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
[image]
東의 필순
[clearfix]
동녘 동
방위를 나타내는 한자.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유니코드에는 U+6771에 배당되었으며[1] , 주음부호로는 ㄉㄨㄥ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木田(DW)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읽기 8급, 쓰기 6급 II로 분류된다.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東은 나무 막대에 묶어 놓은 짐 보따리를 본따서 만든 상형자이다. 왜 뜬금없이 짐 보따리가 동쪽을 뜻하게 되었는지는 의견이 갈리는데, 가장 유력한 설은 동이족이 짐을 메고 동쪽으로 이동한 역사를 거쳤기 때문에 짐을 싸서 움직이는 가는 것이 곧 '''동쪽으로 간다'''는 것을 상징해 그런 뜻이 부여된 것이라고 한다.
후한 말 허신이 지은 설문해자에서는 東의 기원이 나무 목(木)에 해 일(日)자가 결합하여 해가 동쪽에서 뜨는 걸 상징한 것이라고 설명했었고, 그 이후로도 한동안 이 설이 널리 퍼졌으나 갑골문이 발견되면서 틀린 가설이 되었다.
신자체에서는 柬(가릴 간) 요소를 전부 東으로 바꾸었다. 간략화보다는 필기의 용이함을 위한 듯하다. 대표적으로 練→練(익힐 련), 鍊→錬(단련할 련) 등
東자는 한중일 세 나라 모두에서 인명으로 널리 쓰이는 글자이다. 중국과 한국은 東자를 인명에 쓰면 활동 범위가 넓어진다는 믿음이 있어고, 일본에서는 원래 성씨에 방위나 위치, 장소 등을 나타내는 한자를 자주 썼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인 이름에 '동'자가 있으면 열에 일곱은 東이다.
방위를 나타내는 한자이니 지명으로도 엄청나게 많이 쓰인다. 다 적다간 끝이 없을 지경이다.
東의 필순
[clearfix]
1. 개요
동녘 동
방위를 나타내는 한자.
2. 상세 정보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유니코드에는 U+6771에 배당되었으며[1] , 주음부호로는 ㄉㄨㄥ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木田(DW)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읽기 8급, 쓰기 6급 II로 분류된다.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東은 나무 막대에 묶어 놓은 짐 보따리를 본따서 만든 상형자이다. 왜 뜬금없이 짐 보따리가 동쪽을 뜻하게 되었는지는 의견이 갈리는데, 가장 유력한 설은 동이족이 짐을 메고 동쪽으로 이동한 역사를 거쳤기 때문에 짐을 싸서 움직이는 가는 것이 곧 '''동쪽으로 간다'''는 것을 상징해 그런 뜻이 부여된 것이라고 한다.
후한 말 허신이 지은 설문해자에서는 東의 기원이 나무 목(木)에 해 일(日)자가 결합하여 해가 동쪽에서 뜨는 걸 상징한 것이라고 설명했었고, 그 이후로도 한동안 이 설이 널리 퍼졌으나 갑골문이 발견되면서 틀린 가설이 되었다.
신자체에서는 柬(가릴 간) 요소를 전부 東으로 바꾸었다. 간략화보다는 필기의 용이함을 위한 듯하다. 대표적으로 練→練(익힐 련), 鍊→錬(단련할 련) 등
3. 용례
3.1. 단어
- 극동 (極東)
- 낙동강 (洛東江)
- 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
- 동경(東經)
- 동궁(東宮)
- 동대문 (東大門)
- 동대문구 (東大門區)
- 동문선(東文選)
- 동부 (東部)
- 동서남북 (東西南北)
- 동양 (東洋)
- 동의보감 (東醫寶鑑)
- 동이 (東夷)
- 동풍(東風)
- 동학 (東學)
- 동해 (東海)
3.2. 고사성어/숙어
- 고금동서 (古今東西)
- 동가식 서가숙 (東家食 西家宿)
- 동명성왕 (東明聖王)
- 동문서답 (東問西答)
- 동분서주 (東奔西走)
- 마이동풍 (馬耳東風)
- 만절필동 (萬折必東)
- 어동육서 (魚東肉西)
- 홍동백서 (紅東白西)
3.3. 인명
東자는 한중일 세 나라 모두에서 인명으로 널리 쓰이는 글자이다. 중국과 한국은 東자를 인명에 쓰면 활동 범위가 넓어진다는 믿음이 있어고, 일본에서는 원래 성씨에 방위나 위치, 장소 등을 나타내는 한자를 자주 썼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인 이름에 '동'자가 있으면 열에 일곱은 東이다.
- 강동원 (姜東遠)
- 김동률 (金東律)
- 김동영 (金東領)
- 이동혁 (李東赫)
- 김동성 - 해당 문서의 정치인들은 전부 이름에 東자를 쓴다.
- 김동진 (金東進)
- 김현동 (金賢東)
- 도조 유코 (東條由布子)
- 도조 히데키 (東條英機)
- 마오쩌둥 (毛澤東)
- 박동진(朴東鎭)
- 반도 나오키 (坂東尚樹)
- 반도 아이 (板東 愛)
- 손동표 (孫東杓)
- 신동근 (辛東根)
- 신동희 (申東熙)
- 신동엽 (申東燁)
- 아즈마 리온 (東 李苑)
- 아즈마 유키 (東 由樹)
- 아즈마 키요히코 (東清彦)
- 아즈마 히로키 (東 浩紀)
- 윤동주 (尹東柱) - 창씨개명한 이름도 平沼東柱(히라누마 도슈)로 東이 들어간다.
- 이동국 (李同國) - 개명 전에는 李東國이었는데, 왜 한자를 바꿨냐면 李東國이라는 이름 획수를 전부 합치면 26획[2] 인데 이게 사주에서 가장 불길하게 여기는 총획이어서[3] 획수가 다른 한자로 바꾼 것이라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이름에 대한 금기 문서의 4번 문단을 참고.
- 이동원 (李東元)
- 이동진 (李東鎭)
- 이토 라이프 (伊東ライフ)
- 이토 쓰토무 (伊東勤)
- 정동영 (鄭東泳)
- 토죠 사카 (東条さかな)
- 히가시노 게이고 (東野圭吾)
- 히가시야마 쇼 (東山翔)
3.4. 지명
방위를 나타내는 한자이니 지명으로도 엄청나게 많이 쓰인다. 다 적다간 끝이 없을 지경이다.
- 간토 (関東)
- 강동구 (江東區)
- 강동동 (江東洞)
- 관동 (關東) - 강원도를 가리키며, 위에 있는 간토와 한자가 같다. 정자와 속자란 점이 다르다.
- 다이토시 (大東市)
- 도쿄 (東京)
- 동구 (東區)
- 동두천시 (東豆川)
- 동대신동 (東大新洞)
- 동래구 (東萊區) - 다만 동래는 어원을 독로국으로 본다. 다시 말해 음차한 것이므로 뜻은 별 상관없다.
- 동면 (東面)
- 동삼동 (東三洞)
- 동읍 (東邑)
- 동천동 (東川洞)
- 성동구 (城東區)
- 오동동 - 해당 문서의 1, 2번 항목 모두 東자 포함.
- 중동 (中東)
- 핑둥현 (屏東縣)
- 동인천역 (東仁川驛) - 인천역보다 동쪽에 있다.
- 동대구역 (東大邱驛) - 대구역보다 동쪽에 있다.
- 동탄 (東灘)
- 서동탄역 (西東灘驛)
- 동문동 (東門洞)
- 외동읍 (外東邑)
- 토온시 (東温市)
- 히가시오사카시 (東大阪市)
4. 반대자
- 西(서녘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