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남자동차

 



'''광남자동차 주식회사'''
업종명
운수업
설립일
1954년 8월 1일
대표
신문식
위치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 400 (봉무동, 봉무공영차고지)
전화번호
053-985-5006
차량번호
대구 70 자 10xx
면허대수
정규 63대, 예비 4대
1. 개요
2. 상세
3. 차량
4. 사건사고
5. 운행 노선

株式會社 光南自動車

1. 개요


대구광역시버스 회사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 400 봉무공영차고지에 있다.[1]

2. 상세


이 회사의 설립일은 '''1954년''' 8월 1일이며, 시내버스 운송면허를 취득하여 당시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불로동[2]에서 설립되었다.(이후 봉무동으로 이전) 전국 시내버스 회사 중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로 오래 된 회사에 속하며[3] 이러한 이유로 광남자동차는 차량번호가 10XX로 시작한다.[4] 차고지와 가까운 팔공산 일대 노선들이 많다. 아웃 팔공산 노선은 방촌동, 율하지구, 반야월, 경산시 하양읍으로 가는 518번뿐이었으나, 2015년 8월 신흥버스에 넘기면서 현재는 모든 노선들이 불로봉무동으로 간다. 특히 팔공1번은 '''험로'''를 오가는 오지노선이다.
현재 광남자동차가 입주한 봉무공영차고지대구 4차 순환도로 건설 부지 내에 포함되어 남쪽으로 부지를 확장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다.
관음교통처럼 경북대학교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회사이기도 하며, 우주교통, 신진자동차, 현대교통처럼 북문과 정문 모두 들어오는 회사다. 급행6번이 북문/서문으로, 북구2번이 정문/동문으로 운행하며 101(-1)번은 복현오거리 및 산격4동주민센터/대구실내체육관 하차 후 북문 로데오거리를 통해 걸어갈 수 있다. 팔공1번은 영업운전 구간이 아니지만, 야간에 칠성고가하단에서 운행을 끝내고 검단동에서 가스를 충전하기 위해 경대를 지난다.
으레 보통 회사명의 뒤에 '''여객 뒤에 자동차'''가 붙는 경우는 많지만[5] 신진자동차, 서울 다모아자동차와 더불어 드물게 그냥 '''자동차'''만 붙는다.
회사의 지분을 노조가 가지고 있는 노동자지주기업으로서 달구벌버스와 함께 강성 노동조합이 운영한다는 특성 때문에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가 파업하는 일이 있어도 파업하지 않고 운행하는 회사 중 하나다. 따라서 달구벌버스공동 배차했던 518번의 경우 공동 배차하는 광남자동차와 달구벌버스 모두 노동자들이 운영하는 회사들이라는 특이한 점이 있었다.
과거 팔공3번영진교통과 공배했으나, 동명교통에 넘겼다.
봉무공영차고지 주변이 야산인 관계로, 동계에는 운행 도중 봉무공영차고지로 들어와서 세차를 하고 가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이쪽 주변의 특성상 야간에 차량이 얼어붙기 때문이다.
가스 충전이 매우 불편하다. 봉무공영차고지인근에 충전소가 없어서 성보교통으로 원정가서 충전하는 경우가 있다. 101번의 경우에는 운행을 마치고 동명교통 차고지로 가서 충전하고 온다. 그나마 급행6번대천공영차고지에서 신흥버스로 가서 충전한다.

3. 차량


[image]
↑ 광남자동차에서 처음으로 투입한 2000년식 천연가스버스.(1008호) 2010년 8월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가 달린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버스(대구에서 3번째)를 거쳐 2019년 6월에 개선형일반으로 대차됐다. 사진의 장소는 대구역(남부역) 건너편이며, 현재 북구2번은 개편으로 동인네거리 대신 중앙로역으로 직선화됐다.
차량은 현대차만 출고한다. 자일대우버스2013년에 테스트 차원으로 출고하여 101번, 101-1번에 각각 1대씩 투입 중인 NEW BS106 2대가 마지막이며, 북구2번에 들어갔던 BS106 2대가 모두 차량 상태를 이유로 유상감차당하면서 해당 차량들은 2020년 현재 광남자동차에 남은 둘뿐인 대우차다.[6]
대구광역시에서 마지막까지 RB520L 일반버스를 굴렸던 회사이기도 하며, 2000년에 RB520L을 대차해 대구에서는 RB520L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차량번호는 1056호로, 2000년에 중도색 로얄시티로 교체되었다. 단, 좌석형은 가로 6등식 리어램프 BS105, AM927과 더불어서 21세기를 못 보고 1998년 말 무렵에 완전히 사라졌다.[7]
버스 대차 주기가 빠른 편이다. 2005년식 좌석차량 여러 대가 있었는데 모두 2014년에 교체해 버려서, 막상 급행6번을 맡게 되니까 시트를 개조하는 비용이 추가로 나갔다. 거기다가 좌석버스 의자를 구하기도 힘들었는지 2015년 8월 개편 후에도 급행6번에 일반차량이 여러 대 다녔고, 그중 1대는 같은 해 9월에야 좌석버스 의자로 개조가 완료되었다. 2005년식 좌석차량들을 2015년까지 교체하지 않고 있었다면 그 좌석차량들에 도색만 새로 해서 급행6번에 투입하면 되는 상황이었으니...
대구 최초로 저상버스를 일반버스로 대차했다. 대구 5호 저상버스였던 차량인데, 2006년 2월 19일 개편 초기에 401번에 투입되다가 차가 떡이 되기 쉬운 노선의 특성 때문에 동년 3월에 북구2번으로 이동했다. 이후 2014년 8월에 예비차로 이동했다가 동년 11월에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일반버스로 대차한 후 401번에 원대 복귀했다.
또한 대구 최초로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2015년식 차량을 출고한 회사이기도 하다. 401번에 투입 중이다.
주로 다니는 곳이 산지 인근인지라, 저상버스 투입에 제약이 있다. 저상버스북구2번101(-1)번에만 투입하고 있다. 다른 노선들에는 저상버스 투입이 아예 안 된다.[8]
2017년 9월 중순에는 측면 센서가 달린 급행6번 좌석버스 신차를 도입했다.
자동변속기는 전량 ZF만 이용한다. 앨리슨 장착 차량은 2009년에 극소수로 나왔고 모두 북구2번에서 운행했으나, 2017년에 입석차량 1대로 대차한 것을 시작으로 2018년에 전멸했다.

4. 사건사고


  • 2001년에 사장의 비리 문제로 장기 파업을 한 적이 있다. 2001년 자금난과 임금 체납, 사장의 비리 등으로 운행을 전면 중단하고 노동자들과 함께 차량들을 동원하여 대봉교, 대구광역시청 일대에서 장기 파업을 했다. 장기 파업 끝에 2002년에 사장이 전격 퇴진하고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회사 중 최초로 노동자들이 운영하는 회사가 되었다.
  • 2013년에는 심각한 부채로 인한 경영난에 빠져 있었는데, 부채 비율이 무려 250%이다. 노동자등을 포함한 주주총회는 현재 퇴직금 등을 주식으로 전환 하는 방안을 내놓고 있는데 안동대 교수 A씨가 자신 지분 하락만 우려하면서 주주총회 효력정지 신청 등으로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그 때문에 현재 해당 대학교 정문 앞에서 3개월간 장기 시위를 했다. 그 덕에 해당 일이랑 전혀 관계없는 학생들만 애꿎은 피해를 보는 상황이었다.## ##

5. 운행 노선


노선 번호
인가대수
저상버스
공동배차하는 회사
'''급행6번'''
10대
-
세운버스
'''101번'''
10대
6대
-
'''101-1번'''
10대
5대
-
'''401번'''
16대
-
현대교통
신진자동차
'''북구2번'''
12대
8대
-
팔공1번
5대
-
-
팔공2번
(동절기 1대, 그외 2대[9])[10]
-
-
정규 차량
63대
8140번
1대
-
달구벌버스
성보교통
세왕교통
세진교통
예비 차량
4대[11]

67대

[1] 봉무공영차고지는 본래 광남자동차 소유의 자가차고지였으나 준공영제 당시 시에서 광남자동차에 입주 우선권을 주는 조건으로 매입해 공영 차고지화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입주한 업체가 광남자동차뿐이라 큰 차이는 없다. 같은 사례로 남도버스대곡동공영차고지가 있다.[2] 현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3] 당연히 대구 내에서는 제일 오래 된 회사며 경북 전체에서도 2번째로 오래 된 회사다. 시내버스/농어촌버스 부분에서는 제일 오래 된 회사로 참고로 경북 내 시내외를 통틀어서 제일 오래 된 회사는 천마고속이다. 경상남북도 전체로 보면 가장 오래 된 업체는 부산의 일신여객으로, 무려 '''1946년'''에 설립되었다.[4] 그 다음으로 설립된 신흥버스는 차량번호가 11XX로 시작하며, 그 다음으로 설립된 업체는 12XX로 시작하는 신진자동차가 아닌 35XX로 시작하는 우일교통이였다.[5] 부천시의 시내버스 업체인 소신여객,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업체인 일신여객이 그 예이며, 같은 대구 시내버스 업체인 경상버스도 정식명칭은 뒤에 자동차가 붙는다..[6] 감차당하기 전에 해당 차량들은 잔고장이 매우 잦아서 기사들 사이에도 악명이 높았다고 한다.[7] 한편 대구에 RB520L이 전멸되기 이전에 구형 에어로시티나 BS106, AM937을 대차한 회사도 있다.[8] 갓바위로 가는 401번(팔공2번 포함)은 과밀노선이고, 팔공1번은 신무동같은 '''험로''' 구간이나 동화사 구간같은 언덕길 때문이다.[9] 비정규 노선이며 토요일, 공휴일에만 운행한다.[10] 급행6, 101번 차량 공용[11] 맞춤버스 차량 1대 포함