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 히어로 존바이어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전사족의 디메리트 어태커. 디메리트가 있는 만큼 능력치는 하급 어태커로서 상당히 뛰어나며, 그나마 있는 디메리트도 고블린의 돌격 부대처럼 바로 다음 턴에 버틸 수가 없는 것도 아니지만 그래도 불편한 감이 있다. 특성상 적극적으로 상대에게 데미지를 준다기보다는 상대의 몬스터를 견제한다는 느낌으로 사용하게 된다.
2100의 공격력은 메이저한 1900라인 어태커들은 물론이요 제네틱 워울프마저 때려잡으며, 사이버 드래곤이 나와도 자폭해서 처리하는 게 가능하다. 번개왕이나 인벨즈 로치, 벨즈 나이트메어 등 특수 소환을 방해하는 몬스터를 일반 소환만으로 가볍게 때려잡을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몬스터를 하나 파괴한 후라도 공격력은 1900이므로, 상대 어태커 둘 정도는 그냥 견제해주거나 잘만 다루면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 내지는 사이버 다크 드래곤같이 부실한 기본스펙을 효과로 충당해서 먹고 사는 고급 몬스터도 잡아주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한국에서는 출시 후 한동안 요긴하게 쓰였는데 첫 수록이 악몽의 미궁이다. 당시 상황을 보면, 같은 팩에서 공격력 1900의 쌍둥이 자매 엘프가 시크릿 레어 사양으로 나오고 공격력 2000의 여사신 누비아가 당최 써먹을 수 없는 효과를 두르고 나오는 등 하급 몬스터의 타점이 크게 제한되어 있는 환경이었다. 게다가 지금처럼 특수 소환이 활성화되지 않고 정직하게 어드밴스 소환 위주로 싸우는 환경이었기에 하급 몬스터의 타점 싸움에서 밀리기 시작하면 마법, 함정 카드가 용케 잘 나와주지 않는 한 일방적으로 쳐맞아야 하는 상황이었다.[1] 그런 상황에 1900라인을 상대로 필승, 이후에 자폭이라도 할 수 있는 수준의 카드가 노말 사양으로 나와준 덕분에 하급 어태커 견제용으로 매우 유용했다.
어둠 속성 전사족이라 온갖 어둠 속성 서포트를 다 받고, 증원과 전사의 생환으로 패에 넣는 것도 쉽다. 혹성의 마지막 전사의 융합 소재이기 때문에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로 묘지에 쌓을 수도 있다. 높은 공격력 덕분에 마의 덱 파괴 바이러스를 가볍게 발동해주는 것도 가능. 고대(?)에 디메리트 어태커로 활약했던 몬스터지만 지금도 쓰려면 충분히 쓸 수 있는 수준이다.
"다크 히어로"지만 엘리멘틀 히어로 같은 히어로는 아니므로 그쪽 관련 서포트는 받지 못한다. 원래 그쪽에서 '히어로'는 일본판에서는 영어로 'HERO'라고 쓰므로 'ヒーロー'인 이쪽과는 다르며, 영어판의 경우 아예 Hero라는 단어가 이름에 들어가있지 않다. 한글판 카드에서는 그냥 똑같이 "히어로"라고 적혀 있긴 하지만 이건 대원이 마땅히 에라타를 먹여야 할 것을 안 해 주고 있어서 그런 거다. 당연히 서포트를 받지 못하는 게 맞으니 주의. 그래도 플리즈마와 같이 쓸 수 있고 종족과 속성, 다크 히어로라는 컨셉이 데스티니 히어로들과 일치하는 등 묘하게 어울리는 면은 있다.
큰 의미는 없지만, 공격력 증감을 반대로 하는 "심술꾸러기의 저주"와 병용하면 한 턴 한정이지만 전투 파괴시마다 성장하는 위협적인 녀석이 된다. 뭐, 그래봐야 여전히 다이렉트 어택이 불가능하지만. 그외에 디메리트를 가진 고공격력 몬스터라는 점에서 스킬 드레인 덱에서 써봄직도 하지만 그쪽에는 체인소우 인섹트, 고블린의 돌격 부대같이 더 공격력 높은 놈 내지는 다른 용도로 쓸 수 있는 사이버 드래곤 등이 우선되는고로 이쪽에서의 활용도는 낮다. 참고로, 엔젤 O7과 함께 써도 공격력이 줄지 않는다.
[image]
사실 원작 만화에서는 장르가 본격적으로 카드 게임 만화로 전환되기 전에[2] 가공의 작품의 아메리칸 히어로로 등장했다. 유우기의 친구 하나사키 토모야가 매우 좋아하는 히어로였다. 카드 게임과는 별 관계 없었던 것이 카드화된 특이 케이스 중 하나이다.
가면을 쓴 모습과 저 희한한 효과는 '''정의를 실행할수록 얼굴이 망가지고 수명이 깎여나가는 비운의 히어로'''라는 설정 때문. 원래는 사신이었으나 정의에 눈을 떠 영웅이 되었기 때문에 그렇다고 한다. 타락하여 어둠의 길로 빠진 이블 히어로들과는 달리 정의의 히어로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래서 영웅 출현이라는 함정 카드에도 등장하고, 그 카드의 일러스트도 원작 만화에서 나온 것을 리파인한 것이다. 그리고 먼 훗날 비슷한 컨셉인 벤데드의 리벤데드 슬레이어가 등장하였다.
원작 출신 몬스터지만 OCG로 오면서 뜬금없이 OCG 오리지널 몬스터인 혹성의 마지막 전사의 융합 소재가 되었다. 전혀 상관없어보이는 마력흡수구체와 융합해서 이녀석과 전혀 상관없어보이는 모습이 되지만, 사실 그 설정을 들여다보면 혹성의 마지막 전사도 슬픈 운명을 지닌 영웅이라는 점에서 이 카드와 닮았다. 융합을 해도 융합을 안해도 슬픈 운명이다.[3]
참고로 소설판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빛의 피라미드에서 유우기의 덱에 이 카드가 들어가 있었다! 원작을 존중한 거일지도? 그런데 정작 카이바의 완전파괴-제노사이드 바이러스에 의해 묘지로 보내졌다.
여담이지만 한글판 이름은 왠지 존바이어인데, 일본어판 카드의 일러스트에는 이 카드의 이름이 좀비(Zo'''m'''bie) + 뱀파이어(Va'''m'''pire)로 만든 듯한 Zo'''m'''bire라고 대놓고 쓰여 있고 영어판의 이름도 Zo'''m'''byra다. 심지어 원작 코믹스에서도 좀바이라라고 부르고 대원 정발판에서조차 좀바이어라고 부르는데 어째서인지 카드가 정발되면서 이름이 '''좀'''바이어가 아니고 '''존'''바이어가 됐는지 궁금할 따름이다...
또한 해외 수출판에서는 보기 거슬렀는지 일러스트의 워터마크를 지워버렸다.
게임보이 어드밴스로 발매된 듀얼몬스터즈 7, 8 등에서는 '상대 필드에 가장 공격력이 높은 몬스터 1장을 파괴하고,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을 500 내린다'라는 다크 엔드 드래곤에 가까운 효과를 보유했다. 이 카드로 파괴할 수 없는 몬스터는 삼환신뿐이지만, 레벨에 비해 공격력이 높아 덱 투입 코스트가 높게 설정되어있다.
'''수록 팩 일람'''
다크 히어로 존바이어를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1. 설명
전사족의 디메리트 어태커. 디메리트가 있는 만큼 능력치는 하급 어태커로서 상당히 뛰어나며, 그나마 있는 디메리트도 고블린의 돌격 부대처럼 바로 다음 턴에 버틸 수가 없는 것도 아니지만 그래도 불편한 감이 있다. 특성상 적극적으로 상대에게 데미지를 준다기보다는 상대의 몬스터를 견제한다는 느낌으로 사용하게 된다.
2100의 공격력은 메이저한 1900라인 어태커들은 물론이요 제네틱 워울프마저 때려잡으며, 사이버 드래곤이 나와도 자폭해서 처리하는 게 가능하다. 번개왕이나 인벨즈 로치, 벨즈 나이트메어 등 특수 소환을 방해하는 몬스터를 일반 소환만으로 가볍게 때려잡을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몬스터를 하나 파괴한 후라도 공격력은 1900이므로, 상대 어태커 둘 정도는 그냥 견제해주거나 잘만 다루면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 내지는 사이버 다크 드래곤같이 부실한 기본스펙을 효과로 충당해서 먹고 사는 고급 몬스터도 잡아주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한국에서는 출시 후 한동안 요긴하게 쓰였는데 첫 수록이 악몽의 미궁이다. 당시 상황을 보면, 같은 팩에서 공격력 1900의 쌍둥이 자매 엘프가 시크릿 레어 사양으로 나오고 공격력 2000의 여사신 누비아가 당최 써먹을 수 없는 효과를 두르고 나오는 등 하급 몬스터의 타점이 크게 제한되어 있는 환경이었다. 게다가 지금처럼 특수 소환이 활성화되지 않고 정직하게 어드밴스 소환 위주로 싸우는 환경이었기에 하급 몬스터의 타점 싸움에서 밀리기 시작하면 마법, 함정 카드가 용케 잘 나와주지 않는 한 일방적으로 쳐맞아야 하는 상황이었다.[1] 그런 상황에 1900라인을 상대로 필승, 이후에 자폭이라도 할 수 있는 수준의 카드가 노말 사양으로 나와준 덕분에 하급 어태커 견제용으로 매우 유용했다.
어둠 속성 전사족이라 온갖 어둠 속성 서포트를 다 받고, 증원과 전사의 생환으로 패에 넣는 것도 쉽다. 혹성의 마지막 전사의 융합 소재이기 때문에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로 묘지에 쌓을 수도 있다. 높은 공격력 덕분에 마의 덱 파괴 바이러스를 가볍게 발동해주는 것도 가능. 고대(?)에 디메리트 어태커로 활약했던 몬스터지만 지금도 쓰려면 충분히 쓸 수 있는 수준이다.
"다크 히어로"지만 엘리멘틀 히어로 같은 히어로는 아니므로 그쪽 관련 서포트는 받지 못한다. 원래 그쪽에서 '히어로'는 일본판에서는 영어로 'HERO'라고 쓰므로 'ヒーロー'인 이쪽과는 다르며, 영어판의 경우 아예 Hero라는 단어가 이름에 들어가있지 않다. 한글판 카드에서는 그냥 똑같이 "히어로"라고 적혀 있긴 하지만 이건 대원이 마땅히 에라타를 먹여야 할 것을 안 해 주고 있어서 그런 거다. 당연히 서포트를 받지 못하는 게 맞으니 주의. 그래도 플리즈마와 같이 쓸 수 있고 종족과 속성, 다크 히어로라는 컨셉이 데스티니 히어로들과 일치하는 등 묘하게 어울리는 면은 있다.
큰 의미는 없지만, 공격력 증감을 반대로 하는 "심술꾸러기의 저주"와 병용하면 한 턴 한정이지만 전투 파괴시마다 성장하는 위협적인 녀석이 된다. 뭐, 그래봐야 여전히 다이렉트 어택이 불가능하지만. 그외에 디메리트를 가진 고공격력 몬스터라는 점에서 스킬 드레인 덱에서 써봄직도 하지만 그쪽에는 체인소우 인섹트, 고블린의 돌격 부대같이 더 공격력 높은 놈 내지는 다른 용도로 쓸 수 있는 사이버 드래곤 등이 우선되는고로 이쪽에서의 활용도는 낮다. 참고로, 엔젤 O7과 함께 써도 공격력이 줄지 않는다.
[image]
사실 원작 만화에서는 장르가 본격적으로 카드 게임 만화로 전환되기 전에[2] 가공의 작품의 아메리칸 히어로로 등장했다. 유우기의 친구 하나사키 토모야가 매우 좋아하는 히어로였다. 카드 게임과는 별 관계 없었던 것이 카드화된 특이 케이스 중 하나이다.
가면을 쓴 모습과 저 희한한 효과는 '''정의를 실행할수록 얼굴이 망가지고 수명이 깎여나가는 비운의 히어로'''라는 설정 때문. 원래는 사신이었으나 정의에 눈을 떠 영웅이 되었기 때문에 그렇다고 한다. 타락하여 어둠의 길로 빠진 이블 히어로들과는 달리 정의의 히어로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래서 영웅 출현이라는 함정 카드에도 등장하고, 그 카드의 일러스트도 원작 만화에서 나온 것을 리파인한 것이다. 그리고 먼 훗날 비슷한 컨셉인 벤데드의 리벤데드 슬레이어가 등장하였다.
원작 출신 몬스터지만 OCG로 오면서 뜬금없이 OCG 오리지널 몬스터인 혹성의 마지막 전사의 융합 소재가 되었다. 전혀 상관없어보이는 마력흡수구체와 융합해서 이녀석과 전혀 상관없어보이는 모습이 되지만, 사실 그 설정을 들여다보면 혹성의 마지막 전사도 슬픈 운명을 지닌 영웅이라는 점에서 이 카드와 닮았다. 융합을 해도 융합을 안해도 슬픈 운명이다.[3]
참고로 소설판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빛의 피라미드에서 유우기의 덱에 이 카드가 들어가 있었다! 원작을 존중한 거일지도? 그런데 정작 카이바의 완전파괴-제노사이드 바이러스에 의해 묘지로 보내졌다.
여담이지만 한글판 이름은 왠지 존바이어인데, 일본어판 카드의 일러스트에는 이 카드의 이름이 좀비(Zo'''m'''bie) + 뱀파이어(Va'''m'''pire)로 만든 듯한 Zo'''m'''bire라고 대놓고 쓰여 있고 영어판의 이름도 Zo'''m'''byra다. 심지어 원작 코믹스에서도 좀바이라라고 부르고 대원 정발판에서조차 좀바이어라고 부르는데 어째서인지 카드가 정발되면서 이름이 '''좀'''바이어가 아니고 '''존'''바이어가 됐는지 궁금할 따름이다...
또한 해외 수출판에서는 보기 거슬렀는지 일러스트의 워터마크를 지워버렸다.
게임보이 어드밴스로 발매된 듀얼몬스터즈 7, 8 등에서는 '상대 필드에 가장 공격력이 높은 몬스터 1장을 파괴하고,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을 500 내린다'라는 다크 엔드 드래곤에 가까운 효과를 보유했다. 이 카드로 파괴할 수 없는 몬스터는 삼환신뿐이지만, 레벨에 비해 공격력이 높아 덱 투입 코스트가 높게 설정되어있다.
'''수록 팩 일람'''
2. 관련 카드
2.1. 혹성의 마지막 전사
다크 히어로 존바이어를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3. 관련 문서
[1] 당시만 해도 불리한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유용한 마법, 함정 카드는 많지 않았다. 이젠 느려서 줘도 안 쓰는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이 일발역전 필카로 쓰이던 시기다.[2] 매직&위저드(듀얼몬스터즈) 게임 자체는 이미 2권 9화~10화에서 유우기와 카이바의 대결 에피소드를 통해 등장했다.[3] 참고로 혹성의 마지막 전사의 배경설정은 '''자신의 별을 지켜내기 위해 계속해서 적과 싸우지만, 이미 별의 생존자들은 모두 죽고 오로지 그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다. 비극적인 히어로라는 점에서 두 카드는 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