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 출신 문인

 

1. 개요
2. 각 국가별
2.1. 국내
2.2. 해외


1. 개요


말 그대로 군대를, 주로 장교로 갔다 온 문학가를 의미한다.
'문인 장교'나 '언론인 장교'라고 부르기도 한다. 주로 국방부에서 발행하는 잡지, 신문에 소설, 수필, 기행문이나 홍보에 가까운 문학 작품을 연재하는 경우가 많다.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세력의 군대에서는 사병들을 위해 반공(反共)틱한 소설을 연재하는 공보정훈장교도 마찬가지이며, 공산주의와 사회주의 세력의 군대에서는 사병들을 위해 반민(反民)틱한 소설을 연재하는 공보정훈장교도 마찬가지이다.
유명한 군인 출신 문인은 후술하겠지만 대표적으로 몇 명 서술한다. 앰브로스 비어스(그 유명한 악마의 사전 작가.)는 미국군 장교 출신으로 군 생활 처음부터 끝까지 미국남북 전쟁을 다 겪었다. 선우휘남한군 장교 출신으로 육군 대령(국방부 소속 공보정훈장교) 출신으로 제대 후 소설을 발표해서 신춘문예에 등단했는데 전투복 차림으로 등단했으며 선우휘는 군인 출신답게 전쟁이나 특수작전에 대한 소설들을 많이 발표했다. 그 덕인지 선우휘의 몇 주기 추모식에는 군 장교 출신 문인들이 많이 참석했다고 한다.
보통 군 장교 출신 문인들은 영관급 장교군 장성들이 굉장히 많고 글을 쓸수 있는 이라든가, 글솜씨가 충분한 나이이지만 뭐니 뭐니 해도 경험이 많기 때문이다. 문학뿐만 아니라, 예술의 경우, 기존의 예술 작품들은 읽고 볼 수 있지만, 경험은 세월만이 채워줄수 있기 때문이며 그리고 군대에서 생활하는 특성상, 인간의 다양한 측면을 볼 수 있다.
문학을 하고 싶다면 다양한 경험을 쌓아보길 권하지만 사실 군인 출신 문인들 대부분은 동인문학-메이져급 출판사 문학이 아님-인 경우가 많으며 군인은 공무원이기에 부업금지이지만 집필활동은 가능하다. 군대에서 책을 내면 뒤끝이 안 좋으며 상관한테 허락도 받아야 하고... 근데 이상하게도 번역은 가능하다.
온라인 게임 중독 소설을 다룬 팔란티어는 군의관이 쓴 것이다.

2. 각 국가별



2.1. 국내


군사정부 시절에는 군인들이 각부서의 요직을 차지했었고, 예술 분야에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군인 출신의 화가나 군인 출신 소설가 및 영화 감독도 있었다. 사실 주 임무는 '''검열'''이었다.
  • 김민영 : 군의관 시절 옥스타칼니스의 아이들 집필.
  • 김종필 : 대령 출신이었음. JP칼럼이 유명하다. 예술가 기질이 있어서 일요일에는 그림을 그렸다던가, 글을 잘 썼다고 한다.
  • 리영희 : 6.25 전쟁에 참전. 소령으로 예편[1].
  • 박영한 : 베트남 전쟁에 육군사병으로 참전. 당시 경험으로 '머나먼 쏭바강', '인간의 새벽'을 집필.
  • 선우휘 : 1949년 임관해 한국전쟁에 참전했다. 병과는 정훈. 최종 계급은 대령으로 대령 복무 중에 신춘문예 등단, 동인문학상 수상이란 성과를 냈다. 시상식에 육군 정복 차림으로 참석하고, 육군참모차장 장도영 중장이 방문해 격려한 일화가 유명하다.
  • 장준하 : 일본군 (징병이었음), 광복군 출신.
  • 전원책: 군법무관(중령) 출신. 시사평론가로 유명하지만, 등단한 시인이기도 하다.
  • 지만원 : 대령출신. 베트남전에도 참전했다.
  • 표명렬 : 예비역 준장. 현재 오마이뉴스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 황석영 : 베트남 전쟁군사경찰 사병으로 참전. 당시 경험으로 무기의 그늘집필.

2.2. 해외



[1] 한국의 군 장교 출신 출신 인사들이 대개 보수 성향인 경우가 많은데, 리영희는 드물게도 진보 성향을 죽을 때까지 유지했던 사람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