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트랜드

 


[image]
1. 개요
2. 지역
2.1. 홀케이크 아일랜드
2.1.1. 스위트 시티
2.1.2. 홀케이크 성
2.1.3. 애프리콧 호
2.1.4. 유혹의 숲
2.2. 카카오섬
2.3. 기타
3. 여담
4. 관련 문서


1. 개요


'''万国(トットランド''' / '''Totto Land'''[1]
신세계의 위치한 빅 맘 해적단의 본거지. 총 35개의 섬이 존재하는 광활한 '''해역'''의 총칭으로 하나의 제국이나 다름없다. 토트랜드의 수도 격인 '홀케이크 아일랜드'의 중심부 '스위트 시티'에 빅 맘 해적단의 선장 사황 '빅 맘' 샬롯 링링이 거주하는 홀케이크 성이 존재한다. 홀케이크 아일랜드를 제외한 나머지 34개의 섬은 85명에 이르는 빅 맘의 자식 중 선별된 34명이 '대신(大臣)'이라는 이름으로 통치한다.[2] '온 세계의 모든 종족이 차별 없이 살 수 있는 나라'를 지향하는 만큼 인어, 족장족, 밍크족 등 거의 모든 종족이 한데 어우러져 살아간다.[3] 록스 해적단 붕괴 이후 세워졌다.[4]
물엿으로 이루어진 바다나 하늘에서 솜사탕 눈처럼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기후와 지형을 자랑한다. 섬에서 나온 주스에 물들어 보라빛을 띈 해역도 존재한다. 어디를 가든지 길거리에 길게 늘어선 과자로 만든 건물들을 볼 수 있다.[5] 그리고 사황의 본거지인 만큼 경비가 삼엄하다. 토트랜드의 주변 바다에는 '경고염파'를 내뿜는 '영역 바다소'가 몇 만 마리나 존재하기 때문에 빅 맘 해적단의 허가를 받지 않은 배는 해역에 들어오는 즉시 '타르트 선'의 공격을 받는다. 단 어느 섬에 도착하기 전에 다음 섬으로 방향을 전환하면 영역 바다소의 감시망을 피하는게 가능하며, 경고염파를 수신하면 울기 시작하는 전보벌레의 성질을 통해 해당의 영역에 적이 무단으로 침범했다는 사실까지도 즉각적인 확인이 가능하다.
토트랜드의 주민들은 안전의 대가로 반년에 한 번 한 달치의 '소울(수명)'을 바쳐야 한다. 요컨대 이곳에 사는 사람들은 1년에 두 달치, 6년에 1년치의 수명이 줄어든다. 소름끼치는 상황이지만 이곳에 사는 주민들은 여기에 큰 불만이 없어보인다.[6][7] 빅 맘을 이렇게 모은 인간의 소울을 나라 곳곳에 흩뿌려 의인화가 이루어진 무생물, 즉 호미즈를 만들어낸다. 호미즈 역시 어엿한 토트랜드의 일원이다. 종합적으로 보자면 '''드문드문 어두운 설정이 들어있는 동전의 양면성을 가진 동화의 나라'''다. 수명을 징수당하고 떠나는 자들에게는 죽음만이 있지만 남아서 안주하는 자들에게는 남은 수명 동안 안전하고 배가 고플 일이 없고 무엇보다 차별도 없고[8] 왕족에 해당하는 샬롯 패밀리 사람들이 그래도 백성들에게 헌신하는 이상적인 국가다. '''백성들을 굶주리지 않게 하고 외적에게서 지켜주는 왕이야말로 명군'''이라 할 때 토트랜드는 원피스 신세계에선 매우 살기 좋은 국가라고 볼 수 있다.[9]

2. 지역



2.1. 홀케이크 아일랜드


[image]
'''ホールケーキアイランド / Whole Cake Island'''
토트랜드 중앙부의 위치한 섬. 빅 맘 해적단의 총본산. 소울소울 열매의 힘으로 인해 구름, 꽃, 나무 같은 자연물이나 가구, 땅콩, 과일, 슈크림 같은 무생물까지 전부 생명이 부여되어 말을 하고 걸어다니기 때문에 굉장히 발랄하고 아기자기한 동화풍 분위기를 풍긴다.
섬의 거의 모든 자연물이나 인공물들이 과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숲은 다양한 과자로 이루어져있고 강물조차 주스로 되어있다. 북서쪽과 동쪽 하구에 각각 파이어탱크 해적단태양 해적단의 아지트가 있다. 북동쪽 해안에는 점박이 상어들이 잔뜩 서식한다.

2.1.1. 스위트 시티


[image]
'''スイートシティ / Sweet City'''
홀케이크 아일랜드의 수도. '빅 맘' 샬롯 링링이 사는 곳이다. 속이 텅 빈 비스킷 병사들이 순찰을 돈다.

2.1.2. 홀케이크 성


[image]
'''ホールケーキ城 (シャトー) / Whole Cake Chateau'''[10]
스위트 시티에 위치한 '빅 맘' 샬롯 링링의 거성. 아나나처럼 아직 성인이 되지 않은 아이들은 여기서 사는 것으로 보인다. 옥갑의 대폭발로 인해 무너졌다. 다행히 슈트로이젠의 능력으로 추락하는 성을 부드러운 진짜 홀케이크로 만들어 스위트 시티가 궤멸하는 대참사를 막을 수 있었다.
  • 지하
    • 죄수 도서실(囚人図書室 / Prisoner Library)
죄인들을 봉인한 책들이 있다.
  • 2층
    • 회의실(会議室 / Meeting Room)
빅 맘의 자녀들이 각종 현안을 논의하는 곳.
  • 객실(客室 / Guest Rooms)
  • 3층
    • 안뜰(中庭 / Courtyard)
실내 정원. 페드로타마고 남작이 싸웠던 곳.
  • 의료실(医療室 / Infirmary)
샬롯 푸딩의 총에 맞았던 빈스모크 레이주가 안정을 취했던 곳. 4층에도 있다.
  • 4층
    • 보물의 방(宝物の間 / Room of Treasure)
빅 맘의 보물고. 로드 포네그리프 1개와 일반 포네그리프 2개가 비치되어 있다.
  • 술 저장고(酒貯蔵庫 / Alcohol Storehouse)
주류 창고. 보물의 방 옆에 있다.
  • 여자 화장실(女子トイレ / Women's Bathroom)
  • 6층
    • 객실(客室 / Guest Rooms)
상디가 머무른 곳. 빈스모크 가문의 객실 역시 6층에 있었다.
  • 8층
    • 거대 부엌(巨大キッチン / Giant Kitchen)
빅 맘 해적단의 총요리장 슈트로이젠이 일하는 곳.
  • 9층
    • 빅 맘 침실((ビッグマム寝室 / Big Mom's Bedroom)
빅 맘의 침실. 주인의 체구에 걸맞는 거대한 침대가 있다.
  • 신랑신부 대기실(新郎新婦控え室 / Bride and Groom's Room)
상디샬롯 푸딩이 함께 결혼식이 시작하기를 기다린 방.
  • 옥상
    • 다과회 회장(お茶会会場 / Party Hall)
빅 맘의 다과회가 열리는 곳. 수백 명은 족히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디샬롯 푸딩의 결혼식이 진행되었다.
  • 위치 불명
    • 여왕의 방(女王の間 / Queen's Chamber)
빅 맘의 옥좌가 있는 장소. 곳곳에 음식 호미즈들이 대기하고 있다.
  • 푸딩의 방(プリンの部屋 / Pudding's Room)
성내 어딘가에 존재하는 샬롯 푸딩의 방. 호미즈 문이 스스로 열지 않으면 들어갈 수 없다.
  • 도서실(図書室 / Library)
맨티코어나 유니콘 등 세상천지의 희귀한 생물들이 봉인한 책들이 있다.
  • 처형장(処刑場 / Execution Room)
징베브룩과 비슷하게 생긴 유골을 주은 곳.

2.1.3. 애프리콧 호


'''アプリコッ湖 / Lake Aprico'''
홀케이크 성 뒤편에 있는 호수. 빅 맘 산하의 해적이나 앞으로 그렇게 될 자들의 배는 입항이 허가된다. 제르마 왕국이 모두 들어갈 정도로 넓다.

2.1.4. 유혹의 숲


[image]
'''誘惑の森 / The Seducing Woods'''
홀케이트 아일랜드 남서쪽 해안에 위치한 숲. 땅바닥, 나무, 꽃, 구조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호미즈로 이루어진 곳이다. 이들 때문에 침입자는 길을 잃고 헤매다 포위당해 죽게 된다. 거기다 샬롯 브륄레거울거울 열매의 능력을 이용해 침입자의 도플갱어를 만들거나 동물들을 침입자의 형상으로 바꿔버리는 등 다양한 교란 작전을 펼치기 때문에 정신차리지 않으면 일행이 뿔뿔이 흩어져 서로 알아보기도 힘들다.[11]

2.2. 카카오섬


[image]
'''カカオ島 / Cacao Island'''
초콜릿 대신이 다스리는 섬. 모든 것이 초콜릿으로 이루어진 마을 '쇼콜라 타운(ショコラタウン / Chocolat Town)'이 있는 곳이다. 몇년 전까지 샬롯 로라가 통치했다. 로라가 사랑을 찾아 가출한 뒤 가장 유력한 후보인 샬롯 푸딩이 계속 취임을 사양해서 현재 대신 자리가 비어있다. 대신 푸딩은 쇼콜라 타운에서 캐러멜이라는 카페를 운영한다. 홀케이크 아일랜드까지 하루 정도 걸린다. 루피 일행이 처음으로 들린 토트랜드의 섬이기도 하다.
건물을 포함해 이 섬에 있는 초콜릿은 무엇이든 먹어도 상관없지만 비와 눈을 막는 지붕을 이루는 '기와 초콜릿' 시식은 법에 저촉된다. 또한 캔디 대신비스킷 대신의 관할인 창문 유리나 기둥처럼 초콜릿이 아닌 것들은 사유재산 또는 공공재라서 먹었다간 '기물섭식죄'로 초코 폴리스에게 체포당한다. 모든 건물이 유통기한이 있는 과자인 만큼 수명이 끝난 건물을 '''먹어서''' 해체하는 업자들이 있다. 거의 모든 요리에 초콜릿이 들어간다.[12] 심지어 옷까지 초콜릿으로 만든다. 원작에서는 등장하지 않았으나 애니메이션에서는 이 섬의 주민 한 명이 자신이 입고 있던 옷을 깨물어먹는 모습을 보였다.
샬롯 카타쿠리를 마크한 루피가 동료들을 만나기로 약속했던 장소다. 주민들이 기겁할 정도로 많은 빅 맘의 자식들과 스무디의 막강한 함대가 카카오섬을 포위했으나 제르마 66태양 해적단의 도움으로 밀짚모자 일당이 무사히 토트랜드를 탈출할 수 있었다.

2.3. 기타


  • 구운 과자섬(ヤキガシ島 / Bakery Island)
도시는 몽실 타운(ふっくらタウン / Puffed Town). 노릇노릇 대신 샬롯 오븐이 다스리는 섬이다.
  • 금고섬(キンコ島 / Pantry Island)
도시는 아낌없이 타운(オシムナタウン / Chockfull Town).[13] 창고 대신 샬롯 노아젯이 다스리는 섬이다. 토트랜드의 재무를 관리하는 곳이다.
  • 넛츠섬(ナッツ島 / Nuts Island)
[image]
[image]
도시는 피넛 타운(ピーナッツタウン / Peanuts Town). 넛츠 대신 '귀부인' 샬롯 아망드가 다스리는 섬이다. 건물은 땅콩처럼 생겼으며 사람들도 땅콩 모양의 모자를 쓰고 있다. 웨딩 케이크를 찾아 밀짚모자 일당의 쫓던 빅 맘이 갑자기 넛츠 섬으로 방향을 트는 바람에 궤멸에 가까운 피해를 입었다. 옆에서 페로스페로와 아망드가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소용없었다.
  • 노른자섬(キミ 島)
도시는 흰자 타운(シロミタウン). 달걀 대신 샬롯 시트론이 다스리는 섬이다.
  • 농후섬(濃厚島 / Thick Island)
도시는 화이트 타운(ホワイトタウン). 생크림 대신 샬롯 오페라가 다스리는 섬이다.
  • 러빙섬(ラビング 島)
도시는 러브 타운(ラブタウン). 애정 대신 샬롯 콘스타치가 다스리는 섬이다.
  • 로쿠미쯔섬(ロクミツ島 )
도시는 나나미쯔 타운(ナナミツタウン). 벌꿀 대신 샬롯 플랑페가 다스리는 섬이다.
  • 리큐어섬(リキュール島 / Liqueur Island)
도시는 진 타운(ジンタウン / Gin Town). 술 대신 샬롯 주코토가 다스리는 섬이다. 874화에서 밀짚모자 일당의 포위망을 짤 때 언급됐다. 건물들은 거대한 고급 술병처럼 보인다. 벳지가 웨딩 케이크를 들고 빅 맘을 이 섬으로 유인할려고 했으나 샬롯 시폰이 자신이 다스리는 푹신푹신 섬으로 방향을 틀었다.
  • 마가린 섬(マーガリン 島 / Margarine Island)
도시는 버터 타운(バタータウン / Butter Town). 버터 대신 샬롯 갈렛이 다스리는 섬이다.
  • 미렝게섬(ミレンゲ島 / Milenge Island)
도시는 무렝게 타운(ムレンゲタウン). 머랭 대신 샬롯 브로에가 다스리는 섬이다.
  • 밀섬(コムギ島 / Wheat Island)
도시는 박력분 타운(ハクリキタウン / Flour Town). 밀가루 대신 샬롯 카타쿠리가 다스린다. 891화에서 등장했다. 건물들이 빵이나 팬케이크처럼 밀가루를 사용해서 만드는 음식들의 형상을 하고 있다. 섬 중앙에 카타쿠리가 좋아하는 도넛으로 쌓은 건물이 있다. 묘하게 주민들은 전부 근육질 거구들이다.[14]
  • 블랙 섬(ブラック島 / Black Island)
도시는 그린 타운(グリーンタウン / Green Town). 차(茶) 대신 샬롯 도르마르셰가 다스리는 섬이다.
  • 비대섬(フトル島 / Futoru Island)
도시는 살금살금 타운(コッソリタウン). 맛보기 대신 샬롯 모빌이 다스리는 섬이다.
  • 비스킷 섬(ビスケット島 / Biscuits Island)
도시 이름은 쿠키 타운(クッキータウン). 비스킷 대신 샬롯 크래커가 다스리는 섬이다, 홀케이크 아일랜드 옆에 있다. 지도상에서는 반쯤 베어문 잼 과자가 올려진 갈색 섬으로 묘사된다.
  • 삼색섬(三色島)
도시는 믹스 타운(ミックスタウン). 믹스 대신 샬롯 시부스트가 다스리는 섬이다.
  • 씨앗섬(タネガ島)
도시는 시드 타운(シードタウン). 씨앗 대신 샬롯 카토가 다스리는 섬이다.
  • 아이스섬(アイス島 / Ice Island)
도시는 샤벳 타운(シャーベットタウン / Sherbet Town). 젤라토 대신 샬롯 모스카토가 다스리는 섬이다. 거대한 아이스크림 있는 건물이 있다.
  • 오독오독섬(ポリポリ島 / Munchie Island)
[image]
도시는 콩콩 타운(マメマメタウン / Beany-Bean Town). 콩 대신 샬롯 다이후쿠가 다스리는 섬이다. 거대한 콩 열매 형태를 한 건물이 있다.
  • 유니크 섬(ユニーク 島)
도시는 팬시 타운(ファンシータウン). 디자인 대신 샬롯 프랄리네가 다스렸던 섬이다.
  • 잼섬(ジャム島)
도시는 진득 타운(ヌールタウン). 잼 대신 샬롯 타쿠아즈가 다스리는 섬이다. 829화에서 지나가듯 등장했다. 섬 위에 거대한 잼병같은 것들이 올려져있다. 이곳 근처에는 주스가 강처럼 흐르는 섬이 있어 바다가 보라색이다.
  • 젤리 섬(ゼリー島 / Jelly Island)
도시는 탱글 타운(プルルンタウン). 우무 대신 샬롯 칸텐이 다스리는 섬이다.
  • 치즈섬(チーズ島 / Cheese Island)
도시는 치즈 타운(チーズタウン / Cheese Town). 치즈 대신 샬롯 몽도르가 다스리는 섬이다. 859화에서 등장했다. 연재 당시에는 밀크 섬으로 나왔다. 건물은 우유병처럼 생겼으며, 거대한 치즈와 햄버거나 피자, 그 외 패스푸드인 감자튀김 같은 것들이 눈에 띈다.
  • 캔디섬(キャンディ島 / Candy Island)
도시는 할짝 타운(ペロリタウン). 캔디 대신 샬롯 페로스페로가 다스리는 섬이다. 홀케이크 아일랜드 바로 옆에 있다. 지도상에서는 온갖 캔디가 올려진 초록색 섬으로 묘사된다.
  • 커틀러리섬(カトラリー島 / Cutlery Island)
도시는 테이블 타운(テーブルタウン / Table Town). 식기 대신 샬롯 마스칼포네가 다스리는 섬이다.
  • 키보섬(キーボ 島)
도시는 쿠보 타운(クーボタウン). 효모 대신 샬롯 마르니에가 다스리는 섬이다.
  • 토핑섬(トッピング島 / Topping Island)
도시는 데코 타운(デコタウン). 토핑 대신 샬롯 타블렛이 다스리는 섬이다.
  • 파이파이섬(パイパイ島 / Piepie Island)
도시는 바삭 타운(サックリタウン). 파이 대신 샬롯 콤보가 다스리는 섬이다.
  • 패키지섬(パッケージ島 / Package Island)
도시는 분류 타운(シワケタウン). 운수 대신 샬롯 누스토르테가 다스리는 섬이다.
  • 포테이토섬(ポテト島 / Potato Island)
도시는 칩스 타운(チップスタウン). 튀김 대신 샬롯 스낵이 다스리는 섬이다. 이름처럼 감자튀김, 감자칩등 감자를 활용한 음식이 눈에 띈다.
  • 푹신푹신섬(ふんわり島 / Fluffy Island)
도시는 두둥실 타운(フワリンタウン / Floof Town). 푹신 대신 샬롯 시폰이 다스렸던 섬이다. 케이크 형태의 건물들이 인상적인 섬 벳지는 리큐어섬으로 빅 맘을 유인할 생각이었으나 시폰이 리큐어섬과 카카오섬의 거리가 가까워서 빅 맘이 정신을 차리면 밀집모자 일당을 공격할 것이 뻔하다며 웨딩 케이크를 이곳으로 옮겼다.
  • 플레버섬(フレーバー島 / Flavor Island)
도시는 에센스 타운(エッセンスタウン). 에센스 대신 샬롯 산마르크가 다스리는 섬이다. 874화에서 밀짚모자 일당의 포위망을 짤 때 언급됐다.
  • 후르츠섬(フルーツ島 / Fruits Island)
도시는 펀치 타운(ポンチタウン). 후르츠 대신 샬롯 콩포트가 다스리는 섬이다.
  • 100% 섬
도시는 과즙 타운(カジュータウン). 주스 대신 샬롯 스무디가 다스리는 섬이다.

3. 여담


동화적인 요소 때문인지 일부 팬들은 섬의 각종 모티브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한다.

4. 관련 문서



[1] 만국이라고 쓰고 토트랜드라고 읽는다. 사실 영문 표기를 생각하면 '''토토랜드'''가 맞는 표기다. 아마도 프랑스어로 'every'를 뜻하는 'tout'에서 따온 말로 보인다. 'tout'의 발음은 '투'이지만 일부러 영어식으로 읽어​​​​​​​​​​​​​​​​서 이름을 지었을 가능성이 있다.[2] 빅 맘 해적단의 최고 간부 '스위트 3장성'은 전부 대신을 겸하고 있지만 딱히 높은 전투력이 요구하는 자리가 아니다.[3] 영웅 '폭포수염' 요를을 살해하고 카르멜을 잡아먹은 빅 맘을 격하게 혐오하는 거인족을 포함 딱 3종족만 없다. 백수 해적단의 대간판 '화재' 이 토트랜드에 없는 한 종족의 유일한 생존자다.[4] 정확하게 말하면 샬롯 몽도르와 태어난 이후, 샬롯 스무디가 태어나기 이전이다. '비브르 카드 ~사황 빅 맘 해적단~'에서 3살 터울인 몽도르와 스무디의 고향이 각각 선상(船上), 토트랜드로 표기되었다. 적어도 스무디가 태어난 35년 전에는 토트랜드가 있었다는 소리. 참고로 맏이인 샬롯 페로스페로는 어느 항구, 샬롯 카타쿠리를 포함하여 샬롯 다이후쿠샬롯 오븐은 선상에서 태어났다.[5] 빅 맘 해적단의 총요리장 슈트로이젠의 이 세상 온갖 것을 식재로 바꾸는 쿡쿡 열매의 능력에 샬롯 페로스페로샬롯 크래커처럼 캔디나 비스킷 등 간식거리를 만들 수 있는 능력자들의 조력이 더해진 결과로 보인다. 빅 맘이야 쿡쿡 열매로 만든 식재는 맛이 없다고 했지만 쵸파가 슈트로이젠의 능력으로 생크림이 된 성을 먹고 무척 맛있다고 한 것을 보면 단순히 빅 맘 입맛이 너무 고급이라서 그런 말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6] 60년 정도 산다고 했을 때 수명 중 10여년을 잃는다고는 하나, 빅맘의 비호에서 벗어나면 "천수를 다할 수 있을지마저 장담할 수 없는 곳"이 '''신세계'''다. 겉으로는 살기 좋아 보여도 이면에서는 돈키호테 패밀리에 반대한 자들이 인형이 되어 잊혀져 지배당하던 드레스로자나 무기 공장에서 노역을 하던 다른 사황의 영역 주민들, 제대로된 비호를 받지 못해 해적에게 틈만나면 약탈당하거나 왕의 폭정으로 인해 막대한 세금을 바치지 않으면 당장 하루앞날이 깜깜한 곳에 비하면 훨씬 나은 상황이며, 899화에서는 토트랜드의 주민 중 한 명이 빅 맘의 폭주에 대해 한탄하며 사황의 보호만을 바라고 수명을 바쳤다고 푸념한다. 신세계 뿐만 아니라 원피스 세계관 자체가 힘없는 민간인들에게는 매우 살기 힘든 세계이다. 다른 예시 다 필요없이, 원피스 세계관의 '''그 많은 해적들의 활동자금'''이 어떻게 보충되는지를 생각해보면 된다.[7] 거기다 토트랜드는 사방이 먹을 것으로 널려있어서 주민들은 매우 풍족한 생활을 하고 있다. 신세계의 왕국 중엔 강제 노역에 쓰레기나 파먹고 사는 빈민가가 공공연하게 존재하고 기아로 죽어가는 민간인들도 많다는 걸 생각한다면 수명을 약간 바치는 것으로 신변의 안전과 풍부한 먹을거리, 풍족한 삶을 보장 받기 때문에 주민들의 불만이 없는 것 같다. 당장 같은 사황인 카이도가 지배하는 와노쿠니는 생태계가 죄다 오염되고 먹을것으로 진짜 차별을 하고 있다.[8] 토트랜드의 황제인 샬롯 링링의 이념 부터가 '모두가 평등한 꿈의 국가'이다.[9] 대신 불규칙적으로 일어나는 빅 맘의 식탐앎이로 인한 난동은 감안해야한다.[10] 홀케이크 성이라고 쓰고 홀케이크 샤토라 읽는다.[11] 해적무쌍4 빅맘편 주무대가 여기로 나왔다[12] 초콜릿 버거, 초콜 파스타, 초코 튀김 등. 맛을 상상하기 힘든 음식들이지만 대식가 루피는 초콜릿 버거가 마음에 들었는지 나미한테 사달라고 조르기도 했다.[13] '오시무나'는 '아끼지 마라(惜しむな)'는 뜻이다.(출처 : 89권 SBS.)[14] 아마 밀가루의 종류인 강력분(強力粉)에서 연상한 말장난인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