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복
1. 개요
[image]
[image]
국민복(国民服, こくみんふく).
태평양 전쟁 직전부터 종전시까지 일본 제국에서 남성 복제로 도입한 일종의 범국민적인 제복. 여성에게 몸뻬가 있었다면, 남성에겐 이게 있었다.
2. 국민복 착용시행
[image]
국민복 착용 홍보 포스터.
1940년 11월 2일, 쇼와 덴노의 칙령 형식을 빌려 공포한 "국민복령"(쇼와 15년 칙령 제725호)에 따라 제정되었다. 이 명령은 전시의 물자 통제령 하에 있던 국민의 의복 생활을 간소·획일화하여 효율성을 도모키 위해 일본 육군성의 주도로 만들어진 것이었다.
칙령에 언급된 국민복은 형식은 일본 육군의 군복과 유사한, 다섯 단추가 달린 황록색의 인민복과 비슷한 형태의 상의와 바지, 모자, 코트, 장갑, 각반, 구두, 넥타이 등에 이르기까지 소재, 색목 등이 세세히 규정되어 있었다.
게다가 이걸 지급해 준 것도 아니고 국민들이 자비로 구매하거나 만들어 입어야 했다는 것이다. 위짤 역시 "주부의 벗(主婦之友)"이라는 잡지의 표지로 왼쪽에는 "새로이 제정된 국민복을 만드는 방법"이라고 쓰여 있다.
3. 역사
1942년 이후에는 전국의 학생과 사관생도의 공통 통학복으로서 지정되는 등 보다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1943년 6월에는 물자 절약 차원에서 "국민복제식특례"(쇼와 18년 칙령 제499호)가 공포되어 소재나 색조의 규정이 완화되어, 보다 육군 군복에 가까운 을호를 중심으로 국민복이 생산되었다.
제정 이후에도 한동안은 강제성이 크지 않아 일반 사복이나 교복 등을 계속 입어 왔다가,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점차 착용을 강제하는 분위기가 강해져, 종전 직전에는 웬만한 재벌이나 고급 관료 정도가 아니면 국민복이 아닌 옷을 입고 다니는 것만으로도 비국민 취급 당하기 좋을 정도로 분위기가 살벌해졌다. 그나마 위 예외적인 사람들도 정말 큰 행사나 덴노 알현하러 가는 자리가 아닌 이상은 눈치껏 적당히 입어야 했고, 보통 국민복 상의에 나비 넥타이 등 조금 화려한 장식을 추가하거나 고급 재질의 원단을 쓰는 정도로 만족해야 했다.
1945년 6월에는 "대동아전쟁육군군인복제특례"가 공포되어 육군의 경우 군복의 대용으로서 국민복을 입는 것도 허용되었는데, 허용이란 단어를 써서 뭔가 은혜(?)를 베푸는 것 같은 느낌이지만, 실상은 새로 징병되거나 피복 손실로 재지급받아야 할 육군 인원들에게 재고 소진 이후에는 그냥 계급장 등 부착물만 달랑 주고, 입고 온 국민복에 알아서 박아 육군 군복으로 대용하라는 조치일 뿐이었다. 당시 육군이 착용하던 98식 육군복이 국민복과 흡사한, 상의 주머니가 내장형이라 보다 단정한 느낌이 들어보이는 것을 제외하면 거의 차이가 없는 옷이어서 이런 게 가능했다. 그나마 해군은 옷이라도 새로 꼬박꼬박 줬다.
한마디로 저 국민복을 입기 싫으면, 출세하든가 해군, 경찰 등 별도의 제복이 남아있는 곳에 들어가는 수밖에 없었다.
1945년 8월 이후부터 위의 모든 칙령 등이 사실상 유명무실화되면서, 그간 국민복에 질린 국민들이 작업복으로 마지못해 입는 정도를 빼면 착용을 거부하다시피 하여 급속히 일본 내에서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4. 종류
1호(갑호), 2호, 3호, 4호(을호)의 네 종류가 있었으며, 칼라가 열려 있는 형태가 갑호로 이것은 민간용이었으며, 단추를 끝까지 채우도록 되어 있는 청소년 및 공무원용이 을호였다. 4계절 내내 착용이 가능하며, 의례장(儀礼章; 기레이쇼)이라 불리는 견식을 착용하면 행사용 예복이나 정장으로 대용이 가능했다.
갑호 국민복을 착용한 성인 남성.
[image]
의례장을 착용한 모습.
5. 유사 사례
사실 이런 군복식 제복은 일본의 국민복만 있었던 것이 아니다. 중국의 인민복이나 인도의 네루 쟈켓처럼 당시 제복 디자인은 대동소이했고#, 간소하고 간편한 옷차림을 근대화 정책으로 퍼뜨리다 보니 군복과 비슷한 옷이 그대로 제복으로 굳었다.
한국에도 이런 제복이 있었다.
한국전쟁이 일어난 뒤 이승만 정부 때 남성들에게 시민복이라고 검정색 국민복 형태의 복장을 권장하기도 했는데, 얼마 안가서 없어졌다. 이는 미군의 HBT 작업복이나 대한민국 국군의 광목 작업복 등 국방색 군복류에 검은 물을 들이고 맨 윗단추를 채워 입게 한 것으로 전쟁 후 물자가 부족해, 주로 원조 등으로 인해 남아돌은 대한민국 육군 작업복으로 급조되어 만들어진 것이었다.
[image]
왼쪽이 육군 정복을 입은 박정희, 오른쪽이 국민복 비스무레한 재건복을 입은 김종필
5.16 군사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정부를 구성했고, 국가재건 국민운동본부가 주도하여 생활개선 운동을 이끌게 된다. 이 당시 중앙정보부 부장 김종필의 고안으로 '''재건복'''이 만들어졌다. 김종필 본인도 이 옷을 자주 입고 다녔다.# 김종필은 이 옷을 "공산주의와 대비되는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옷"이라고 자평한다. # 그러나 실상은 일본식 국민복에 미 육군 정복을 섞은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 60년대 초반 많은 공무원들이 재건복을 입고 근무했으며, 대부분 이 옷이 못생겼다고 싫어했다. 고위 관료들은 시간이 지나고 분위기가 느슨해지자 빠르게 양복으로 갈아입었고, 재건복도 곧 잊혀졌다.
70년대에 새마을운동이 시작되면서 재건복은 색상과 디자인을 살짝 바꿔서 '''새마을복'''이라는 옷으로 다시 등장한다. 각 마을마다 있던 새마을 지도자들은 이 옷을 입고 다녔다고 한다. 사진에 나온 밝은 색상의 옷들이 새마을복이다. 새마을복은 여러가지 바리에이션이 있었으며, 활동복, 사무복, 점퍼 형태 등이 있었다. 70~80년대 드라마에 나오는 공무원이나 농촌 사람들이 입고 다니는 하늘색 또는 황토색의 허름한 옷이 바로 새마을복이다. 실용성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멋은 안드로메다로 보낸 디자인이었다. 현재 이 옷은 사실상 멸종 상태이지만 아주 드물게 시골에서 작업복으로 이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6. 매체
일본의 항복결정을 다룬 논픽션인 '일본의 가장 긴 하루'에 보면, 쇼와 덴노의 종전조서 발표 녹음 당시 NHK 총재와 녹음기술자들이 국민복 차림으로 입궁해도 좋다는 전갈을 받았다는 대목이 있다. 고쿄에 입궁하려면 별도의 제복이 있는 이들을 제외하면 검정색 모닝코트와 실크 햇, 줄무늬 정장 바지, 검정색 구두 등 엄격한 드레스 코드를 지켜야 하는 의전규정이 있었는데, 전쟁 말기의 물자 부족 및 급한 상황으로 예외를 인정한 것이다. 이 드레스 코드는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