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ASHI -GUN道-

 

'''무사시 건도'''
MUSASHI -GUN道-

작품 정보 ▼
'''장르'''
퓨전 시대극
'''원작'''
몽키 펀치
'''감독'''
키노시타 유키
'''캐릭터 디자인'''
스다 마사미
'''치프 시나리오 라이터'''
사카이 나오유키(酒井直行)
'''미술 감독'''
나카하라 히데노리(中原英統)
'''편집'''
니시야마 시게루(西山 茂)
'''음향 감독'''
타카쿠와 하지메(高桑 一)
'''음향 제작'''
히라타 사토시(平田 哲)
아카세 요시히로(明瀬礼洋)
'''음악 감독'''
이시구로 노리오(石黒典生)
'''극중 음악'''
코이케 아츠시(小池 敦)
스기모토 요시노리(杉本善徳)
'''애니메이션 제작'''
ACC 프로덕션 제작 스튜디오
'''제작'''
「MUSASHI」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06. 04. 09. ~ 2006. 10. 29.
'''방송국'''
[image] BS-i / (일) 09:30
'''편당 방영 시간'''
24분
'''화수'''
26화
'''국내 심의 등급'''
심의 없음
}}}
1. 개요
2. 특징
3. 등장인물
3.1. 주인공 일행
3.2. 비중있는 역할
3.3. 마물
3.4. 그 외
4. 주제가
5. 회차 목록
6. 영상 및 패러디 모음

[clearfix]

1. 개요


2006년 4월부터 BS-i(現 BS-TBS)에서 방영하기 시작했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제작사는 ACC 프로덕션[1]. 감독은 키노시타 유키. 캐릭터 디자인은 스다 마사미. 방영 개시 날짜에 주목. 1976년이나 1986년, 1996년이 아니다. '''2006년'''이다. 같은 기간에 방영된 작품으로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이 있다.''' 두 작품 모두 좋은 의미와 나쁜 의미로 충격이 컸기 때문에 두 작품을 엮는 합성물도 자주 나왔다.
90년대 후반에 나온 원작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작품으로, 원작자는 루팡 3세의 원작자인 몽키 펀치. 세키가하라에서 서군이 이겼다는 전제 하에서 도요토미 바쿠후가 성립하는 등, 대체역사물의 성격을 띠고 있지만 '''아무도 그런 설정에는 신경쓰지 않는다.'''

2. 특징


[image]
[image]
[image]
보통 일본 애니메이션의 프레임은 초당 8이나 12 프레임인데 이건 '''4프레임'''이다.
첫 방영분에서부터 시청자들을 "내가 지금 1970년대 초로 타임슬립 한 게 아닌가." 싶게 만들 정도의 퀄리티로 "보고만 있어도 정신이 붕괴된다.", "시대가 경천동지하는 작품.", "애니메이션 계의 데스크림존." 등등의 평가를 얻으며 엄청나게 유명해졌다.
얼마나 상태가 안 좋았는지 '''"제작 스태프 40명 중 38명이 돈 먹고 튀어서 남은 두 명이 사비를 털어 만들었다 카더라."'''는 루머가 나돌았을 정도(...)[2]. 더 큰 문제는 '''워낙 작품의 상태가 엉망'''인지라 '''이 루머를 진짜로 믿었던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았다는 것(...)'''. 거기다가 꼴에 16:9 와이드 비전 방송이다.[3]
작화의 퀄리티 문제 뿐만 아니라 TV 방송되는 각화의 제목과 방송 편성표에 공개된 제목, 다음회 예고에 나오는 제목이 전부 제각각 따로 노는 등 안팎으로 불성실한 작품이다. 12편 오프닝 전에 '지난주 방송에서 예고와는 다른 내용을 보내드려서 죄송합니다'라는 사과문을 내보내기도 했다.
이런 엄청난 퀄리티에도 불구하고, '''26화 + 총집편 3화까지 중단 없이 전부 방영'''했으며, 인터넷에서의 열광적인 지지(?)를 등에 업어 수도 없이 많은 매드무비의 소재가 되었고, DVD 박스 세트가 발매되며, 심지어는 동인 온리 이벤트까지 열리는 기염을 토해냈다.
하지만, 중후반 이후 동화 하청처를 바꾸면서 퀄리티가 "아주 조금" 올라갔다. 특히나 24화는 동시대의 다른 애니메이션들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는 훌륭한 작화를 보여 주었고[4], 이후로도 전반적으로 퀄리티가 상승한지라 많은 사람들이 이에 '''아쉬워 했다'''고 한다.
'''사실, 한정판으로 비수정판 DVD가 나오고 수정된 DVD도 나왔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비수정판만 잘 팔렸다.''' '''당연스럽게도 이 작품에서 배경이나 작붕을 개선한 것은 아무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성으로 재방송 할 때는 수정판이 방송되었다. 아니 이걸 재방송한 애니맥스에 경의를 표하자. 현재 애니맥스가 판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잘하면 국내 방영도 가능할지도 모르지만, 장기동결 때문에 현실은 시궁창. 참고로 작화는 엉망인 주제에 이상하게도 배경은 퀄리티가 높아 보이지만 잘 보면 배경 자체가 '''그냥 사진이다'''. 사실, 다른 애니들도 사진을 편집 프로그램으로 적절하게 배경 처리를 하기도 하지만 이 작품에서는 그냥 '''생사진'''을 사용한다(...)
제작자들이 요요기 애니메이션 학원 관련자들인지 주로 요요기 애니메이션 학원에서 스폰서를 해서 제작되었다고 한다. 무사시 건도의 다음 작품이었던 RGB 어드벤처는 제 6화까지 방송한 가운데 결국 스폰서가 끊어저 조기 하차 하는 아픔을 겪고 말았다. 관계자들에 의하면 무사시건도-RGB 어드벤처로 이어지는 가운데 있던 작화 감독들은 사실 거의 참여하지 않았으며 실제로 하고 있던 사람은 한국인 강모씨라고 전한다. 이름만 따 왔다는 이야기. 이 기사에서 언급하는 합작품의 정체가 무사시 건도라는 주장이 있다.
절대 다수가 작붕에 그 의의를 두고 있지만, ''''설정이 아깝다.'''' '스토리는 두고 작화와 세부 내용을 업그레이드하면 괜찮았을 것.'이라는 의외로 정상적인 평이 극소수 존재하고 있다. 보통 정상적인 평은 애니를 최종화까지 시청한 시청자들에게 많이 나오며 나름대로 성우들의 연기나 작품 내 개그센스, BGM의 퀄리티는 괜찮았기 때문이다. 주로 작붕에 초점이 맞춰지는 경우가 많지만 스토리 등도 아스트랄하다. 사사키 코지로, 사나다 유키무라 등은 쓸데없이 여성화 되었다.(사사키 코지로는 설정상 여성이지만 외모가……) 사실 전제 자체는 일본 대체역사소설에서 상당히 자주 쓰이는 설정이기도 하다. 참고로 원작자인 몽키 펀치는 '''본 작품의 구상에 '12년'이 걸렸다고 밝혔다.'''
제작 담당 회사가 원래는 촬영을 전문으로 하던 회사라 애니메이션 제작 경력이 없었고 자금난까지 이어지는 바람에 이런 아스트랄한 작품이 탄생했다는 뒷배경이 있다. 이에 감독 키노시타 유키는 인터뷰에서 "그렇게 주목을 받는 이상현상마저 없었다면 26화까지 제작할 엄두도 안 났을 것이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아이러니한 것은 '''본작에 콘티로 참여한 연출가들은 후쿠토미 히로시, 카츠마타 토모하루, 와타나베 히데오 등 전부 애니메이션 역사의 한 획을 그어놓을 정도로 한 실력하는 베테랑급 연출가들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 작품은 제작진 문제보다는 제작사인 ACC 프로덕션이 애니메이션 제작 경험이 없어 제대로 된 제작 환경을 제공하지 못한 것이 큰 원인으로 보인다.
더 룸이나 데스크림존, 치타맨, 빅릭스, 차지맨 켄! 등과 함께 '이왕 망가질 거 제대로 망가지면 그것도 그 나름대로 전설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각인시킨 작품.

3. 등장인물


[image]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타로(사스케), 무사시, 타쿠안, 로우닌.

3.1. 주인공 일행



3.2. 비중있는 역할



3.3. 마물



3.4. 그 외



4. 주제가



비수정판 버전 오프닝.
수많은 사람들을 충격과 공포에 빠트린 오프닝. 멀쩡한 노래도 뭔가 괴랄하게 만들어 버린다. [5] 후술하겠지만 심지어 이건 나중에 발매된 수정판 DVD의 오프닝이다.

2쿨 오프닝

5. 회차 목록


  • 전화 각본: 사카이 나오유키(酒井直行)
'''회차'''
'''제목'''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GUN道 MUSASHI
GUN도 MUSASHI
키노시타 유키
2006.04.09.
제2화
GUN道
GUN도
후쿠토미 히로시
쿠니타테 히로시
(国立 宏)
키노시타 유키
2006.04.16.
제3화
タクアン和尚
타쿠안 화상
진다이지 와타루
(深大寺ワタル)
陳龍
倲偉文
2006.04.23.
제4화
ガン鬼の銃
건귀의 총
카츠마타 토모하루
陳龍
2006.04.30.
제5화
鬼の道
오니의 길
후쿠토미 히로시
陳龍
倲偉文
2006.05.07.
제6화
牢獄と夢と
감옥과 꿈과
키노시타 유키
2006.05.14.
제7화
ガン鬼の地
건귀의 땅
후쿠토미 히로시
아키츠 미노루
(秋津 稔)
백남열
(白南烈)
2006.05.21.
제8화
兆し
전조
카츠마타 토모하루
진다이지 와타루
백남열
강치근
(姜致根)
2006.05.28.
제9화
月の巫女
달의 무녀
후쿠토미 히로시
아키츠 미노루
키노시타 유키
2006.06.04.
제10화
真田十勇士
사나다 10용사
와타나베 히데오
(渡部英雄)
쿠니타테 히데오
(国立秀雄)
倲偉文
2006.06.11.
제11화
城盗り勝負
성뺏기 승부
카츠마타 토모하루
진다이지 와타루
강치근
2006.06.18.
제12화
猿飛佐助
사루토비 사노스케
후쿠토미 히로시
2006.06.25.
제13화
封印魂
봉인혼
와타나베 히데오
키노시타 유키
2006.07.09.
제14화
水没した城
물에 잠긴 성
카츠마타 토모하루
아키츠 미노루
2006.07.16.
제15화
あの女、再び
또 다시 그 여자
후쿠토미 히로시
쿠니타테 히데오
2006.07.23.
제16화
過去を撃て!
과거를 쏴라!
카츠마타 토모하루
2006.07.30.
제17화
謎の陰陽師
의문의 음양사
후쿠토미 히로시
아키츠 미노루
2006.08.06.
제18화
ウラシマとヤシャ
우라시마와 야샤
와타나베 히데오
키노시타 유키
2006.08.13.
제19화
池と鐘乳洞
연못과 석회동굴
후쿠토미 히로시
쿠니타테 히데오
2006.08.20.
제20화
アヤカシ抹殺
아야카시 말살
카츠마타 토모하루
아키츠 미노루
2006.08.27.
제21화
相討ち
무승부
후쿠토미 히로시
2006.09.03.
제22화
休息の日
휴식일
카츠마타 토모하루
쿠니타테 히데오
2006.09.10.
제23화
ラセツの最期
라세츠의 최후
후쿠토미 히로시
아키츠 미노루
2006.09.17.
제24화
金の城
금으로 된 성
키노시타 유키
2006.09.24.
제25화
破滅
파멸
카츠마타 토모하루
쿠니타테 히데오
2006.10.01.
제26화

사랑
후쿠토미 히로시
아키츠 미노루
2006.10.08.

6. 영상 및 패러디 모음



팬이 만든 오프닝.

(강렬한 액션1) - 35초쯤 명대사 우옷 눈부셔!(うおっまぶしっ!)가 나온다. 그리고 누가 진짜 눈부시게 만들었다 *

(강렬한 액션2) - 1분 36초경부터 끝까지 다쿠앙 화상의 '''현자의 춤'''이 나온다.

(하레하레 마부시(まぶしっ!))
잘 보면 알겠지만 영상의 제목이 haraharemabu'''shit'''이다.
[image]
[image]
교향시편 에우레카 세븐과 같은 기간에 방영되어서 그런지 에우레카 패러디가 좀 있다.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교향시편 에우레카 세븐과 마찬가지로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오란고교 호스트부도 같은 기간에 방영되어서 그런지 오란고교랑 하루히 패러디도 있다.
[image]
[image]
[image]
에우레카 세븐, 하루히와 마찬가지로 같은 기간에 방영된 신비한 별의 쌍둥이 공주 Gyu!도 있다.
[image]
데스노트로도 패러디되었다. 참고로 데스노트도 에우레카 세븐, 하루히, 오란고교, 쌍둥이 공주와 같은 기간에 방영되었다.

[1] 애니메이션 촬영 전문 회사로 애니메이션 제작은 본작이 처음. 원작자 몽키 펀치가 임원으로 있던 회사였다고 하며, 2007년에 최종적으로 파산하였다.[2] 당연하지만,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위해서 40명으로는 턱도 없다. 엔딩 스태프롤만 세봐도 40명 정도는 훌쩍 넘고, 직접적으로 현장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까지 생각하면 더 많다.[3] 은혼은 2006년 4월부터 2010년 3월까지 1~201화 분량을 4:3 비율로 방영했다. 심지어 HD방영이 아닌 SD [4] 그러나 사람들은, 도리어 이를 두고 '작붕'이라고 평가했다(...)[5] 자세히 보면 폰트조차도 촌스럽고 지겹다는 평가가 많은, 즉 일본의 Comic Sans라고 볼 수 있는 소에이카쿠 팝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