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본래 서구와 동구는 단일 선거구였으나 동구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인접한
중구와 합쳐서 중구·동구 선거구를 형성하고 있었다.
[1] 중구는 대표적인 도심 공동화 현상이 일어나는 구였으며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때부터 동구와 선거구가 합쳐졌다.
이 지역구에는
부산 북항과
부산국제여객터미널,
부산역이 있어 흔히
부산의 관문이라는 별칭을 얻는 곳이다.
그러나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선거구가 조정되어 동구를 서구와 합쳐 지금의
서구·
동구 선거구를 형성했고 중구는
영도구와 합쳐서
중구·영도구 선거구를 형성했다.
선거구로는 서로 합쳐졌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서구와 동구를 직통으로 연결하는 도로는 단 하나도 없다.'''
부산터널을 통해
부산역과
북항재개발구역,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로 바로 갈 수는 있으나 터널 입구 부분인
중구 영주동을 살짝 거쳐야 하기에 사실상 생활권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부산터널은 서구와 중구를 잇는 터널이며 본래 명칭은
영주터널이었는데 생활권 자체가 완전히 다른 두 자치구가 한 선거구로 묶인 것이다.
[2] 동구는 중구와 같은 생활권이고, 서구는 오히려 사하구랑 같이 엮인다, 그래서 중-동구 통합안이 나오기도 한다.
[3] 중구-동구가 통합되면 서구-영도구가 통합이 되었을 텐데 두 지역을 잇는 도로는 남항대교 단 하나 뿐인데다 사실상 영도구는 서구보다 중구와 같은 생활권에 속해 있다.
서구와 동구는
학군도 서로 갈리는 지역이라 서구는 서부교육지원청 소속, 동구는 남부교육지원청 소속이다. 따라서 서구 ↔ 동구 통학생은 학군과는 아무 상관없는
특성화고등학교 통학을 제외하면
일반계 고등학교 교차배정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4] 대표적으로 부산관광고등학교, 경성전자고등학교, 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가 있다. 또한 중구에 위치해있지만 서구와 동구에서도 여럿 통학하는 학교인 부산디지털고등학교도 있다.
본래 이곳은
3당 합당 이전만 해도
민주당계 정당이 강세를 보였던 곳이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초선 의원으로 당선된 곳이 바로 이 곳인 부산시 동구였고
김영삼 전 대통령의 당선지가 부산광역시 서구였다. 말 그대로 대통령 두 명을 배출한 지역구인 것.
[5] 참고로 법무법인 부산은 서구 남부민동에 있었다.
그러나 3당 합당이 이루어진 후 부산이 보수 정당의 텃밭이 되면서 이곳의 표심도 보수 정당 쪽으로 돌아서게 되었다. 게다가
정의화 전 국회의장의 지역구이기도 했다.
[6] 단 정의화 국회의장의 지역구는 부산 동구와 부산 중구에만 해당된다.
'''현재 이 지역은 대표적인
원도심 지역으로 청년층 인구의 유출이 매우 심하고
[7] 대학가와 일자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나마 서구에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랑 구덕캠퍼스가 있어서 대학생 수요는 어느 정도 자리잡고있는데 '''일자리가 대학병원과 소규모 요양병원밖에 없어서,''' 청년층이 유출되는 지역이며 동구는 아예 그런 것도 없다. 그나마 차이나타운과 함께 부산역 일대에 각종 공공기관과 기업들이 많이 들어서있으나 전문직종이라 일반 청년들의 일자리가 아니다. 게다가 전문직들도 동부산 지역에 많이 거주하는 편이다.
노년과 유소년 인구
[8] 6.25 전쟁 직후부터 개발된 곳이라 학교들이 매우 많은고로 유.소년층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다.
만 남은 데다 인구도 점점 감소한 곳'''이라
민주당계 정당이 되찾아오긴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9] 그나마 영도구는 한진중공업의 영향으로 원도심 중에선 보수세가 약한 편이다.
실제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라는 보수 정당의 역대급 악재 속에서 치른
19대 대선 때에도 '''이 곳 구민들은
자유한국당 홍준표의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부산 내 16개 구에서 홍준표는 단 3개 구에서만 승리했는데 그 3곳이 바로 대표적인 원도심 지역인 서구, 동구, 중구다. 물론 압승은 아니고 5%차 미만의 승리였다. 실제로 홍준표는 이곳에서 40% 이상 득표를 한 곳이 단 하나도 없었다.
그나마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동구에서 더불어민주당 구청장이 배출되고
[10] 중구에서도 더불어민주당 소속 윤종서 구청장이 배출되었으나 선거법 위반 혐의로 구청장직을 상실하였다.
, 서구에선 석패했을 정도로 민주당의 세가 강해졌다지만, 아직은 부산의 지역구 중에 금정구
[11] 김진재-김세연 부자가 워낙 지역구를 잘 관리해서, 민심 대부분이 그쪽으로 쏠려있어 민주당에선 얼씬도 못하는 지역구이다.
, 사하구 을
[12]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다대포 연장 구간을 끝내주게 잘 뚫은 조경태의 지역구이다. 과거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이었는데 탈당 후 자유한국당으로 당적을 변경하였다.
, 수영구
[13] 여기는 민주당의 지지세는 옆 동네인 남구와 비슷하지만, 경쟁력이 있는 후보가 나오지 않아서 보수 정당 후보가 압승하는 곳이다.
와 같이 민주당 계열에겐 난공불락의 요새일 것이다.
[image]
| 서구·동구 관할 구역
|
서구 일원[부산서구] 부민동, 아미동, 초장동, 충무동, 암남동,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남부민1동, 남부민2동 , 동구 일원[부산동구] 초량1동, 초량2동, 초량3동, 초량6동, 수정1동, 수정2동, 수정4동, 수정5동, 범일1동, 범일2동, 범일5동, 좌천동
|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총선
| 당선자
| 당적
| 임기
|
제20대
| 유기준
|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제21대
| 안병길
|
| 2020년 5월 30일 ~
|
'''서구·동구''' 서구 일원[부산서구] 부민동, 아미동, 초장동, 충무동, 암남동,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남부민1동, 남부민2동 , 동구 일원[부산동구] 초량1동, 초량2동, 초량3동, 초량6동, 수정1동, 수정2동, 수정4동, 수정5동, 범일1동, 범일2동, 범일5동, 좌천동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1'''
| '''유기준(兪奇濬)'''
| '''47,577'''
| '''1위'''
|
'''새누리당'''
| '''52.20%'''
| <color=#373a3c> '''당선'''
|
'''2'''
| 이재강(李在康)
| 31,724
| 2위
|
더불어민주당
| 34.81%
| 낙선
|
'''5'''
| 임정석(林正錫)
| 11,833
| 3위
|
무소속
| 12.98%
| 낙선
|
'''계'''
| '''선거인 수'''
| 181,730
| '''투표율''' 51.17%
|
'''투표 수'''
| 92,999
|
'''무효표 수'''
| 1,865
|
'''20대 총선 부산 서구·동구 개표 결과'''
|
'''정당'''
|
|
|
| 격차
| 투표율
|
'''후보'''
| '''유기준'''
| 이재강
| 임정석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47,577 (52.20%)'''
| '''31,724 (34.81%)'''
| '''11,833 (12.98%)'''
| '''+ 15,853 (△17.39)'''
| '''92,999 (51.17%)'''
|
'''국회의원 선거 (부산 서구)'''
|
'''후보'''
| '''유기준'''
| 이재강
| 임정석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26,115 (51.91%)'''
| '''17,706 (35.20%)'''
| '''6,478 (12.87%)'''
| '''+ 8,409 (△16.71)'''
| '''51,271 (50.84%)'''
|
'''동대신1동'''
| 52.46%
| 29.83%
| 17.71%
| △22.63
| 52.31
|
'''동대신2동'''
| 50.01%
| 32.45%
| '''17.53%'''
| △17.56
| 50.84
|
'''동대신3동'''
| 50.24%
| 36.50%
| 13.26%
| △13.74
| 53.27
|
'''서대신1동'''
| 51.0%
| 35.08%
| 13.92%
| △15.92
| 51.71
|
'''서대신3동'''
| 51.21%
| 35.81%
| 12.97%
| △15.40
| 54.57
|
'''서대신4동'''
| 49.39%
| 38.12%
| 12.48%
| △11.27
| 55.11
|
'''부민동'''
| 45.03%
| '''41.65%'''
| 13.32%
| △3.38
| 53.37
|
'''아미동'''
| 55.98%
| 30.61%
| 13.41%
| △25.37
| 42.62
|
'''초장동'''
| 57.41%
| 30.27%
| 12.32%
| △27.14
| 42.76
|
'''충무동'''
| 54.13%
| 33.74%
| 12.12%
| △20.39
| 49.24
|
'''남부민1동'''
| '''57.89%'''
| 31.02%
| 11.09%
| △'''26.87'''
| 45.83
|
'''남부민2동'''
| 55.06%
| 33.52%
| 11.42%
| △21.54
| 45.98
|
'''암남동'''
| 55.76%
| 33.81%
| 10.43%
| △21.95
| 45.09
|
'''국회의원 선거 (부산 동구)'''
|
'''후보'''
| '''유기준'''
| 이재강
| 임정석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21,462 (52.55%)'''
| '''14,018 (34.32%)'''
| '''5,355 (13.11%)'''
| '''+ 7,444 (△18.23)'''
| '''41,728 (51.59%)'''
|
'''초량1동'''
| 50.0%
| 35.32%
| 14.68%
| △14.68
| 48.11
|
'''초량2동'''
| 56.73%
| 27.80%
| '''15.46%'''
| △28.93
| 47.21
|
'''초량3동'''
| 47.02%
| '''39.09%'''
| 13.89%
| △7.93
| 48.87
|
'''초량6동'''
| 55.75%
| 30.42%
| 13.83%
| △25.33
| 51.03
|
'''수정1동'''
| 49.86%
| 35.17%
| 14.97%
| △14.69
| 52.34
|
'''수정2동'''
| 55.35%
| 32.50%
| 12.15%
| △22.85
| 51.48
|
'''수정4동'''
| '''59.73%'''
| 28.68%
| 11.58%
| △'''31.05'''
| 51.16
|
'''수정5동'''
| 54.16%
| 32.47%
| 13.37%
| △21.69
| 50.13
|
'''좌천동'''
| 51.88%
| 34.15%
| 13.97%
| △17.73
| 52.23
|
'''범일1동'''
| 55.94%
| 32.35%
| 11.71%
| △17.59
| 48.46
|
'''범일2동'''
| 50.99%
| 37.50%
| 11.51%
| △13.49
| 48.72
|
'''범일5동'''
| 57.28%
| 30.83%
| 11.89%
| △26.45
| 49.82
|
'''후보'''
| '''유기준'''
| '''이재강'''
| '''임정석'''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61.86%'''
| 24.36%
| 13.77%
| △'''37.50'''
|
|
'''관외사전투표'''
| 38.15%
| 49.92%
| 11.93%
| ▼11.77
|
|
'''국외부재자투표'''
| 30.65%
| '''65.83%'''
| 3.52
| ▼'''35.18'''
|
|
기장군 선거구가 신설되면서 이번 선거부터 선거구가 조정되었는데
중구·동구 선거구가 분리되어
중구는
영도구와 합쳐
중구·영도구 선거구를 형성하였고
동구는 단일 선거구였던
서구와 합쳐 지금의 선거구를 형성하게 되었다.
새누리당에선 서구 현역 국회의원이었던
유기준이 출마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도 지난 선거 때 서구에 출마했다 낙선했던
이재강 지역위원장이 재도전에 나섰다. 그런데 유기준 후보의 공천에 반발한 임정석 후보가 새누리당을 탈당하여 무소속 출마를 강행하였다. 보수 후보가 둘로 나뉘었기에 이재강 후보가
어부지리로 당선되는 것 아닌가 하는 예상이 있었다.
그러나 부산 그 중에서도 원도심권인 이곳은 여전히 보수 강세 지역이었고 이재강 후보가 어부지리를 노리기엔 너무도 보수세가 견고했다. 결국 현역 의원 유기준이 보수 표 분산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52.2% 득표율을 올리며 4선에 성공했다. 하지만 이재강 후보도 34.81% 득표를 올리며 선전했다는 성과는 있었다. 지난 총선 때 이재강 후보는 29.38% 득표에 그쳤는데 지난 선거보다 5.43% 정도 득표율을 끌어올렸고 또
3당 합당 이후 이 선거구에 출마한
민주당계 정당 후보들 중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당선자 유기준 후보는 서구의 서대신 4동과 부민동, 동구의 초량 3동과 수정 1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과반 이상의 득표를 올리며 보수의 건재함을 과시했다. 다만 부민동에선 118표 차, 초량 3동에선 214표 차로 초박빙 접전을 벌였다. 이재강 후보는 모든 동에서 패배를 기록하며
지역주의의 높은 벽을 실감했다. 그러나 지난 총선보다 득표율을 더 높이 끌어올린 점과 관외사전투표에서 659표 차, 국외부재자투표에서 70표 차로 승리한 점은 고무적인 사실이다.
'''서구·동구''' 서구 일원[부산서구] 부민동, 아미동, 초장동, 충무동, 암남동,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남부민1동, 남부민2동 , 동구 일원[부산동구] 초량1동, 초량2동, 초량3동, 초량6동, 수정1동, 수정2동, 수정4동, 수정5동, 범일1동, 범일2동, 범일5동, 좌천동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1'''
| 이재강(李在康)
| 48,094
| 2위
|
더불어민주당
| 42.20%
| 낙선
|
'''2'''
| '''안병길(安炳吉)'''
| '''63,885'''
| '''1위'''
|
'''미래통합당'''
| '''56.04%'''
| <color=#373a3c> '''당선'''
|
'''7'''
| 김태수(金泰秀)
| 1,162
| 3위
|
우리공화당
| 1.04%
| 낙선
|
'''8'''
| 김성기(金盛基)
| 834
| 4위
|
국가혁명배당금당
| 0.73%
| 낙선
|
'''계'''
| '''선거인 수'''
| 177,509
| '''투표율''' 65.23%
|
'''투표 수'''
| 115,782
|
'''무효표 수'''
| 1,837
|
'''21대 총선 부산 서구·동구 개표 결과'''
|
'''정당'''
|
|
| 격차
| 투표율
|
'''후보'''
| 이재강
| '''안병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48,094 (42.20%)'''
| '''63,885 (56.04%)'''
| '''- 15,791 (▼13.84)'''
| '''115,782 (65.23%)'''
|
'''국회의원 선거 (부산 서구)'''
|
'''후보'''
| 이재강
| '''안병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26,189 (42.23%)'''
| '''34,815 (56.14%)'''
| '''- 8,626 (▼13.91)'''
| '''63,012 (65.28%)'''
|
'''동대신1동'''
| 38.54%
| 59.44%
| ▼20.90
| 67.73
|
'''동대신2동'''
| 37.61%
| 60.75%
| ▼'''23.14'''
| 63.57
|
'''동대신3동'''
| 41.60%
| 56.57%
| ▼14.97
| 67.80
|
'''서대신1동'''
| 43.62%
| 55.21%
| ▼11.59
| 65.33
|
'''서대신3동'''
| 41.32%
| 57.10%
| ▼15.78
| 68.98
|
'''서대신4동'''
| 45.06%
| 53.75%
| ▼8.69
| 70.66
|
'''부민동'''
| '''45.98%'''
| 52.88%
| ▼6.90
| 65.38
|
'''아미동'''
| 39.21%
| 58.50%
| ▼19.29
| 55.88
|
'''초장동'''
| 38.53%
| 59.73%
| ▼21.20
| 56.34
|
'''충무동'''
| 39.18%
| 59.13%
| ▼19.95
| 62.98
|
'''남부민1동'''
| 37.63%
| '''60.77%'''
| ▼'''23.14'''
| 59.12
|
'''남부민2동'''
| 39.31%
| 58.93%
| ▼19.62
| 60.67
|
'''암남동'''
| 41.00%
| 57.57%
| ▼16.57
| 58.07
|
'''국회의원 선거 (부산 동구)'''
|
'''후보'''
| 이재강
| '''안병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21,905 (42.18%)'''
| '''29,040 (55.92%)'''
| '''- 7,135 (▼13.74)'''
| '''52,770 (65.16%)'''
|
'''초량1동'''
| 42.72%
| 54.91%
| ▼12.19
| 58.04
|
'''초량2동'''
| 38.03%
| 60.35%
| ▼22.32
| 59.93
|
'''초량3동'''
| '''50.10%'''
| 48.17%
| △'''1.93'''
| 62.85
|
'''초량6동'''
| 36.69%
| 61.61%
| ▼24.92
| 62.86
|
'''수정1동'''
| 42.36%
| 55.78%
| ▼13.42
| 67.55
|
'''수정2동'''
| 40.34%
| 57.78%
| ▼17.44
| 62.47
|
'''수정4동'''
| 35.36%
| '''62.83%'''
| ▼'''27.47'''
| 64.37
|
'''수정5동'''
| 37.97%
| 60.34%
| ▼22.37
| 64.49
|
'''좌천동'''
| 42.26%
| 55.45%
| ▼13.19
| 64.68
|
'''범일1동'''
| 36.77%
| 61.09%
| ▼24.32
| 62.05
|
'''범일2동'''
| 40.53%
| 57.58%
| ▼17.05
| 63.87
|
'''범일5동'''
| 44.20%
| 54.31%
| ▼10.11
| 65.05
|
'''후보'''
| 이재강
| '''안병길'''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4.09%
| 50.42%
| ▼6.33
|
|
'''관외사전투표'''
| 55.63%
| 42.56%
| △13.07
|
|
'''국외부재자투표'''
| '''77.86%'''
| 27.86%
| △'''50.0'''
|
|
'''서구·동구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
'''정당'''
|
|
| 격차
|
'''후보'''
| 이재강
| '''안병길'''
| (1위/2위)
|
'''남부민동 대림비치'''
| 34.92%
| '''63.57%'''
| ▼28.65
|
'''범일 오션브릿지'''
| '''38.57%'''
| 59.54%
| ▼20.97
|
현역 의원인 유기준은 불출마를 선언했기에
미래통합당은 새 인물을 찾아야 했다.
안병길 전
부산일보 사장과
영화감독 곽경택의 동생으로 유명한
곽규택 변호사가 경선을 치렀는데 경선 결과 안병길 전 부산일보 사장이 승리하여 최종 후보로 낙점되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에선 이곳에서 2차례 출마했다가 낙선했던 지역위원장
이재강 후보가 3번째로 도전에 나섰다. 이외에
우리공화당에서 김태수 후보,
국가혁명배당금당에서 김성기 후보가 출마했지만 존재감은 없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끝나고 총선이 오기까지 약 2년 동안
오거돈 부산광역시장의 턱없이 낮은 직무수행평가와
유재수 부시장의 구속 등으로 부산에서 여당 지지율이 낮아졌기에 이재강 후보가 많이 불리해졌다. 결국 예상대로 미래통합당 안병길 후보가 56.04% : 42.2%로 더불어민주당 이재강 후보를 득표율 13.84%, 득표 수 15,791표 차로 꺾고 당선되었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이재강 후보도 42.2% 득표율로 지난 총선보다 약 7.4% 정도 득표율을 더 끌어올리며
3당 합당 이후 이 선거구에서 민주 정당 후보가 기록한 최고 득표율의 기록을 또 갱신했다.
안병길이 부산일보 사장과 기자로서의 인지도가 이재강에 비하여 워낙
넘사벽이라 이재강이 낙선한 점은 어쩔 수 없었지만 42.2%의 득표율은 나쁘지 않은 수치이며, 그만큼 구민들의 인식이 점점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번 총선 때 부산에서 3 : 15로 미래통합당이 이긴 곳 숫자로는 훨씬 더 앞섰기에 각종 언론에서는 부산이 다시 보수 강세 지역이 되었다는 둥 지역구도가 부활했다는 둥 하고 앞다투어 떠들기 바빴지만 실제론 그렇지 않다는 걸 증명하는 게 바로 부산 원도심권에 해당하는 이곳과 옆 동네인
중구·영도구의 결과다. 실제로 이 두 곳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의 득표율이 지난 총선보다 큰 폭으로 상승했다. 또 부산 전역 평균 득표율을 따져보면 44.3% : 52.7%로 8.4% 차에 불과해 오히려 수도권에서 난 양당 평균 득표율 격차보다 더 적었다. 그런데도 지역구도가 부활한 것이라면 수도권 역시 호남 못지 않은 민주당 텃밭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석 수 격차에서 저렇게 난 것은
지역주의보다는
소선거구제의 한계라 보는 게 맞을 것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당선자 안병길 후보는 동구 초량 3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승리를 거두었고 거소 및 선상투표에서도 30표 차로 승리했다. 반면, 이재강 후보는 초량 3동에서 94표 차로 승리한 것 이외에는 모든 동에서 패배했으며 그 밖에 관외사전투표에서 1,289표 차, 국외부재자투표에서 61표 차로 승리했다. 그 외에 서구의 서대신4동(386표), 부민동(298표), 동구의 초량1동(283표), 수정1동(354표), 범일5동(244표)에서는 두 후보의 표차가 400표 차 이내로 접전 양상을 보였다.
3. 역대 대통령 선거 결과
'''서구·동구''' 서구·동구 일원
|
'''정당'''
|
|
|
|
|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득표수'''
| 44,128
| '''48,548'''
| 21,683
| 8,519
| 5,720
|
'''득표율'''
| 34.15%
| '''37.57%'''
| 16.78%
| 6.59%
| 4.43%
|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계'''
|
'''선거인 수'''
| 178,256
|
'''투표 수'''
| 129,750
|
'''무효표 수'''
| 520
|
'''투표율'''
| 72.79%
|
'''19대 대선 부산 서구·동구 개표 결과'''
|
'''정당'''
|
|
|
|
|
| 격차
| 투표율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44,128 (34.15%)'''
| '''48,548 (37.57%)'''
| '''21,683 (16.78%)'''
| '''8,519 (6.59%)'''
| '''5,720 (4.43%)'''
| '''-4,420 (▼3.42)'''
| '''72.79%'''
|
'''19대 대선 부산 서구 개표 결과'''
|
'''정당'''
|
|
|
|
|
| 격차
| 투표율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24,522 (34.46%)'''
| '''26,360 (37.04%)'''
| '''11,868 (16.68%)'''
| '''4,913 (6.90%)'''
| '''3,131 (4.40%)'''
| '''-1,838 (▼2.58)'''
| '''72.51%'''
|
'''동대신1동'''
| 29.96%
| 43.19%
| 15.97%
| 7.0%
| 3.50%
| ▼13.23
| 74.84
|
'''동대신2동'''
| 31.50%
| 41.32%
| 16.84%
| 6.50%
| 3.50%
| ▼9.82
| 70.39
|
'''동대신3동'''
| 34.20%
| 37.15%
| 16.24%
| 7.62%
| 4.56%
| ▼2.95
| 74.61
|
'''서대신1동'''
| 34.24%
| 37.19%
| 16.52%
| 7.12%
| 4.56%
| ▼2.95
| 73.48
|
'''서대신3동'''
| 35.57%
| 36.37%
| 16.20%
| 6.97%
| 4.54%
| ▼0.80[14]
| 77.14
|
'''서대신4동'''
| 35.73%
| 35.08%
| 17.16%
| 7.34%
| 4.52%
| △0.65[15]
| 77.54
|
'''부민동'''
| '''37.34%'''
| 32.68%
| 15.44%
| '''9.11%'''
| '''4.98%'''
| △'''4.66'''
| 74.71
|
'''아미동'''
| 29.59%
| 41.66%
| 17.43%
| 6.33%
| 4.21%
| ▼12.07
| 61.30
|
'''초장동'''
| 29.21%
| 43.74%
| 16.87%
| 5.66%
| 3.58%
| ▼14.53
| 62.42
|
'''충무동'''
| 31.80%
| 41.97%
| 15.91%
| 6.15%
| 3.86%
| ▼10.17
| 70.95
|
'''남부민1동'''
| 28.99%
| '''46.01%'''
| 16.25%
| 4.92%
| 3.25%
| ▼'''17.02'''
| 66.87
|
'''남부민2동'''
| 31.83%
| 41.54%
| 16.72%
| 5.92%
| 3.31%
| ▼9.71
| 65.62
|
'''암남동'''
| 34.05%
| 36.21%
| '''18.37%'''
| 6.49%
| 4.30%
| ▼2.16
| 70.50
|
'''19대 대선 부산 동구 개표 결과'''
|
'''정당'''
|
|
|
|
|
| 격차
| 투표율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19,606 (33.75%)'''
| '''22,188 (38.20%)'''
| '''9,815 (16.89%)'''
| '''3,606 (6.20%)'''
| '''2,589 (4.45%)'''
| '''-2,582 (▼4.45)'''
| '''73.14%'''
|
'''초량1동'''
| 34.11%
| 37.88%
| 15.35%
| 7.0%
| 5.15%
| ▼3.77
| 67.85
|
'''초량2동'''
| 29.09%
| 42.24%
| '''18.40%'''
| 5.99%
| 3.99%
| ▼13.15
| 67.42
|
'''초량3동'''
| 35.40%
| 34.65%
| 17.42%
| '''7.45%'''
| '''4.71%'''
| △0.75[16]
| 70.85
|
'''초량6동'''
| 30.88%
| 42.11%
| 17.12%
| 5.11%
| 4.35%
| ▼11.23
| 70.09
|
'''수정1동'''
| 32.27%
| 38.86%
| 17.29%
| 6.79%
| 4.28%
| ▼6.59
| 74.94
|
'''수정2동'''
| 32.59%
| 40.18%
| 17.33%
| 5.36%
| 4.13%
| ▼7.59
| 71.37
|
'''수정4동'''
| 27.31%
| '''46.58%'''
| 16.29%
| 5.75%
| 3.53%
| ▼19.27
| 69.96
|
'''수정5동'''
| 30.98%
| 42.48%
| 16.34%
| 5.47%
| 4.28%
| ▼11.50
| 71.88
|
'''좌천동'''
| 33.10%
| 39.06%
| 17.34%
| 6.06%
| 3.91%
| ▼5.96
| 72.58
|
'''범일1동'''
| 31.19%
| 42.94%
| 16.61%
| 5.26%
| 3.47%
| ▼11.75
| 69.13
|
'''범일2동'''
| '''35.46%'''
| 36.98%
| 16.77%
| 6.67%
| 3.73%
| ▼1.52
| 72.96
|
'''범일5동'''
| 32.65%
| 42.11%
| 15.31%
| 5.38%
| 3.96%
| ▼9.46
| 69.47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격차
|
|
'''거소 및 선상투표'''
| 34.84%
| 22.02%
| '''28.70%'''
| 6.14%
| 4.33%
| △6.14
|
|
'''관외사전투표'''
| 45.36%
| '''23.33%'''
| 16.65%
| '''8.46%'''
| 6.93%
| △22.03
|
|
'''재외투표'''
| '''59.21%'''
| 11.67%
| 12.78%
| 4.79%
| '''11.30%'''
| △'''46.4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