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산역

 


'''구산역'''
[image]

'''다국어 표기'''
영어
Gusan
한자
龜山
중국어
龟山
일본어
亀山(クサン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 지하 137-1 (구산동)
'''운영 기관'''
6호선

'''개업일'''
6호선
2000년 12월 15일
'''역사 구조'''
지하 4층
'''승강장 구조'''
단선 승강장
龜山驛 / Gusan Station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여담
6. 승강장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6호선 615번.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 지하 137-1 (구산동)[1] 소재.

2. 역 정보


[image]
역 안내도.
단선 승강장 역으로, 오른쪽 출입문이 열린다. 지하 1층의 개찰구를 통과하여 긴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깊이 내려가면 곧바로 승강장이 나오는 단순한 구조다. 대구은행역과 비슷하다.
이 역에서 서울 지하철 3호선으로 환승하기 위해서는 바로 다음 역인 응암역에서 내려서 상행(역촌역 방면) 열차로 바꿔 타고 불광역에서 환승할 수 있는데 굉장히 불편하고 시간만 낭비하는 쓸모없는 행위다. 실질적인 환승 방법으로는 6호선을 쭉 타고 약수역에서 환승하는 방법이 있다.[2] 또는 연신내역 방향에 있는 예일여고 버스 정류장에 오는 아무 버스나 타면 대조동 주민센터 다음이 연신내역이니 버스로 환승하는 방법도 좋은 방법이다. 그것도 아니면 연신내역까지 운동하는 셈 치고 직접 걷자. 0.7km정도 밖에 안된다. 이처럼 3호선과의 환승이 그리 편하지는 않아서, 구산동에 사는 사람들이 약수역 이북 3호선을 이용할 경우 그냥 배차간격이 긴 752번을 이용한다. 752번녹번 - 독립문 사이의 3호선을 쫓아서 지나가기 때문.
응암루프선의 맨 끝에 존재하여 이 동네에서 도심(아래쪽) 방향으로 출근할 때는 빠르지만 퇴근할 때는 아닌 특이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응암역에서 목적지를 코앞에 두고 역촌역으로 빙 돌아가는 것. 14분 정도 손해를 보니 인근 주민들은 퇴근 시 응암역에서 하차하여 753번, 702A번, 702B번, 7022번, 571번 등으로 환승하는 것이 좋다. 이것은 연신내역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아니면 역촌역에서 하차하여 750m 정도를 걸어가는 방법도 있다. 역촌사거리 인근 주민이라면 이 역이나 역촌역이나 걷는 거리는 비슷하므로 상황에 따라 유리한 역을 선택하면 된다.
참고로 구산역이 있는 네거리는 구산사거리가 아니다. 구산역이 있는 사거리는 예일여고사거리이고 서오릉 쪽으로 가는 곳에 구산사거리가 있다. 선진운수 본사도 구산사거리 근처에 있다.
원당~서오릉을 지나는 서오릉로에 위치해 있어, 현재 고양(원당)지역의 교통 거점 역할을 한다.
여담이지만 승강장 곡선 구간이 매우 심하게 꺾어져 있다.[3] 당장에 밑에 있는 승강장 사진만 봐도 승강장이 무슨 신길역마냥 좀 심하게 휘어 있는걸 볼 수 있다.
이상하게도, 스크린도어 안내 개정 전까지는 선명하게 들리던 스크린도어 안내방송이 '띠링띠링띠링띠링'거리는 소리가 추가된 안내로 개정된 이후로는 스크린도어 안내방송이 잘 들리지 않는다.

3. 역 주변 정보


6호선 역촌역과는 도로로 800m 정도 떨어져 있다. 역 주변은 1970~1980년대부터 조성되기 시작한 단독주택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대단위 아파트 단지는 매우 적다. 고만고만한 스카이라인 위로 나름 고층아파트 높이인 갈현 베르빌이 멀뚱히 솟아 있는 모습.
1번 출구는 대조동, 2번 출구는 역촌동 소재이며, 3번 출구는 구산동, 4번 출구는 갈현2동 소재이다.
주변에 예일여고라든가 학교들이 조금 있기 때문에 '간단히' 먹을 곳들은 많다. 동네가 오래 됐기 때문에 허름해 보여도 1번 출구에 이디야, 스타벅스와 3번 출구 앞에 맥도날드, 4번 출구 근처에 서브웨이 샌드위치, 배스킨라빈스 개점, 2번 출구 근처에 롯데리아, 맘스터치 개점 등 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도 거의 다 있으며 네임드 맛집도 몇 곳 있다. 술마시려면 바로 위 연신내역 쪽으로 가자. 걷기 싫다면 7715번 등도 괜찮다.
악덕업체로 악명높은 선진운수의 구산동 본사 차고지가 가까이 있다. 752번 등의 도심방면 버스도 지나다니며, 광역버스 9701번이 지나가기 때문에 원당, 원흥, 화정, 일산신도시 방면으로도 갈 수 있다. 선진운수 관련 시설물들은 이 역 근처에 다 있다.[4]
3번 또는 4번 출구에서 내려서 북서쪽으로 향하면 서오릉이 나온다. 거리는 대략 2km. 도보 소요시간은 (네이버 지도 기준) 30분 가량 소요된다. 서오릉 방향으로 1.3km 정도 가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시경계가 나온다. 서오릉까지 못 걸어가겠으면 702A번을 타고 가자. B 노선은 용두동 안동네를 돌기 때문.
단순히 살기에는 구산역 주변 자체는 나쁘지 않다. 학교 자체도 많고 병원도 많다. 다만 6호선의 응암루프선에 위치하고 있어 지하철을 통해 도심을 나가기 어렵고, 거의 빌라가 대부분이라 연식 때문인지, 개발 의욕 자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관에서는 그렇고 단독주택들을 신나게 때려부수고 빌라로 개조하는 오함마질 소리는 끊이질 않는다. 요즘은 역 주변에 아파트들이 꽤 들어서기 시작했다.

4. 일평균 이용객


구산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며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순환선)'''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2000년~2009년 ]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7,824명
9,963명
11,424명
12,336명
12,718명
12,778명
12,527명
12,377명
12,327명
12,183명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2,572명
12,834명
13,395명
14,050명
13,988명
14,289명
14,358명
14,377명
14,182명
14,001명
2020년
'''10,548명'''
  •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참고로 대부분의 역들은 승.하차 이용객에 큰 차이가 없지만 여기는 응암순환선의 특징으로 인해 승차량이 하차량에 비해 훨씬 많다. 2017년 기준 하루 승차 8,257명, 하차 6,120명으로 대략 35% 정도 차이난다.[5]
  • 이 역에서는 은평구 최대 상업/교통 중심지인 연신내역으로 한 번에 못 가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하루 평균 이용객은 14,377명(2017년 기준)으로 만 명대 중반의 수요를 꾸준히 유지한다.
  • 구산동, 갈현동, 대조동, 역촌동의 경계선에 있어 역세권이 넓으며, 서오릉로를 따라 내려오는 승객들의 환승 수요가 일부 있다. 특히 봉산 자락에 교통이 불편한 동네에서의 수요가 많다.
  • 하지만 상기된 순환선의 단점 때문에 상당수의 역세권 주민들은 구산역이 아닌 연신내역에서 3호선을, 응암역에서 6호선을 이용한다. 역촌역보다 이용객이 1.7배 정도가 더 많은 것은 그만큼 역세권의 범위가 넓기 때문이지 역 자체의 경쟁력이 있어서가 아니다.

5. 여담


  • 이 역의 역번호는 615번인데 이 역의 다음역인 응암역의 역번호는 610번이다.[6]
  • 이 역은 4개의 출구가 있는데 4곳의 출구에 속한 동이 갈현2동, 대조동, 역촌동, 구산동으로 모두 다르다.
  • 이 역에서 응암역까지의 거리가 1.5km로[7] 6호선 중에서 가장 길다.[8]
  • 카카오 T 2019년 데이터 기준, 전국에서 카카오 T 택시 대형이 가장 많이 출발한 곳이 구산역이다. #

6. 승강장


[image]
응암


연신내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디지털미디어시티·신당·신내 방면

[1] 구산동 1-21번지[2] 3호선 약수역 이남(성동구,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등)으로 가려면 차라리 이 방법이 낫다.[3] 그래도 독바위, 연신내역보단 덜하다.[4] 구산동 본사 차고지, 갈현2동 제2본사(구산동 본사 건너), 옛 갈현1동영업소, 용두동영업소(서오릉 인근). 9701번은 가좌동영업소를 출발하여 용두동영업소/용두동CNG충전소와 구산동 본사를 다 지난다.[5] 하차 승객은 보통 3호선을 통해 연신내역으로 와서 6호선으로 갈아타 구산역에 오는 케이스.[6] 현재 이렇게 역번호 차이가 큰 역은 2호선의 충정로역-시청역 빼고는 거의 없다.[7] 하지만 응암역에서는 구산역으로 올 수 없다.[8] 1.5km이면 운정역에서 야당역까지의 거리다. (이 구간은 경의중앙선에서도 완전 짧은 구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