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차

 

夜叉 यक्ष(야크샤)
[image]
태국의 에메랄드 사원 앞에 서 있는 야크샤상
1. 개요
2. 상세
3. 불교와 야차
4. 한국의 야차
5. 일본의 야차
6. 대중문화 속의 야차
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야차'''(夜叉)란 인도 신화불교에 나오는 귀신 중 하나로, 산스크리트어 야크샤(yakṣa)[1]를 음역한 것이다. 달리 약차(藥叉)라고도 쓴다.

2. 상세


[image]
화엄사의 시왕도 중 열탕지옥.
가운데의 죄인을 튀기는 녀석이 야차.
볼 수 없고 초자연적인 힘을 지니고 있고 자비롭지만 동시에 두려워할 귀신적 성격을 가졌는데, 공양(供養)을 잘하는 사람에게는 재보(財寶)나 아이를 갖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인도의 고대경전인 《베다》에 나오는 신적 존재. 주로 사람을 잡아먹는 무서운 살인귀로 묘사된다. 야차들의 대장(大將)은 쿠베라다. 야크시니는 쿠베라의 딸로 나오기도 한다. 다만 야차는 야크시니의 배우신이 아니다.
후에는 라크샤사[2]의 일종으로 여겨졌다. 서유기 등 극동아권의 전승에 나오는 라크샤사들은 대부분 그 묘사를 보면 기존의 라크샤사보다는 야차를 얘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선 여성 야차는 석류를 좋아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겉모습이 보살같다면 속마음은 야차이다"라는 말도 있다.

3. 불교와 야차


불교에서는 비사문천을 따르는 무리이다. 혹은 팔대야차대장이 이끈다고도 한다. 야차대장인 쿠베라가 비사문천의 전신이기 때문. 야차대장을 귀왕이라고도 한다.
지옥에서 형벌집행을 담당한다. 야차들을 거느리는 귀왕들 셋이 각각의 시왕의 보좌를 한다고 한다. 지옥도에서 죄인을 불가마에 쑤셔넣는 얼굴이 흉물스럽게 찌그러진(...) 괴물들이 야차다.[3] 이런 녀석들은 염마졸 또는 귀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오니가 야차의 역할을 대신한다. 위의 귀왕, 귀졸 등의 용법에서 보이듯 귀(鬼)자체가 불교에서 야차를 가리키는데, 오니를 표기할 때 역시 鬼자를 사용한다.
불교와 함께 많은 곳으로 퍼져나갔는데, 여러 파생들이 줄줄이 나왔다. 원래는 볼 수 없는 존재였겠지만 이곳 저곳 신상과 그림들이 나온다. 특히 태국의 에메랄드 사원 앞에 서있는 야크샤 상은 에메랄드 사원의 마스코트 중 하나.
귀면와 또한 이 야차의 얼굴을 표현했다고도 한다. 귀면와 항목 본문대로 키르티무카의 얼굴이 오히려 야차에게 덧씌워진 것일지도.
또한 한자로 음차할 때 역사(力士)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흔히 말하는 금강역사가 바로 야차. 아예 금강야차라고 쓸 때도 있다.

4. 한국의 야차


  • 두억시니: 한국으로 들어오면서 한국식 설화와 섞인 바람에 인도의 야차와는 성격이 많이 다르다. 한국어에서 "야차같다"는 표현은 주로 아주 무섭거나 잔인하거나 모질거나 악독한 짓을 하는 악당을 말한다.

5. 일본의 야차


  • 오니: 이쪽도 인도의 야차와는 다르다.

6. 대중문화 속의 야차



7. 관련 문서



[1] 여성형은 야크시니.[2] Raksasa. 한자로 음역하면 나찰(羅刹).[3] 사실 이런 괴물이 아닌 역사의 모습으로 표현되어있는 경우도 많다.[4] 여담이지만 야차 중에는 천야차와 허공야차, 지야차가 존재하는데 이 셋은 서로 엄청나게 친했다고 한다. 그 중 천야차와 허공야차는 하늘을 날 수 있었고 지야차는 불가능했는데 이 때문에 천야차와 허공야차는 특별히 친했다고 하며 이 설화에 원피스를 대입하면 천야차는 당연히 도플라밍고, 허공야차는 카이도우이기 때문에 한 때 지야차는 누군지 추측하는 팬들도 간혹 있었다. 지야차는 아수라 백작처럼 두 얼굴을 가지고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