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 섬/역사

 





[YouTube(AqRyEp6nGiE,width=560,height=315])]
1. 개요
2. 상세
2.1. 선사 시대
2.2. 고대 ~ 중세 시대
2.3. 조기대만시기
2.4. 청나라의 통치
2.5. 일제 식민지 시절
2.6. 현대


1. 개요


본 문서는 타이완 섬의 역사에 대해 다룬다. 타이완 섬은 원래 근세 이후에야 역사에 본격적으로 나타난 지방이었다. 물론 이 섬에는 그 이전에도 원주민이 살고 있었지만 문자가 없었다. 특히 오늘날 대만인의 주류인 한족 중심의 역사관으로 타이완 섬을 보면 고작(?) '''400여년''' 남짓한 역사의 섬이 되어버린다.
이러한 한족 및 중국 대륙 중심의 역사관에 반대하여 조영화(曹永和) 같은 대만의 학자들은 '대만사'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여 타이완 섬(대만)을 중국 대륙에 종속되는 섬이 아닌 독자적인 문화권으로 보는 역사관도 확립하였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이 영상을 참고해보자.(한국어 자막 있음)

2. 상세



2.1. 선사 시대


최초의 인류 흔적은 3만 년 전 쯤에 나타난다. 이들은 키작은 흑인계통의 네그리토로 추정되며 이후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계통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8000년 전에 유라시아 동남쪽에서 타이완 섬으로 이동해 왔다. 네그리토 종족들은 이후로 서서히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계통의 종족들에게 점차적으로 동화되었고, 마지막 네그리토 종족은 사이시얏 족 거주지 근처에 불과 100여 년 전까지 살고 있었다. 이들 원주민들은 대만해역의 풍부한 어장을 바탕으로 어업에 종사하며 생활하였다.
대만 원주민은 미국-캐나다와 남미 동부일대의 아메리카 원주민마냥 통일된 정치체제를 이루지 않고 부족별로 흩어져 살았으며, 현재도 크고 작은 부족집단으로 나뉘어 있고 부족별로 언어도 다르다. 고산족(高山族), 일제시대 때는 생번(生蕃: 날야만인이란 뜻)[1]따위 이름으로 불렸으며, 대만 제어오스트로네시아어족(인도네시아어, 말레이어, 필리핀의 타갈로그어와 태평양 지역의 많은 언어들이 같은 남도어족계 그룹이다) 가운데 가장 오래된 옛모습을 유지하고 있어 이 섬에 살아온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2.2. 고대 ~ 중세 시대


고대에는 그냥 원주민들만 사는 섬이였다. 삼국지에서는 타이완을 이주(夷州)라 불렀는데 관련 사건도 언급된다. 230년에 이르러 오나라 황제 손권위나라와의 잦은 전투 등으로 인하여 인구가 감소 추세에 놓이자 위온제갈직에게 1만명의 병력을 주고 이주와 단주 등에 건너가서 징발을 명했다. 하지만 위온과 제갈직은 이주에 도착했으나 그곳은 미개한 원주민들만 있었고 위온과 제갈직은 그들이라도 1천명을 징발해서 손권에게 돌아갔으나 태풍 등에 의해 8천이나 되는 많은 병력을 잃어(...) 분노한 손권에 의해 교수당했다.
이후 송나라부터 원나라 시대 때 섬이라는 지리적 이점으로 해양무역이 발달하였다. 타이완 섬은 중국 대륙과 동남아시아 사이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중계무역이 발달하였다. 그러나 명나라 때에 이르러 해금정책이 실행되자 타이완 섬의 해양무역은 쇠퇴하게 되었다. 몽골인들이 원나라를 세우고 중국을 점령해서 중국의 한족들은 대대로 타이완섬 서쪽 저지대로 피난와서 거주했다. 한편 타이완 섬 중서부에서는 원주민들의 연합 왕국인 다두 왕국이 성립하였다.

2.3. 조기대만시기


스페인 제국, 네덜란드 제국의 타이완 섬 통치 시대부터 정씨 왕국 통치 시대까지를 보통 조기대만시기(早期臺灣時期)라고 한다.
중국 대륙에 명나라가 건국된 이후 타이완 섬은 원주민들의 부족 국가들을 비롯한 여러 소왕국들이 존재하였다. 한편 대항해시대가 열리면서 서구 열강들도 세계 각지에 세력을 뻗기 시작했고 이들은 동아시아에도 당도했다. 이 과정에서 토르데시야스 조약으로 아시아에 대한 권리를 얻은(?) 포르투갈 제국의 항해사들이 유럽인 중 처음으로 타이완 섬의 존재에 대해 알렸고, 이들은 이 섬을 포르투갈어로 아름다운 섬이란 뜻의 '일랴 포르모자(Ilha Formosa)'라 하였다. 이 명칭은 현재에도 타이완 섬을 이르는 별칭으로 쓰인다.
그러나 포르투갈 제국은 국가 역량의 한계로 인해 이 지역을 식민화할 생각은 없었고, 대신 원주민들과 약간의 무역을 하는 것으로 만족하였다.
1624년에는 네덜란드 제국펑후 열도와 타이난에 당도하였다. 이들은 타이난에 질란디아 요새를 쌓고, 펑후에는 포대를 구축해 거점으로 삼고자 했는데 펑후의 포대에 대해서는 명나라가 자국 영토라고 압력을 가하는 바람에 오래 있지 못하고 밀려났다. 지역 원주민들은 이들에 호의적이지 않아 전쟁을 치르기도 했지만 원주민들보다 우수한 무기를 지닌 네덜란드(동인도 회사)를 이길 수는 없었고, 이내 타이난, 가오슝, 핑둥, 타이둥 일대를 세력권 안에 넣는다. 이들은 사탕수수를 재배해 수출하여 이득을 얻었다. 부족한 노동력을 보충하기 위해 명나라 복건 지역에서 노동력을 수입했는데 이것이 공식적으로는 첫 한족의 타이완 섬 진출이 되었다.
한편 스페인 제국 역시 1626년지룽, 단수이 등에 당도하여 요새를 구축하고 타이완 섬 북부를 지배했다. 그러나 당시 견원지간이었던 스페인과 네덜란드는 타이완 섬에서 세력을 다투었고, 1642년에는 네덜란드가 스페인을 타이완 섬에서 몰아낸다.
한편 중국 대륙에서는 1644년 청나라의 공격으로 명이 몰락하자 정성공이 당왕(唐王) 주율건(朱聿鍵)을 남명의 2대 황제인 융무제(隆武帝)로 옹립하여 청에 대항하였고, 한때 명나라의 고도 남경(南京)까지 진격하여 포위하는 등 잘 나가다가, 결국 청군에 패하고 복건성 해안가의 근거지 금문도로 밀려나게 된다.
[image]
정성공은 청나라의 해안 봉쇄에 극심한 식량 부족에 시달렸고 명나라 부흥을 위한 근거지를 마련하기 위해 1661년 4월 29일에 타이난을 공격해 네덜란드 제국 세력을 몰아내고 근거지로 삼는다. 이때 많은 네덜란드인을 학살하거나 노예로 삼았다. 강희제는 이에 맞서 해안의 5개 성 백성들을 해안에서 20km 떨어진 '''내륙으로 옮기고 그 이상 넘어서 바닷가 가까이로 가는 사람들은 무조건 처형한다'''는 천계령(遷界令)을 내려 대응했지만[2] 그래도 대만 섬에는 네덜란드인들이 남겨놓고 간 사탕수수 농장도 있었고 유능한 막료들도 있었기 때문에 어떻게든 망하지 않고 잘 버틸 수 있었다.
한편으로 네덜란드, 스페인, 정씨 왕국 모두 타이완 섬 전부를 지배하던건 아니고 서남부나 항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여전히 다두 왕국을 비롯한 원주민의 영역이었다.
[image]
17세기 초반의 타이완 섬. 연두색이 스페인 제국, 분홍색이 네덜란드 제국, 주황색이 다두 왕국의 영역이다.

2.4. 청나라의 통치


청나라정씨 왕국을 멸망시키고 타이완 섬을 통치한 시대를 지칭한다. 정성공이 죽은 후 정씨 왕국은 3대를 가면서 삼번의 난 때도 적극 동조하는 등 계속 반청정책을 펼쳤지만 결국 청에게 정벌당해 청의 영토가 되었다. 정씨 왕국이 멸망한 이후에도 청나라는 타이완 섬에 지속적으로 진출하여 1732년에는 원주민들의 국가인 다두 왕국마저 멸망시키고 청나라에 편입하였다.
이때 본격적으로 한족들이 이주하여 살기 시작하면서 저항하는 토착민들은 산으로 쫓겨나서 고산족이라고 불리게 되었고, 평지의 나머지 원주민들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한족에 동화되었다.

2.5. 일제 식민지 시절


청일전쟁에서 청이 패하면서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이 맺어지고 일본의 영토로 할양되었다. 이때 대만에 거주하던 한족들이 청나라의 할양조치에 반발, 타이완 민주국이라는 정부체계를 세우고 일본에 대한 항전의지를 불태웠으나 5개월 간의 항쟁 끝에 끝내 일본에 의해 무력점령되어 타이완 섬에서 대만일치시기가 시작되었다. 이후 1945년 일본 패망 때까지 일본의 총독부인 대만총독부 치하에 있었다.
일제 치하에서 고생한 것은 대만도 한국과 마찬가지였지만, 대만총독부는 조선총독부보단 유화적인 통치를 했다. 게다가 일본과 다른 민족이라는 인식이 확고했고, 수백년간 중앙집권체제를 이루었던 조선과 달리, 청이 싫어 위험을 무릅쓰고 이주해온 한족과 토착민족들이 청의 무관심 아래 살아온 대만은 중국 본토에 대한 소속감이 미약했고 식민 지배에 대한 저항 강도도 자연히 약했다. 박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청이나 일본이나 외부에서 들어와 상전 노릇한건 본질적으로 마찬가지였고, 일제 내각은 조선과는 달리 1920년대에 대만총독부를 휘하에 두는 데 성공하면서[3] 문관 총독도 임명할 정도였다.
허나 본질적으론 결국 식민 지배였던건 사실이라, 대만에도 일본군에 의한 대만 원주민 학살 사건이나 대만 원주민의 저항(우서 사건), 한족의 저항(타파니 사건) 등이 벌어진 점에서 보듯 마냥 순탄한 통치만 이어진 것은 아니었다. 식민 시절 초기에도 타이완 민주국 같은 대만 독립운동이 있었고, 1930년대 이후부턴 전쟁통이라 대만 역시 징병과 수탈에 시달렸다.

2.6. 현대


일본이 2차 세계대전에서 패망한 이후 대륙의 중화민국 국민정부가 대만에 들어와 통치를 하였으며, 중국 국민당국공내전에서 패배가 역력해지자 중화민국 정부를 대만으로 옮겼고, 그 후 타이완은 중화민국과 사실상 동의어가 되었다.


[1] 염상섭의 '만세전'에서는 등장인물들의 대화에서 '생번보다도 못하게 산다' 따위의 표현이 나오는데 생번이 바로 이들을 말한다. 그 정도로 야만인 취급을 받았다.[2] 이 천계령을 제의한 것이 정성공의 부하로 청에 투항한 황오(黃梧)라는 사람이었다.[3] 조선총독부는 내내 천황 직속의 무관총독들이었다. 천황이 명목상 절대군주인데 실권을 행사해오지 않던(혹은 못하던) 일본의 전통적인 왕정 체계가 악용되어 천황 아래에 내각과 군부가 따로 노는(즉, 내각이 군부를 통제 못함) 개막장 구조다 보니 이런 일도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