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명

 



'''대명'''
'''大明'''

'''1644년 ~ 1662년[1]'''
'''성립 이전'''
'''멸망 이후'''
''''''
'''명정'''
''''''
'''이칭'''
'''남명'''(南明), 주명(朱明)
'''위치'''
중국 남부
'''정치 체제'''
전제군주제
'''국가원수'''
황제(皇帝)(천자)
'''국성'''
(朱)
'''주요 황제'''
소종 영력제
'''언어'''
중국어, 오어, 민남어
'''문자'''
한자
'''종교'''
성리학, 대승 불교, 도교
'''종족'''
한족
'''통화'''
영력통보(永曆通寶) 등
1. 개요
2. 역사
2.1. 북경의 함락과 숭정제의 자살
2.2. 다른 망명정권과의 비교
2.3. 내부 분열
2.4. 병력의 공백
2.5. 멸망
3. 남송과의 비교
3.1. 후계 문제
3.2. 주적의 상황
3.3. 경제적 여력
3.4. 군사적 여력
4. 외국의 반응
5. 역대 황제
5.1. 홍광제 정권
5.2. 융무제 정권
5.3. 주이해 정권
5.4. 주형가 정권
5.5. 영력제 정권
5.6. 정무제 정권
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명나라가 베이징을 함락당하고 실질적으로 멸망한 상태에 그런 명나라를 다시 부활시키기 위한 17세기의 움직임들.
중국사에서는 통일왕조의 수도가 함락당해 실질적으로 멸망했으나 강남에서 왕조를 재건해 부활에 성공한 동진, 남송의 선례가 이미 있었다. 명나라 멸망 이후에도 역시 이러한 시도가 벌어졌지만, 남명은 부흥군 각 파의 결집에 실패해 두 정권과 달리 황제가 난립했고 내부 분열조차 통제하지 못해 존속에 성공한 두 정권과 달리 허무하게 몰락했다.

2. 역사



2.1. 북경의 함락과 숭정제의 자살


[image]
1644년 중국 형세
이자성의 농민군이 베이징을 함락하고, 숭정제가 자살해 명나라는 멸망했다. 하지만 명의 제2 수도였던 난징에는 명을 지지하는 세력이 많았고, 황족을 옹립하여 명나라를 재건하려고 했다. 게다가 남경은 제2의 수도였기 때문에 소규모의 조정을 남겨놓았고, 물자·장비·군대를 집중시킨 뒤 수시로 관리했다. 거기다 성곽도 튼튼했으므로 설사 북경이 적의 손에 넘어가더라도 나라 자체는 살아남을 만했다. 외적 조건으로만 따지면 오호십육국시대정강의 변 때보다 엄청나게 좋은 조건이었다. 따라서 명나라 부흥까지는 아니더라도 종묘 사직 유지에는 성공한 전례인 남송이나 동진처럼 강남을 기반으로 중국을 양분할 만 했겠지만...'''대실패하고 허망하게 멸망했다.'''

2.2. 다른 망명정권과의 비교


같은 입장의 망명 정권이었던 남송동진은 각각 송 고종 조구, 진 원제 사마예를 옹립하여 하나로 뭉쳤다. 물론 내부적인 갈등이 없진 않았지만 이들은 최소한 지도자가 누구인가는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고, 쫓기는 입장에서 국력은 부족하더라도 일단 그 국력을 외부에서의 침략에 대한 방어 최우선으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남명은 이와 반대로 동시에 여러 황제가 여기저기에서 나오다보니 내부에서 서로 정통성을 놓고 다투는 구도였다. 아래의 황제 목록에 있는 남명 황제들은 차례대로 즉위하지 않고 '병립'한 인물들이다. 각각 정권을 만들어 통치기간이 겹치고, 이 정권들은 서로를 인정하긴커녕 협력도 안 했으며 심지어 서로 싸우기까지 한 상황이었다. 그나마 1대 황제인 주유숭은 정통성도 있었고, 명나라 제2의 수도라 할 만한 남경을 먹었기에 남명이 오래 갈 수 있었을지도 모르겠지만, 불행히도 그러지가 못했다.
남송은 지방 군벌들이 송 고종에게 상당히 적극적으로 협조하였고, 한때 송나라의 신하였다가 금나라에 투항한 인물들이 은밀하게 송나라에 도움을 주는 때마저 있었다. 그러나 남명은 오히려 오삼계 같은 투항한 한족 신하들이 적극적으로 공격해 왔다.
또한 남명의 명 계승은 동로마 제국트라페준타 제국과도 흡사하다.

2.3. 내부 분열


사실 남명도 과거 동진과 남송이 그러했듯 장강을 방어선으로 삼고 청나라의 남진을 막는 전략을 폈다. 북방 출신으로 수전에 상대적으로 약한 청군이 장강을 건너 화남 지방으로 내려오기란 사실 어려운 일. 그런데 북경 함락 뒤 겨우 1년 만에 1645년 4월 남경이 다시 함락되었으니 충격적이었다. 여기에는 청군에 투항한 한족 출신 장수 및 군대가 많았다는 점과 함께, 남명 스스로가 내분으로 멸망의 길을 열어젖힌 것이 가장 크다. 1645년에 당시 남명은 장강 방어선 곳곳에 장수와 병력을 주어 청군의 침공에 대비했는데, 문제는 이 와중에 가장 규모가 컸던 좌량옥(左良玉)이 남명 조정 실권자인 마사영(馬士英)과의 갈등, 그리고 좌량옥의 권력욕이었다.
물론 이건 남명 조정의 문제보다 좌량옥의 탓이 컸다. 좌량옥은 권력욕이 매우 넘쳐 흘렸는데, 문제는 국가위기상황에서도 그 권력욕을 주체하지 못했으며 마사영과의 관계도 최악이었다는 것이었다. 좌량옥의 권력욕은 황당한 사기극으로 폭발했다. 홍광제 즉위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숭정제의 태자 주자랑임을 주장하는 인물이 나타났다. 수많은 사람들, 심지어 홍광제조차 속아 넘어갈 뻔하였으나 주자랑을 가르친 적이 있는 왕탁이라는 신하가 가짜임을 간파했다(남태자 사건). 그러나 세간에는 홍광제가 제위 유지를 위해 정통성을 위협하는 주자랑을 제거하려 했다는 소문이 떠돌았는데, 좌량옥은 이를 이용하여 마사영의 남명 조정을 치는 반란을 일으킨다.[2]

2.4. 병력의 공백


결국 남명과 마사영은 반란을 막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최전선에서 청군을 막던 황득공, 유량좌의 병력들을 소환했으니, 이런 상황에서 청군이 장강 방어선을 못 뚫을 리가 없었다. 그래도 좌량옥의 반란은 어찌어찌 막았는데, 좌량옥이 패배에 격분해 분사하고, 그 병력을 이어받은 아들 좌몽경(左夢庚)이 그대로 청에 투항했다. 좌몽경은 이후 청나라의 한인 팔기 중 상남기한군에 편입되었다.
그나마 장강 하류의 양주 (양저우)에서는 주유숭의 남명 정권에서 병부 상서를 맡은 '''사가법'''(史可法)이 투항을 거부하고 최후까지 항전하여 명 제국의 명줄을 어떻게든 유지하려고 애썼으나, 언 발에 오줌 누기에 불과하여 청군의 남하를 아주 약간 지연시키는 데 그쳤다. 사실 그 전에 사가법이 병부 상서로서 주유숭 정권 초기부터 이른바 강북 4진을 두고 방비를 강화하는 동안 남명 조정의 권신들이 방비할 생각은커녕 사가법이 권력을 장악할지 모른다며 그의 힘을 최소화시키려고 4진들의 사이를 이간질시키며 최소화하기 위해 온갖 공작을 다한 것이 큰 문제였다(...). 사가법은 병력이 열세인 상황에서 섭정 도르곤의 동생이자 누르하치의 15남인 '''예친왕 도도'''가 이끄는 청군을 상대로 비교적 선전하긴 했지만, 외부 지원군이 와서 포위 중인 청군을 협동 공격하기라도 하던가 해야 하는데 그 외부에서 올 수 있는 지원군들이 뭘 하고 있었는지는 바로 윗 문단을 보자(...).
지나친 문치주의로 군대와 국방의 약화를 불러왔다는 남송만 하더라도 양양 - 번성을 거점으로 몽골군을 수십 년동안 막아냈을 뿐더러, 양양 - 번성 포위전에서도 무려 5년을 버텼다. 그리고 그 5년 동안은 남송 조정이 절대 놀지 않고 몽골군의 방해를 받으면서도 악착같이 지원군과 물자를 양양성으로 보내기 위해 무단히도 애를 썼다. 결국 양번은 함락되었고 이후에 벌어진 남송 최후의 전투인 애산 전투에서도 저항하다 패하자 아무도 항복하지 않고 다같이 싸우다 죽었다.
그런데 남명은 남경으로 향하는 길목인 양주가 위급한 상황에서도 권력 투쟁이나 하다가 지원병 하나 보내지도 못했다. 결국 사가법은 청군에게 참패하고 만다. 사가법의 최후에 대해선 전사했다는 설, 포로로 잡힌 후 투항을 거부하여 처형되었다는 설이 있는데 어느 쪽을 따르든 명조에 충성하다 죽은 것은 분명하다. 비록 후대이긴 하지만 청나라조차 그에게 '''충장'''의 시호를 내려 기렸고, 지금도 양저우에는 사가법 기념관이 있다. 다만 후대에 사가법을 기리는 것과 별개로 당대의 청군은 양주에서의 격렬한 저항에 격분하여 양주에서 대학살을 벌였다. 그 유명한 '''양주 10일'''이 바로 이 사건이다. 그런데 이러고도 중원의 백성들이 들고 일어나긴 커녕 남명을 외면했다. 이들은 청군이 상당히 잔혹한 대우를 해서 청군도 싫어했긴 했지만 그뿐이었다.

2.5. 멸망


홍광제가 패몰한 이후 융무제, 영력제와 부흥군의 분파가 각지에서 서로 즉위를 하고 청나라에 대항했으나 싸우는 족족 패배하고 1659년 영력제는 따웅우 왕조 치하 미얀마로 도망갔으나 1662년에 거기서 미얀마가 오삼계에게 넘겨줘서 처형당하면서 남명의 잔존세력은 완전히 멸망했다.
남명의 역사는 <명사>에 있는데, 본기가 아니라 열전에 있다. 청나라에서 남명을 공식적인 왕조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image]
정성공의 세력 범위
빨강색: 정성공의 직할령, 주황색: 정성공의 영향권.
남명의 부흥을 주도했던 인물 중 정성공은 중국 본토에서의 명나라 부흥이 사실상 어려워지자 네덜란드가 식민 지배하고 있던 대만섬을 공격해 차지하고, 거기에 정씨 왕국을 건국했다. 정씨 왕국은 명목상으로는 반청 복명 기조를 유지했고, 삼번의 난 때는 오삼계 등과 협조, 파병해 복건성에서 청군과 교전하기도 했다.
남명이 패망한 원인을 두고 당시 남명의 지식인 황종희(黃宗羲 1610~1695)와 전징지(錢澄之 1612~1693), 구식사(翟式紹)와 왕부지(王夫之 1619~1692) 등은 "청나라에 맞선 이른바 반청 의병들은 대부분 도적이나 불량배들로 규율이 문란하고 노략질을 저지르니 백성들이 그들을 따르지 않았다. 혹은 부자들이 부리던 종이나 소작인들이 주인들의 강요에 의해 억지로 나선 것이라 사기가 낮고 겁이 많아서 제대로 싸울 수 있는 자가 매우 적었으니, 어떻게 강력한 청나라 군대를 이길 수 있겠는가?"라며 남명에 가담한 세력들이 나약한 도적이나 불량배에 불과했으니 남명이 망했음은 당연하다고 혹평하였다.[3]

3. 남송과의 비교


다만, 이렇게 보면 남명은 다른 조건은 나쁘지 않았는데 그냥 자기들이 자멸해서 망한 것처럼 보인다. 그렇게 가혹한 평가를 내리기에는, 남명이 처한 상황이 여러모로 안 좋았다. 여기서 중국 역사에서 남명과 가장 많이 비교될 여지가 있는 남송과 비교를 해보면 아래와 같은 차이점이 있다.

3.1. 후계 문제


'''송나라는 정강의 변으로 황실의 후계가 매우 깔끔하게 정리되었다.''' 이것이 바로 명과의 가장 큰 차이점이었다.
자세하게 풀어보자면, 휘종의 아들들, 즉 황위계승자들의 운명을 하나하나 따져보면 된다. 휘종은 공식적으로 확인된 아들만 무려 35명에 달하는데 이중 정강의 변 이후 태어난 3명을 빼면 32명이다. 장남인 황태자 조환은 정강의 변 직전 즉위하여 흠종으로 즉위했다가 아버지랑 같이 사이좋게 끌려갔다.(...) 차남 연왕 조정, 4남 형왕 조즙, 10남 빈왕 조재, 13남 의왕 조박, 16남 운왕 조공, 19남 한왕 조춘, 22남 진왕 조기는 정강의 변 이전에 요절하였으니 실질적으로는 24명이다. 황자가 24명이나 있었으니 당연히 제위를 두고 치열한 다툼이 일어났지 않겠는가. 이런 상황이 벌어졌다면 남송 역시 남명처럼 단합하지 못하고 자기들끼리 분열했을 것이다. 그럼 황자 24명은 무얼 하고 있었을까?
3남 운왕 조해, 5남 숙왕 조추, 6남 경왕 조기, 7남 제왕 조허, 8남 익왕 조역, 11남 조모, 12남 조식, 14남 서왕 조체, 15남 기왕 조악, 17남 화왕 조식[4], 18남 신왕 조진, 20남 안강군왕 조악, 21남 광평군왕 조건, 23남 상국공 조천, 24남 영국공 조월, 25남 건안군왕 조앙, 26남 가국공 조의, 27남 온국공 조동, 28남 영국공 조사, 29남 의국공 조동[5], 30남 창국공 조병, 31남 윤국공 조종, 32남 한국공 조상 등 이렇게 '''황자 총 23명'''이 정강의 변 때 개봉에 있다가 '''금나라로 끌려갔다.(...)''' 15남 기왕 조악서부터는 1110년 이후에 출생한 어린 나이이니 그렇다 쳐도 그 이상 나이의 황자들은 왜 도망도 못가고 사이좋게 아버지, 형이랑 같이 잡혀갔는지 이해가 안 갈 지경이다. 참고로 흠종의 아들로 정강의 변 당시 황태자였던 조심은 당시 나이 11세로 역시 '''잡혀갔다.'''
그리하여 휘종이 낳은 24황자와 흠종의 1황자 중 개봉에서 도망치는 데 성공한 사람은 후일 남송의 고종이 된 '''9남 강왕 조구 단 한 명'''이 전부였다. 제위계승의 경쟁자가 될 형제, 조카는 모두 금나라가 다 잡아갔고(...) 송의 남은 신료들과 백성들에게 강왕 조구는 선택지고 뭐고 할 것 없는 유일무이한 대안이었다. 참고로 휘종이 황제가 될 때 경쟁자였던 신종의 9남(요절한 황자들을 빼면 사실상 차남) 조필은 정강의 변 훨씬 이전인 1106년에 죽은 상황이었다.
반면, 남명은 매우 상황이 골때렸다. 숭정제의 적통 3황자들은 이자성의 난, 그리고 뒤어이 청나라가 북경을 점령했을 때 모두 실종되었다.[6] 숭정제의 형 천계제에겐 살아있는 자식이 없었다.[7] 이 둘의 아버지인 태창제는 총 7남이 있었는데 천계제, 숭정제 외 모든 아들들이 다 요절했다.(...) 결국 정통성을 따지려면 명 멸망기 황제들의 조부인 만력제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했다.
만력제에게는 총 8남이 있었는데 황제로 즉위한 태창제, 요절한 차남 빈왕 주상서, 4남 원왕 주상치, 8남 영왕 주상부를 제외하면 4명이 남는다. 이중 5남 서왕 주상호는 이자성의 난 와중에 장헌충의 반란군에 잡혀 일가가 몰살당했으니 제외해도 3남 복왕 주상순, 6남 혜왕 주상윤, 7남 계왕 주상영의 가계는 유지되었고 결국 이 세 가계가 서로 자기들의 정통성을 주장하며 대립하는 판국이 되어버렸다.
일단 남명 정권은 만력제의 남은 세 황자 중 가장 서열이 높던 3남 복왕 주상순의 아들 홍광제 주유숭을 정통으로 인정했다.[8] 그러나 혜왕 주상윤, 계왕 주상영은 이후로도 정통 명 제국을 자처하는 정부들에 의해 이용되거나 견제되어서 헤왕 주상윤은 소무제가 보낸 자객에 의해 암살되었고, 계왕 주상영의 아들 영력제는 각지에서 황제라고 자처한 황실의 먼 친척들과 대립해야만 했다.

3.2. 주적의 상황


금나라는 후방이 불안정했다. 몽골은 부족끼리 다투는 중이었지만 어쨌든 제압하지 못하고 있었고 요나라는 1125년에 멸망시키고 얼마 안 되어서 거란족의 저항도 제압했다고 할 상황이 아니었다. 고려는 정강의 변 1년 전인 1126년에 먼저 칭신하고 들어와 금나라가 뛸 듯이 기뻐했는데, 이는 반대로 말하자면 금나라 역시 고려를 확실히 제압한 상황이 아니고 외교적으로만 우위를 점한 상황이란 것이다. 즉, 고려가 먼저 숙이고 들어와 안심은 하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방심하다간 고려에게 뒤통수맞을 우려도 있는 것이었다. 1125년 요나라 멸망, 1126년 고려 칭신, 1127년 정강의 변이라는 급격한 타임테이블 속에서 후방이 안정되지도 않았는데 전력을 다해 화남 지방으로 진격하기는 무리였다. 즉 급속히 두 개의 제국을 멸망시키고 힘을 키웠지만 아직 그 기반이 구석구석까지 다져지지 못한 상황, 이런 상황에서 무리하게 남으로 고! 했다가는 비수대전 꼴이 날 수도 있었다.[9]
하지만 청나라는 달랐다. 만력제 말기 이래 여진족은 천천히 착실하게 세력을 키웠고 만주 지방에서의 확실한 우위를 점하며 내몽골을 복속시켰고 병자호란으로 금나라 때 고려 포지션이던 조선까지 확실하게 복속시켰다. 청나라는 금나라와 달리 후방에 대한 우려가 거의 없었던 것이며 이는 전력으로 남명을 들이칠 수 있었던 호조건이었다. 애초 금나라와는 달리 청나라는 만력제 때부터 세력을 차근차근 키웠으니 당연한 일이겠지만

3.3. 경제적 여력


정강의 변 당시 송이나 멸망 이전의 명이나 암군들의 가혹한 통치로 경제가 어려웠고 민생이 도탄에 빠졌다. 그런게 그 수준이 너무 컸다.
송의 경우 선대 황제들때부터 재정적자 문제가 거론되고 있었지만 이것이 국가 멸망까지 치달을 수준은 아니었고 왕안석과 신법당에 의한 개혁 시도를 하는 등 어떻게든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한 편이었다. 그리고 재정적자 문제가 당장 민생파탄으로 이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북송대 경제는 역대 어느 통일왕조와도 비교못할 정도로 번성하였다. 화남 지방의 개발도 송 시기에 계속되었다. 다만, '''휘종이 그놈의 예술덕후질로 세금을 팍팍 걷으면서''' 민생을 말아먹었을 뿐, 그걸 제외하면 당장 국가경제가 나락으로 떨어질 상황은 아니었다. 역설적이게도 '''뜯어먹을 게 있으니 예술덕후질을 할 수 있던 거다.''' 이런 송의 충실한 경제력은 화북 상실 이후에도 남송이 저항하는데 강력한 기반이 되었다.
반면 명은 처참했다. 휘종의 통치가 25년이었다면 명나라 4대 암군의 통치는 1세기에 달했으며 그중 가장 심각했던 만력제가 혼자 반 세기다.[10] 이런 기나긴 암군의 통치 속에 명의 경제력은 회복불능에 빠졌고 민생은 완전히 박살나서 명말에 농민반군이 100만 단위로 쏟아져나오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송과 달리 장강 이남을 온전히 확보하여 그 경제력을 이용할 수 있던 것도 아니었다. 풍족한 생산력을 지닌 사천 지방은 장헌충의 서나라가 장악하고 있어서 남명의 경제적 기반이 되어주지 못했고 역시 화남의 또 다른 경제적 기반인 호복성(한나라 시기의 북형주 지역) 일대에는 패주한 이자성군이 차지하고 있었다.

3.4. 군사적 여력


남송이 화남 지방의 경제력을 기반으로 살아남을 수 있었던 최종적인 이유는 결국 군사적 승리였다. 장강을 넘어 침공해온 금나라의 군대는 악비, 한세충같은 명장들이 잘 조련된 군대를 이용하여 격파했다. 남송에는 아직 풍부한 병력과 유능한 장수들이 남아있었고 자연환경과 금나라의 보급로가 길어진 것 등을 이용하여 군사적인 승리를 거두고 국가를 존속할 수 있었다.
하지만 명나라에겐 그런 게 전혀 없었다. 명의 정예병력들과 뛰어난 지휘관들은 대청전쟁과 이자성의 난 와중에 모두 소멸되었다. 원숭환은 대청전쟁 과정에서 처형, 홍승주는 투항, 양사창은 이자성의 난 진압 과정에서 분사, 손전정은 동관 전투에서 조정의 무리한 출병 요구에 떠밀려 결국 전사했다. 이자성군에게 매번 패배만을 거듭하던 무능한 좌량옥따위가 남명 최대의 군대를 보유하고 있었고 결국 반란을 일으켰다 청에 투항하는 꼴을 보면 경제적 기반이 멀쩡했다한들 남명이 버텼을지 의구심이 든다. 남명의 가장 결연한 항전이었던 양주 전투를 지휘한 병부상서 사가법은 군인이 아닌 관료출신으로, '''남명에 제대로 된 장수가 하나도 없었다.'''

4. 외국의 반응


조선에서도 이 남명의 존재를 알고 있었는지 송시열은 상소를 올렸을 때 '중국 남녘 외진 곳에 한 줄기 정통이...(중략)'이라는 구절을 넣었고, 남명 최후의 황제인 영력제의 연호를 쓰기도 했으며, 심지어 영력제가 죽자 자체적으로 기려서 이를 알게 된 청나라와 외교분쟁까지 갈 뻔했다. 다만 송시열이 상소에서 '그들을 돕고 있는데 아무도 모르게 하는 건가요?' 하는 표현을 쓴 것을 보면. 조선에서는 최소한 청나라가 대놓고 눈치 챌 정도로 남명을 지원하지 않았던 모양이다. 어차피 거리가 너무 멀어 지원해 주고 싶어도 못했을 것이다. 송시열의 상소에는 전체적으로 남명에 우호적이고 그들을 도와야 한다 어쩌구 하는 내용이 있지만, 송시열의 행보를 살펴보면 '북벌은 불가능한 일이지만 자신과 자신의 세력에 정당성을 가져다 줄 수 있으니' 지지한 듯하다.
영력제 사후 조선의 양반들이 영력제를 기렸음을 청나라에서 눈치를 챘던 걸 보면, 아무래도 조선은 남명의 존재를 알았지만 적대하지도 우호하지도 않은 듯하다. 대신 반청인사들이 숭정 연호를 알음알음 계속 사용했다.
다급한 남명정권은 외국에도 구원을 청한 바 있는데 일본에 지원병을 보내달라고 몇 번이나 사절을 보냈지만 도쿠가와 막부는 청나라와 충돌할 것을 우려해 정씨 왕국과의 교역 이권을 인정하는 수준에서 그쳤다.[11] 영력제교황을 비롯해 서양 세력에도 구원을 청했으나 큰 도움은 되지 못했다.

5. 역대 황제



5.1. 홍광제 정권


<rowcolor=#800000> 대수
묘호
시호
연호

재위기간
추존
순종
(順宗)
동천합도승명순정강문의무신인헌효도황제
(同天合道承明純靖康文懿武神仁獻孝悼皇帝)
-
,<의흥(義興)>,
주자랑(朱慈烺)

추존
공종
(恭宗)
모천부도정순숙철수문현무성경인의효황제
(慕天敷道貞純肅哲修文顯武聖敬仁毅孝皇帝)
-
주상순
(朱常洵)
-
17
안종
(安宗)
처천승도성경영철찬문비무선인광효간황제
(處天承道誠敬英哲纘文備武宣仁度孝簡皇帝)
홍광
(弘光)
주유숭
(朱由崧)
1644 ~ 1645
감국
-
-
,노민왕(潞閔王),
-
주상방
(朱常淓)
1645

5.2. 융무제 정권


<rowcolor=#800000> 대수
묘호
시호
연호

재위기간
추존
철종
(哲宗)
혜황제(惠皇帝)
-
주우온(朱宇溫)
-
추존
순종
(純宗)
순황제(順皇帝)
-
주우영(朱宙栐)
-
추존
정종
(定宗)
단황제(端皇帝)
-
주석황(朱碩熿)
-
추존
유종
(裕宗)
예천격도신덕숭정순문평무제인회효선황제
(禮天格道慎德崇靜順文平武濟仁懷孝宣皇帝)
-
주기성(朱器墭)
-
18
소종
(紹宗)
배천지도홍의숙목사문열무민인광효양황제
(配天至道弘毅肅穆思文烈武敏仁廣孝襄皇帝)
융무
(隆武)
주율건
(朱聿鍵)
1645 - 46

문종
(文宗)
정천응도소숭영문굉무달인성선민효절황제
(貞天應道昭崇寧文宏武達仁成宣閔孝節皇帝)
소무
(紹武)
주율오
(朱聿鐭)
1646 - 47

경종
(敬宗)
충천융도소의흠성정문양무분인예효화황제
(忠天隆道昭義欽成靖文襄武奮仁睿孝和皇帝)
동무
(東武)
주상청
(朱常淸)
1647 - 49

5.3. 주이해 정권


<rowcolor=#800000> 대수
묘호
시호
연호

재위기간
자립
의종
(義宗)
시천제도공화양정헌문경무명덕숙인성황제
(侍天制道恭和襄定獻文敬武明德肅仁成皇帝)
감국
(監國)
주이해
(朱以海)
1645 - 46(?)

5.4. 주형가 정권


<rowcolor=#800000> 대수
묘호
시호
연호

재위기간
자립
원종
(元宗)
경황제
(驚皇帝)
-
주형가
(朱亨嘉)
1645

5.5. 영력제 정권


<rowcolor=#800000> 대수
묘호
시호
연호

재위기간
추존
예종
(禮宗)
체천창도장의온홍흥문무인지성효단황제
(體天昌道莊毅溫弘興文宣武仁智誠孝端皇帝)
-
주상영(朱常瀛)
-
19
소종
(昭宗)
응천추도민의공검경문위무예인극효광황제
(應天推道敏毅恭檢經文緯武禮仁克孝匡皇帝)
영력
(永曆)
주유랑
(朱由榔)
1646 - 62

5.6. 정무제 정권


<rowcolor=#800000> 대수
묘호
시호
연호

재위기간
자립
평종
(平宗)
규천현도지인정신덕문분무정숙돈강원황제
(揆天顯道知仁貞信德文奮武靖肅敦康元皇帝)
정무
(定武)
주본현
(朱本鉉)
1646? - 64?

6. 관련 문서



[1] 혹은 1664년.[2] 남태자 사건에 대해서는 우연히 일어난 사건이고 좌량옥이 이를 이용했다는 설, 좌량옥이 계획적으로 준비했다는 설이 있다. 남명 시기의 혼란이 워낙 심한지라 어느 쪽 모두 확실한 근거가 없다.[3] 출처: 지도에서 사라진 나라들/ 도현신 지음/ 서해문집/ 176쪽[4] 12남 조식과는 식자의 한자가 다르다. 12남 조식은 植자를 쓰고 17남 조식은 栻자를 쓴다.[5] 12/17남 조식과 마찬가지로 27남 조동과는 한자가 다르다. 27남 조동은 棟자를 쓰고 29남 조동은 桐자를 쓴다.[6] 죽었다는 것이 정설이다.[7] 애초에 숭정제가 이어받을 수 있던 이유도 이것 때문이다. 천계제에게 자식이 없어서 숭정제에게 넘어갔기 때문, 물론 천계제에게도 자식들이 없던건 아닌데 위충현이 다 제거해버렸다(...)[8] 주상순 본인은 이자성의 난 와중에 이자성군에 잡혀 죽고 삶아져서 반란군들에게 먹혔다.(...)[9] 그리고 금나라는 그 때나 이후나 경제력이 매우 취약했다. 금세종 이전까지는 국가예산에 대한 회계조차 없었고 돈받고 관직주는 납속 행위가 전성기인 금세종때도 있었고 그나마 부족한 경제력을 메꾸기 위해 남송에게 세공(금세종 시기부터는 세폐)을 받아냈지만 그나마 초기에는 꽤 많이 받아냈지만 해릉양왕의 삽질 이후 나라꼴이 영 엉망이 되버리자 일단 안에 있는 문제부터 해결하자고 남송과 타협하면서 줄였다. 그럼 또 그렇게 받아낸 세폐를 잘 유지했냐면 그것도 아니라서 남송과의 무역으로 유출되는 양이 꽤 많았다. 이렇게 부가 타국으로 유출되는 일이 많다 보니 조공무역마저 통제할 정도였다.[10] 이 4대 암군도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만력제만은 어느 시대건 까이는 군주였다(...) 오죽하면 명나라는 만력제때 망했다는 소리까지 나올 정도 [11] 사실은 1652년 명의 잔당인 계왕정권은 에도 막부의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츠에게 주순수라는 사절을 보내어 구원병을 요청한 적이 있었다. 쇼군 이에미츠는 막부의 중신들과 회합하는데 이 자리에서 과격파들은 '천하의 불평 낭인 수십만을 모아 중원에 진공, 달단(만주족을 가리키는 말)을 정복하고 중원을 한족(漢族)들에게 다시 회복시켜 우리에게 조공을 바치게 하자'고 주장하지만 합리적인 막부(幕府)의 수석각로인 마쓰다이라 노부츠나는 '간신히 얻은 천하태평을 위험에 빠뜨릴 수는 없다'고 강력히 반대하는 바람에 결국 남명을 돕기 위한 파병은 이루어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