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펑시
카이펑
개봉(開封)
Kāifēng
[image]
1. 개요
중국 허난성(하남성)의 지급시. 유서깊은 도시로, 중국이 지정한 8대 역사도시 중의 하나다. 5대 10국의 5대와 북송의 수도였다.
카이펑시와 별개로 카이펑현이 있었으나 2014년 샹푸(祥符)구로 바뀌어 카이펑시에 편입되었다.
위도는 약34도로 목포시나 거제시와 비슷하고 다른 7대 고도인 뤄양이나 시안과 비슷하다.
2. 역사
기원전 364년 전국시대에 위나라(魏)의 수도였고, 당시 이름은 대량(大梁)이었다. 위나라의 원래 수도는 위나라의 서쪽에 있던 안읍(安邑)이었으나[1] 위혜왕 대에 이르러 진나라와의 지속된 전쟁에서 패퇴하면서 수도 안읍의 방위가 위태로워지자 동쪽의 대량으로 천도하였다. 이후 안읍은 진나라가 하동군을 설치했다.
황하 근처에 있었기 때문에 시내에 많은 운하를 파서 교통과 물류의 중심이 되었다. 그러나 이런 장점은 단점도 되는데, 평원에 위치해있고 사방이 평야이기 때문에 외부침략에 매우 취약했다. 뿐만 아니라 홍수와 수공에도 매우 약했다.
진나라의 통일 전쟁 중에 위나라의 완강한 저항에 노한 진시황의 명령에 따라 철저히 파괴되었고, 그리하여 한동안 이후 한나라나 후한, 위진남북조시대의 수백년 동안 역사에 이렇다할 흔적을 남기지 못했다. 그래서 중국의 주요 고대 도시 중에서 삼국지에 중요하게 나오지 않는 거의 유일한 도시가 된다. 후한과 삼국시대에는 진류(陳留)군 관할이었고, 오늘날의 카이펑 지역은 당시에는 진류군 준의(浚儀)현에 속했다.
개봉의 중흥은 수나라 때 만들어진 대운하가 널리 사용되는 당나라 때가 되어야 이루어진다. 이때 대운하가 흐르는 수운의 중심으로서 상업도시로 성장한다. 이 운하는 산동성까지 흘렀다. 재건된 이름은 변(汴)이라고 했고, 당나라가 망한 이후 5대10국시대가 시작되자 중원에 위치한 여러 대국[2] 의 수도가 되었다가 결국 후주의 뒤를 이은 송나라의 수도가 된다. 불야성이라는 단어의 어원이 된 도시로 알려져 있다.
[image]
송나라 시대는 개봉보다는 동경(東京)이나 변경(汴京), 변량이라고 주로 불렸다. 금나라 시기에도 이 이름으로 많이 불렸다. 북송 당시 공식 명칭이 동경 개봉부였고 변(汴)은 민간에서 자주 불리던 명칭이었다. (조선시대 한성부를 종종 한양이라고 부르던 것과 같다)
북송의 엄청난 경제력으로 매우 번화했으며, 상업도시답게 여러가지 사건이 많았기 때문에 포청천 전설이 나올 수 있었다. 이때의 번영은 장택단의 그림 청명상하도와 맹원로의 저서 동경몽화록에 잘 묘사되었다. 관련글 당나라 때 장안에서는 상업 구역을 동시와 서시로 제한하고 방(坊)마다 담장을 둘러 주민들의 야간통행을 제한했지만, 북송 때 개봉에서는 도성 어디에서든 장사를 할 수 있게 바뀌었고 방을 두른 담장도 없어졌으며 야간통행 금지도 철폐되었다. 11세기가 최고의 리즈 시절이었으며, 북방 민족의 내습을 대비하여 삼중벽을 장비하였고 당시 인구는 40만에서 100만 정도로 추정된다.[3]
이렇게 삼중벽으로 방비하였으나, 평야에 위치했기 때문에 북방 민족의 침략에 취약했다. 1127년 금나라(여진족)의 침입으로 함락되었고, 황제가 포로로 잡혀가는 정강의 변이 일어나 금나라의 영역이 된다. 이때부터 쇠락하였으나 그래도 현재 베이징인 수도 중도(中都)의 뒤를 이어 금나라의 제 2도시 같은 지위에 있었으며, 남송과 몽골이 침략하여 위기를 맞자 선종이 수도로 삼기도 했다. 이후 애종때 몽골군의 포위로 인한 아사, 전염병 유행으로 백만명에 가까운 사망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금나라가 무너지고 남송이 옛 수도를 되찾는가 싶더니 다시 몽골 제국에 함락되며, 철저히 파괴되었다.
이후 명나라 때 다시 재건되는가 싶더니, 명나라 말 이자성의 반란 때 명군의 수공으로 시내가 수몰되어 다시 깡촌으로 변했다. 청나라 시대 강희제가 재건을 명하였지만, 홍수에 취약하여 여러 차례 수몰이 일어나 더이상 발전하기가 힘들었다. 또한 수공은 무려 1938년 중일전쟁당시 실행되었다.
3. 관광
역사가 있고, 중국 사대기서의 하나인 수호지의 무대가 된 곳이기 때문에 명소가 많다.
- 철탑 - 1049년에 건립된 탑. 원래는 개보사(開宝寺)라는 절의 사리탑이었지만, 절은 파괴되고 이 철탑만이 남아있다.
- 산수감회관 - 청나라 상인들의 동향 조합 건물.
- 연경관 - 원나라 시기에 건설된 도교 사원
- 번탑 - 974년에 건립된 불탑. 천청사(天清寺)라는 절의 사리탑으로 지어져 현재는 탑만 남아있다.
- 북송 동경성유적
- 카이펑 성벽 - 현존하는 것은 청나라 시대에 만든 것. 그다지 완벽하지 않지만 오래된 카이펑 도시 지역을 일주 11.4km 남아있다.
- 용정 - 명나라 시기에 건립된 궁전
- 대상국사 - 555년에 건립
- 우왕대(禹王臺) - 하나라 우왕을 기리기 위해 만든 사당.
- 송도어가 - 송나라 상점가를 재현한 거리.
- 청명상하원 - 청명상하도에 그려진 거리를 재현한 테마파크.
- 포공사 - 포증, 즉 포청천을 모신 사당.
- 감루
- 악비묘 - 남송의 무장 악비의 사당
- 흥국사탑
- 장량묘 - 장량의 무덤
- 녹대강유적
4. 기타
청백리로 유명한 포청천이 북송 4대 인종 시대 카이펑의 부윤으로 재임하면서 일을 했던 관리였다. 판관 포청천 1993년판 주제가 첫 소절의 가사 '카이펑 요우 거 빠오 칭티엔~'[4] 의 그 카이펑이기도 하다.https://youtu.be/3uhMmaYfhAI
이곳까지 유대교도가 흘러들어서 카이펑의 유대교도도 유명하다.
무협소설에서 거지들의 방파인 개방의 총단으로 그려지는 곳이 이곳이다.
고룡의 소설로 유명한 변성랑자의 변성이 바로 이 카이펑이다.
징기스칸 4에서 중국문화권 화북지역의 도시로 등장한다. 도시명은 우리말로 음역한 ‘개봉’.
현재는 4백만 인구가 거주해서 중국에서는 중규모 도시이지만, 과거의 영화를 잊지 못한 채 중국에서 못 사는 편이다.[5] 가장 최근에 역사적으로 이 도시가 언급된 일로는 문화대혁명 시절 국가주석이었던 류사오치가 마오쩌둥에 의해 숙청되어 귀양왔다가 홍위병 의사의 치료 거부로 1969년에 사망한 사건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