되면 넘친 피해량은 전부 허공에 날리는 식으로 화력 누수도 자주 일어나며 후방에 등장하는 적의 체력이 높아지는 야간전이나 10지역에 이후로 이런 딜누수가 줄어들게 된다.
3.2. 주간 운용과 야간 운용
RF 병종은 AR 병종과 달리 야시경을 착용하지 못하는데 이로 인해서 주간/ 야간 운용이 판이하게 다르게 된다. 주간은 화력과 사속같은 DPS를 올리는 능력치와 스킬이 최우선시 된다면 야간은 명중이 1/10로 떨어지기 때문에 회피가 높은 적 상대시 필중 스킬이 최우선이 된다. RF 병종이 상대해야하는 적이 보통 고장갑에 고체력이고, 주간 전역에는 RF가 기본적으로 고명중을 가진 병종이라 상대가 고회피라고 해도 문제없이 제거할 수 있지만 야간 전역에서는 적에게 회피가 조금만 붙어도 DPS에 타격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간에는 자버프 위주의 화력과 사속이 높은 라이플이 효과적이라면 야간에는 고명중 스탯을 가지거나 필중 스킬이 붙은 라이플을 주로 운용하게 된다.
3.3. 목표 설정 및 재설정
RF는 현실에서 소총이 가지는 대략적인 공통점인 '장거리에서 효과적으로 적군을 상대함'에 있기에 후방에 있는 적을 우선 공격한다. 후방에 있는 적은 딜러인 경우가 많기에 먼저 제거해서 탱커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데, 이 장점은 적이 강해지는 후반 지역으로 갈수록 더욱 두드러진다.
이전에는 항상 최후방에 서있는 적을 공격했으나 17년 8월 19일 잠수함 패치 이후로 일단 자기가 공격하기 시작한 대상이 제거된 후에 후방에 있는 적을 공격하게 되었다. 따라서 맨 처음 공격을 받는 전열 탱커가 빨리 처리되어야 후방 딜러들을 처리하기 시작하므로, 거지런 세팅 등에 큰 악영향이 생겼다. 다만, 사격중인 RF를 움직이면 현 상황의 최후방 기준으로 조준을 하기 시작하므로, 적의 탱커가 너무 강력하거나, 시급히 딜러를 제거해야 하는 상황이면 RF를 무빙컨(움직이자마자 다시 원래 자리로 되돌려보내기)을 해주는 게 좋다. 재빨리 원래 자리로 돌려보내지 않으면 이동속도가 느린 RF 특성상 이동하는 시간만큼 공격을 못 하므로 엄청난 손해를 볼 수 있으니 주의할 것.
여담으로, 매커니즘이 패치된 이후에도 17년 11월 29일 기준, 로그인 및 인게임 로딩 화면엔 여전히 최후방 적을 우선 공격한다고 적혀 있다. 틀린 말은 아닌 것이, 보통 초중반의 절대 다수는 적이 라이플의 사거리 저 너머에서 다가오는데, 라이플 기준으론 처음에는 가장 먼저 온 애들이 곧 사거리 내에서 가장 멀리 있는 인형들이기 때문. RF가 전열을 타겟팅할 경우, 무빙을 해주면 타겟팅이 초기화되어 후방을 공격한다.
3.4. 역상성
RF는 강력한 화력과 느린 사속, 후방을 우선 노리는 특성으로 이동속도와 공격력이 강한 적에게 취약하다. 역상성 유닛으로 드라군[5] ,철댕이, 장댕이[6] , 브루트[7] 같은 인형이 있다. 브루트는 HG에게 탱을 맡기면 되고 철댕이, 장댕이는 공습요정의 폭격으로 격파가 가능하지만 드라군은 공습도 안통하는 역상성이므로 AR과 혼성 편성을 하는식으로 전열 대책이 없다면 피하는게 좋다.
AR과 달리 야시장비를 장착하지 못하기 때문에 회피가 붙은 야간전이 강요된다면 명중버프를 끼얹어야 된다. 그러고도 회피가 매우 높은 스카웃같은 고회피 적은 빠르게 제거하기 힘들며 필중하게되는 저격 스킬이나 필중 패시브를 지닌 공격이 유효한 대책이다.
4. 스킬
소총은 스킬을 기준으로 저격(죽창), 자버프, 버프/디버프로 분류할 수 있다. 저격 스킬은 일정시간 조준 후 회피 불가능하지만 치명타 데미지가 없는 고정 데미지의 탄환을 쏘는 것이고 자버프는 자신의 평타 공격에 버프를 걸며, 버프/디버프는 다른 인형에게 버프나 디버프를 건다.
일반적으로 저격 스킬은 화력에만 영향을 받고 사속 자버프의 경우 권총버프와 동시에 운용시 만사속을 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므로 낭비되는 버프가 없도록 사속 계산을 해야하는 등 주의사항이 있으므로 스킬에 따라서 같이 편제하는 권총을 다르게 하는 식의 차이를 줘야한다.
스킬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스킬 문서의 각 스킬들을 참조할 것. 이 문서에는 RF의 전반적인 스킬 풀 구성에 대해서 서술한다.
- 저격계: 죽창이라는 별명이 있으며[8] 과거 스킬 선 쿨타임이 각각 10초와 15초이던 시절에 10초인 저격 계열들의 소총을 소죽창이라 부르며, 스킬 선쿨타임 15초에 저격배율이 높은 인형을 대죽창이라 불렀다. 소죽창은 대표적으로 스프링필드, 모신나강 등이 있으며, 대죽창은 NTW-20, M99, DSR-50 등이 있다.
저격은 적의 회피율에 상관없이 무조건 적중하지만, 왜곡역장에는 전부 피해가 흡수된다. 소죽창은 배율이 낮지만 5초의 선쿨 타임으로 대죽창보다 먼저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 대죽창은 그 반대로 배율이 높은 대신 선쿨이 8초로 길기 때문에 탱커의 부담이 높아진다. 저격 스킬은 저격 스킬의 종류에 따라서 특정 대상을 지정하도록 되어있으므로, 자신이 현재 사용하였을 때 목표 대상이 저격 대상인가 잘 보고 써야한다.
소전 초창기 죽창RF들의 기용 가치는 대(對)보스 일격사에 있었으나, 특이점 이후 대죽창으로도 원킬이 불가능한 보스들이 등장함에 따라 기용가치가 크게 떨어졌었다. 이 당시 죽창RF들은 모두 코어행이라는 굴욕적인 취급이었으며 자버프계의 득세에 밀려 오랜 기간 빛을 보지 못했다.
이러한 메타는 포도카노의 등장과 죽창 스킬 개편, 적 메타 변화, 신규 인형 등장으로 변화를 맞이한다. 포도카노는 저격계가 아닌 무언가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걸출한 성능으로 자버프와 쌍벽을 이루는 메타 인형으로 활약했으며, 죽창 스킬도 연쇄분열 업데이트와 동시에 개편되어 초기 위력이 감소했지만 선쿨도 10초에서 5초, 15초에서 8초로 감소되었다. 이후 고체력+고장갑들이 떼거지로 등장하면서 자버프 RF만으로는 한계가 찾아오자 2020년 들어서는 물량전에 특화된 죽창 RF들이 포도카노와 함께 메타 인형으로 활약하고 있다. 여기에는 소죽창, 대죽창 각각 KSVK와 NTW-20가 있다.
소전 초창기 죽창RF들의 기용 가치는 대(對)보스 일격사에 있었으나, 특이점 이후 대죽창으로도 원킬이 불가능한 보스들이 등장함에 따라 기용가치가 크게 떨어졌었다. 이 당시 죽창RF들은 모두 코어행이라는 굴욕적인 취급이었으며 자버프계의 득세에 밀려 오랜 기간 빛을 보지 못했다.
이러한 메타는 포도카노의 등장과 죽창 스킬 개편, 적 메타 변화, 신규 인형 등장으로 변화를 맞이한다. 포도카노는 저격계가 아닌 무언가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걸출한 성능으로 자버프와 쌍벽을 이루는 메타 인형으로 활약했으며, 죽창 스킬도 연쇄분열 업데이트와 동시에 개편되어 초기 위력이 감소했지만 선쿨도 10초에서 5초, 15초에서 8초로 감소되었다. 이후 고체력+고장갑들이 떼거지로 등장하면서 자버프 RF만으로는 한계가 찾아오자 2020년 들어서는 물량전에 특화된 죽창 RF들이 포도카노와 함께 메타 인형으로 활약하고 있다. 여기에는 소죽창, 대죽창 각각 KSVK와 NTW-20가 있다.
- 자버프계: 자버프 계열의 소총은 스킬이 발동되면 자신을 강화하는 타입으로 항시 본연의 힘을 발휘한다. 허나 언제나 비슷한 힘을 발휘한다는 뜻은 달리 말하면 특화된 부분이 없다는 뜻도 된다. 물론 죽창RF들이 강해진 만큼 자버프RF들도 우수한 성능의 인형들이 많이 추가되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특화전을 담당할 수도 있다. 과거에는 화력이나 사속 증가만을 바라보고 쓰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후에는 갖가지 자버프 스킬들이 등장하여 이를 가능케 한다. 예시로는 스킬 발동 시 필중모드에 들어가는 M200이나 아예 스킬 컨셉 자체가 '총기'를 벗어나 버리는 한양조 88식이 대표적.
- 버프계: 딜러가 메인인 RF 병종이지만 특이하게도 HG처럼 자신이 아닌 다른 인형을 강하게 해주는 타입의 스킬. 버프 스킬은 카르카노 M1891와 몬드라곤 M1908, 디버프 스킬은 붕괴2 콜라보 인형인 브로냐와 메이가 가지고 있다.
5. 진형 버프
RF 진형버프 효과의 경우 RF를 대상으로 10% 쿨타임 감소인 카르카노 자매와 모든 병종을 대상으로 화력과 회피를 주는 SL8, 산탄총에도 쿨감을 줄수 있는 개조KSVK를 제외하면 전부 HG 병종 스킬 쿨타임 감소다. 2성은 10%, 3성은 12%, 4성은 15%, 5성은 18%의 쿨타임 감소 효과를 HG에게 주며 선쿨도 줄여주기 때문에 30%감소시 선쿨이 4.2초가 된다. HG의 10레벨 스킬[9] 에 쿨타임 감소 효과가 최대 한도인 30%까지 겹치면 쿨타임이 짧은 HG의 스킬의 경우 거의 무한히 지속할 수 있다.
과거 RF병종은 AR/SMG병종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진형버프의 중요도가 낮았지만 전진배치 적들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딜량을 비약적으로 상승시키거나 생존능력과 화력을 동시에 상승시키는 권총이 나오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이들의 스킬을 조금이라도 빨리 터트리기 위해 RF들의 권총 쿨타임 감소 진벞 역시 매우 중요해졌다. 따라서 진형배치 상 권총과 상호작용이 가능하면서 좋은 스킬을 가진 RF들이 우선 기용되는 편이다.
Px스톰이나 P22을 제외하더라도 디맥 콜라보 이후 추가된 클리어나 페일처럼 쿨타임 감소시 상시 스킬 사용이 가능한 인형이 있고, 단시간에 제거하기를 강요받는 적을 상대할 경우 조금이라도 쿨감을 더 때려박아야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권총스킬이 유용할수록 쿨타임 감소에 더 신경써줘야 한다.
6. 사용 스킬별 분류
7. 진형 버프별 분류
RF의 진형버프는 기본적으로 쿨타임 감소(2성 - 10% / 3성 - 12% / 4성 - 15% / 5성 - 18% / 6성 - 20%)지만 일부 예외가 있다. 예외 케이스는 이하에 서술한다.
- ★4 몬드라곤 M1908: 화력 18% 상승
- ★5 카르카노 M1891, ★5 카르카노 M91/38: 쿨타임 10% 감소
- ★5 SL8: 화력 10%, 명중 18% 상승
- ★5 KSVK改: 쿨타임 15% 감소
8. 공격 스탯 순위
RF는 화력과 사속 수치가 굉장히 중요한데 고지역으로 갈수록 스킬 DPS 뿐만 아니라 평타 DPS가 중요해지고 이것을 결정하는것은 화력과 사속이기 때문이다. 명중이 필요한 경우 일반적으로 요정이나 클리어나 캘리코 같은 사속/ 명중 권총 버퍼의 도움을 받으면 메워지지만 화력이나 사속이 나쁜 경우는 특수용도 이외에는 쓸 수밖에 없기 때문으로 특수 조합이 아닌 경우 평타 dps가 우수한 RF부터 육성하는것이 다용도로 활용하기 유리하다.
8.1. 화력
8.2. 사속
8.3. 명중
9. 목록
이름 왼쪽에 있는 국기는 원본총기의 제조국, EXTRA 등급은 해당 인형이 등장하는 원작의 제작국이다.
9.1. ★★
9.2. ★★★
9.3. ★★★★
9.4. ★★★★★
9.5. EXTRA
10. 둘러보기
[1] 철갑탄만 가능[2] 야시 장비는 장착 불가[3] 칩셋과 길리슈트의 장착이 가능. [4] 심지어는 '''2성 RF'''들도 시모노프를 제외한 '''전원이''' 이 상위 41명에 들어가 있다![5] 이동 속도가 빨라서 보통 선두에 서는데, 공격력과 공속이 높아서 빨리 처리하지 않으면 아군이 엄청 갈려나간다. 고난도 맵들 대부분은 이 용기병이 편성된 부대를 세 부대 이상이나 상대해야 하는 맵인 경우가 파다하다. EX드라군은 일정거리 전진후 장거리 사격을 하므로 초기배치에 따라 후열이나 전열에 있을수 있는데 전열로 달려온다면 꽤 까다롭게 된다.[6] 디너게이트와 타란튤라가 정식명이다.[7] 질럿이라는 별칭이 있으며 명중이 낮지만 공격력은 좋아서 샷건, MG, RF에게 상성이다. EX 버전의 부루트는 명중도 높아져서 더욱 위협적이 되었다.[8] 글섭을 위주로 한 영미권에서도 이를 따서 bamboo라고 부르고 있다.[9] 대다수 HG의 스킬 버프는 지속시간 8초, 쿨타임 12초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