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52
1. 노선 정보
2. 개요
선진운수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1km다. 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
- 구 152-1번 도시형버스(구산동 - 총신대 - 노량진 - 본동가칠목)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흑석동 - 숭실대 - 본동가칠목 구간을 상도터널 - 상도시장 - 숭실대로 변경했고, 번호도 752번으로 바뀌었다. 이로 인해서 숭실대와 및 상도동에서 한강으로 갈 때 장승배기와 노량진으로 돌아서 가야 했던 751번보다 더 나았다.
- 그러나, 과거 152-1번으로 혜택을 받았던 흑석동[2] /사당3.4동 주민들이 민원을 내면서 753번이 숭실대로 단축되었고, 대신 752번이 2004년 10월 25일에 한강대교남단 - 상도터널 - 상도시장 - 숭실대 구간을 한강대교남단 - 흑석동 - 국립현충원 - 이수역 - 남성역 - 숭실대로 변경했다. 과거 152-1번 노선으로 환원된 셈.
- 2004년 12월 20일에 숭실대 - 상도시장 - 장승배기역 - 동작구청 - 노량진역 - 본동가칠목 구간이 연장되었다. 구산동 막차가 22:30에서 22:20으로 당겨졌다.
- 서리풀터널이 개통한 이후 터널을 오가는 노선을 요구하는 민원이 오갔고, 서울특별시는 여러 노선을 검토해 본 끝에 752번의 노선 변경을 택했다. 이에 따라 2020년 9월 22일부터 한강대교남단 - 흑석역 - 동작역 - 남성시장 구간과 상도터널 구간이 폐지되고, 노들역 - 노량진역 - 상도시장 - 숭실대입구 - 남성역 - 이수역 - 방배고개(내방역) - 서리풀터널 - 서초역 → 서울교대사거리 → 교대역 → 서초역으로 운행할 예정이었으며 노선 번호도 742번으로 변경될 예정이었으나, 흑석동 주민들의 민원으로 보류되었다. 그래서 752번 대신 751번이 서리풀터널 경유 노선으로 선정되어 숭실대학교에서 총신대학교 및 서리풀터널을 거쳐 교대역으로 연장됐으며, 서리풀터널 연장으로 751번은 752번 막차와 함께 구산동 본사에서 모두 22:20에 출발하는 것으로 당겨졌다.
- 2020년 9월 22일부터 숭실대별관앞 - 사당5치안센터 사이에 '사당롯데캐슬골든포레, 사당해그린' 정류소에 추가로 정차한다.
4. 특징
- 전 차량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 7권역 간선버스 중 720번에 이어 대당 이용객 수 2위다. 개편 전 본 노선의 전신인 152-1이 푸대접을 넘어 유령 취급받던 것을 생각하면 눈부신 성장이 아닐 수 없다. 개편 전에 비해 선형이 직선화되었고, 통일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개통되면서 도심까지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기 때문. 회사에서도 꽤 신경쓰고 있는 노선이라 저상버스 및 신차 투입 1순위 노선이다.
- 다만 배차간격이 균일하지 않은 편이다. 간격이 10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은 보통이며, 출퇴근 시간 등에는 심하면 30분까지도 벌어지는 경우가 있다. 기점을 출발해 은평구청에서 통일로로 합류하는 지점, 한강대교, 상도터널을 전후로 간격이 벌어질 때가 많고 이 경우 그 뒤로 2대가 붙어올 때가 많다. 다만 피크 시간대가 아니더라도 이른 아침이 아닌 이상 배차가 무작정 길어지진 않는다. 막차가 빠른 편이기 때문에 막차 즈음까지도 어느 정도 배차는 나오는 편. 그러나 배차 간격이 조밀한 702A/B번이 3대 정도 지나가고 나서야 한 대가 올까말까할 정도다. 퇴근본능 덕분에 막차에 가까워질수록 차량 간격이 점점 짧아지는데, 5분도 안 되어서 지나가는 걸 볼 수 있을 정도다. 2대가 만나는 건 예사고, 가끔 3대가 뭉쳐 오는 경우도 생긴다.
- [image]
운행 초반 노선은 직선 노선인데 비해, 한강대교 이후로 편도순환과 왕복이 어우러져(..) 제대로 된 선형상의 굴곡을 보여 준다. 한강대교를 지나 노량진 쪽으로 갈 거 같더니 옆으로 빠져서 고가를 타고 흑석동으로 빠진다. 그후에 비계와 흑석한강현대아파트를 거쳐서 이수역을 지나 총신대학교 앞을 경유하고 숭실대학교 정문으로 간다. 여기부터 751번과 같이 노량진을 경유하고 한강대교를 다시 건널 거 같더니만 상도터널로 우회전하여 숭실대학교 - 총신대학교 - 이수역 - 비계 쪽으로 가면서 강북으로 돌아오는 형식이다. 이처럼 복잡한 한강대교 이남 구간 때문에 노량진역으로 가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이 낚인 듯 보인다. 그래서 노량진 행선지를 아예 없애고 총신대학교로 바꿨다.[3] 만약에 한강대교 이북이나 노들섬에서 노량진에 가려고 이 노선을 탔다면, 노들역앞(20247) 정류장에 내린 후 큰길로 나와 차량 진행 방향으로 100m 가량 가면 노량진으로 가는 가로변 및 중앙차로 정류장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흑석동에 가서 길을 건너거나 아니면 그냥 느긋이 총신대학교를 찍고 와도 노량진으로 갈 수는 있지만 일단 시간상으로 더 오래 걸리니.
- 구 9502번이 502번으로 전환되기 전에는 이수역 부근에서 유일하게 서울역 쪽으로 가는 간선버스였는데, 막차 시간대는 배차간격 때문에 버스가 오면 사람들이 우르르 몰려들기도 했다. 그리고 숭실대입구역의 지하 6층에 달하는 깊이와 숭실대 교정의 경사 때문에[4] , 이수역에서 숭실대학교로 갈 때 이 버스를 타고 가면 바로 학교로 갈 수 있어서 지하철 대신 이 버스로 몰려타서 만원버스이며 751번이 교대역으로 연장되기 전까지 이수역 - 숭실대 구간의 독점 노선[5] 역할을 수행했다.[6]
- 한강대교북단부터 용산역, 서울역을 지나서 갈현동, 구산동, 역촌동까지 한 번에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이며 한강대교부터는 선형이 좋기 때문에 때문에 출퇴근 시간, 특히 퇴근 시간대에 항상 사람들을 가득 태우고 다니며, 이 시간대에는 배차도 꽤 짧아진다. 702번의 배차간격이 짧긴 하지만 신사동고개는 출퇴근 시간에 왕복 2차선이라 가다서다를 무한정 반복하기 때문에, 이 노선이 유용하다. 덕분에 종점 직전까지 만원에 가까운 경우도 있다. 용산에서 은평구를 한 번에 이어 주는 노선이라는 메리트 때문인지 이용객수가 점점 늘어 현재 대당 800명이 넘는 이용객 수로 7권역 간선 버스 대당 이용객 수 2위에 올랐다. 특히 이 버스는 총신대생과 숭실대생이 남성시장 정거장이나 남성역에서 엄청 타기 때문에 그 전 정거장인 경문고에서 타는걸 추천한다.
- 구산동 본사에 충전시설이 없기에 가스 충전은 702A/B번의 종점인 용두동영업소로 공차회송해서 충전한다. 은평공영차고지에서도 충전하는 차도 일부 있다.
- 이수역 서쪽 구간에서 양방향 다 남성초등학교(사당1동사무소) 쪽 정류장 간격이 필요 이상으로 좁다. 특히 구산동 방면에서는 이수역사거리에서 좌회전을 해야 하는데, 동작대로처럼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운용하는 큰길은 직진신호를 엄청 길게 주고 좌회전 신호는 상당히 짧게 주는데, 이런 게 어우러져서 이수역 근처에서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A] , 남영역[9] , 용산역[신용산] , 노량진역
- [image] 수도권 전철 3호선: 녹번역, 홍제역, 무악재역, 독립문역
- [image]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A] , 숙대입구역, 삼각지역, 신용산역, 동작역, 이수역
-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서대문역
-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구산역, 역촌역, 삼각지역
- [image] 서울 지하철 7호선: 이수역, 남성역, 숭실대입구역, 상도역, 장승배기역
- [image] 서울 지하철 9호선: 노들역, 흑석역, 동작역, 노량진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A] , 용산역[신용산]
- [image]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A]
-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A] , 용산역(KTX, ITX-청춘,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신용산]
6. 둘러보기
[1] 토요일 22대 / 공휴일 23대 운행[2] 151번이 커버 안되는 명수대현대아파트, 한강현대아파트 지역인데 흑석동 효사정 또한 인근에 아파트가 들어선데다 151도 중앙대에서 이미 만석이다.[3] 과거 152-1번 시절에도 앞머리 행선판에 총신대라는 종점 글씨가 새겨져 있다.[4] 역 및 역이 있는 큰길(상도로)는 숭실대 교정에서는 가장 고도가 낮고, 교정은 오르막의 연속이다.[5] 같은 구간에 6019번도 다니긴 하지만 해당 노선은 구간 탑승이 불가능하다. 마을버스들도 보이는 구간인데, 이들은 사당동 일대의 아파트와 남성역, 이수역과 낙성대역의 연결을 수행한다.[6] 이 버스를 타고 숭실대별관에서 내리면 그 곳이 교정에서 고도가 가장 높으므로 교내 어디를 가려 해도 내리막으로 걸어갈 수 있다.[7] 702번, 751번, 7022번, 9701번[8] 하지만 702번과 9701번 두 노선은 종로, 남대문 정체와 응암동 경유, 751번은 신촌 등을 경유하며, 7022번은 불광역에서 세검정, 구기동, 경복궁을 경유해서 온다. 이 노선은 바로 녹번역에서 통일로로 쭉 내려온다. 9701번은 응암동을 거치지 않으나, 남대문시장을 거치고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경유하지 않는다.[A] A B C D E 구산동 방면은 갈월동 하차[9] 숙대입구역 하차 도보 5분 거리[신용산] A B C 신용산역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